DOI QR코드

DOI QR Code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2001-2020년간의 국내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Children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20

  • 한길선 (총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강은주 (총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22.12.30
  • 심사 : 2023.02.06
  • 발행 : 2023.02.28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collect basic data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and to foresee the futur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20. Methods: Data collection was made out of RISS of Korea. Excel 2016 was used to categorize 210 finally filtered and collected data which included academic journal articles, MA/PhD dissertations, and funded research reports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by publication year/5-year-term,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ers' academic area. Results: Annual/5-year-term analysis shows increasing trend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implemented method,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method in order. In research theme, parent-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was the most frequently implemented theme followed by parent education, socio-emotional issue, spe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amily support,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and program analysis in order. Education area showed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omparing with other academic areas in research field. Conclusion/Implications: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showed steady increase in their amount, frequency, and diversity as well. Minority parents need more attentions for providing the next young generation's educational equality. Parent programs during COVID-19 need to gain more research attentions as well as care-giving grandparents, social workers, and public health care helpers in child caring service areas in order to alleviate low-birth rat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주 (2022). 한국독서치료학회지 「독서치료연구」의 2004(창간호)-2020년 간의 연구동향. 독서치료연구, 14(1), 27-54. 
  2. 고경필 (2017). 유아기 부모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4), 433-459. 
  3. 김경철, 한유진, 김인애 (2019). 유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놀이신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9(6), 349-375.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5
  4. 김경철, 오도희 (2020).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19년 국내학술지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20(1), 317-320. 
  5. 김상언 (2015). 유아교육기관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2(2), 19-29. 
  6. 김오남 (2004). 유아 성학대 예방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9(3), 195-217. 
  7. 김영옥 (2012). 부모교육. 고양: 공동체. 
  8. 김영환, 이승민, 강두봉 (2017). 부모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 교육문화연구, 23(3), 75-94.  https://doi.org/10.24159/JOEC.2017.23.3.75
  9. 김은설, 최진, 조혜주, 김경미 (2009). 육아지원기관 부모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2009-8). 서울: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에서 2009년 12월 인출. 
  10. 김지영 (2018).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발전 과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1).153-171. 
  11. 김한나, 정은희 (2013). 장애 아동 부모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연구동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3), 381-407.  https://doi.org/10.21075/KACSN.2013.15.3.381
  12. 김혜경 (2014).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개발 연구의 동향 분석. 아동과 권리, 18(3), 331-366. 
  13. 김희진, 박선미 (2016).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시대적 분석: 개발 배경을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3), 151-177.  https://doi.org/10.16978/ECEC.2016.11.3.007
  14. 노신애, 신영미, 김혜중 (2018). 가족학 분야에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가정과삶의질연구, 36(2), 15-38. 
  15. 박성의, 도미향 (201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역량강화 부모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부모교육연구, 16(1), 45-67. 
  16. 박영희 (2012). 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자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진옥 (2006).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 37-45. 
  18. 배지희 (2008).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인류학연구, 11(1), 147-176.  https://doi.org/10.17318/JAE.2008.11.1.005
  19. 백유미 (2013).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부모의 성폭력예방교육 수행역량요구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269-289. 
  20. 양윤서, 김영화, 최혜경 (2017).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신학과 사회, 31(1), 165-195.  https://doi.org/10.22748/THESOC.2017.31.1.006
  21. 오채선, 이부미 (2019). 공동육아 교육담론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열린교육연구, 27(2), 93-119. 
  22. 윤기영, 손영빈 (2010). 유아교육사상사. 양서원 
  23. 유병돈, 송승윤 (2020. 5. 26.). n번방 진짜 주인은 청소년이었다. 아시아경제,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52610584888306에서 2022년 5월 10일 인출. 
  24. 이민선 (2020). 학부모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동향 분석 - 2010~2018년 논문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육, 9(1), 223-244. 
  25. 이연승, 최진령, 김현정 (2017).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 실태 그리고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7(4), 811-829.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33
  26. 이완희, 최양미 (2009). 영유아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2000년~2009년. 열린부모교육연구, 1(2), 87-109. 
  27. 이은경, 김영빈 (2017). 유아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여성학연구, 27(1), 143-182.  https://doi.org/10.22772/PNUJWS.27.1.201702.143
  28. 이정주, 이종연 (2014)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 동향. 상담학연구, 15(2), 943-967.  https://doi.org/10.15703/KJC.15.2.201404.943
  29. 이재림 (2022.7.11.). 잇단 청소년 총기난사에 美서 부모책임론 대두.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711055500009에서 인출. 
  30. 이진선, 천민아 (2022.3.31.). 소년범죄 度 넘어도.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638ZXJQAX. 
  31. 이혜민, 박진우 (2021. 5. 20.). "자녀체벌금지법 안다" 40% 불과..훈육.학대 구분 모호.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51716240001150 
  32. 이혜원, 임미혜, 황윤세 (2013). 유치원 및 어린이집 운영관리. 공동체. 
  33. 이재택 (2016).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308-31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308
  34. 정계숙, 견주연 (2015).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바람: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103-12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3
  35. 조은경 (1993). 유아교육에 관한 학위논문의 경향분석(1986-1992).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최미숙, 황윤세 (2004). 유아발달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탐색. 유아교육학회지, 24(5), 187-205. 
  37. 최정희 (2018). 영유아 부모교육 연구 동향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한이혁 (2007).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경향 분석: 1996~2005년을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보건복지부 (2021. 8). 2020 아동학대 연차보고서.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67066에서 2021년 8월 31일 인출. 
  40. Amodia-Bidakowska, A., Laverty, C., & Ramchandani, P. G. (2020). Father-child play: A systematic review of its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impact on children's development. Developmental Review, 57, Article 100924. https://doi.org/10.1016/j.dr.2020.100924 
  41. Bornstein, M. H. (2006).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In K. A. Renninger, I. E. Sigel,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pp. 893-949). John Wiley & Sons, Inc. 
  42. Lopez Turley, R. N., Desmond, M., & Bruch, S. K. (2010). Unanticipated educational consequences of a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5), 1377-139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0.00771.x
  43. Rousseau, J. J.(2006). EMILE, 에밀(민희식 옮김). 육문사 (원판 1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