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ildren's Perspective in Iranian Films - Focus on the films by Director Majid Majidi

이란 영화 속에 나타난 어린이 시각에 관한 연구 - 마지드 마지디 감독 작품을 중심으로

  • JIAYI WAN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of Film, TV & Multimedia) ;
  • Daniel H. Byun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of Film, TV & Multimedia)
  • 만가의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
  • 변혁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Received : 2022.12.20
  • Accepted : 2023.01.20
  • Published : 2023.01.30

Abstract

Children's films can be found by country and region within the scope of world films, but children's films have different definitions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region. For example, American children's films represented by Disney are mainly aimed at satisfying the joys of children and families.Chinese children's films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educational role of children. Although the purpose is different, children's films in the general sense are films that main audiences are children and are created for children. Children's films in Iran differ greatly from ordinary children's films. It indirectly expresses the creator's intention by reflecting reality while looking at the adult world through the eyes of children. This special function is a children's visual language that indirectly conveys the creator's thoughts. The use of children's perspective is a kind of special strategy, paving the way for Iranian films to survive in a special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Iranian films. Among the numerous Iranian directors who make children's films, Majid Majid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is nine Iranian films written and directed, five are children's films.At the same time, in his other Iranian films, we can more or less see the traces of children and children's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and performance.Looking at the use of children's vision in Iranian films, the use of children's vision in Iranian films began with children's films and developed in Iranian children's films and other genres of Iranian films.

세계 모든 나라들에 '어린이를 위한' 혹은 '어린이가 주인공인' 영화들이 있다. 하지만 각각의 문화권마다 어린이 영화를 다루는 방식이나 시각의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어린이 영화를 대표하는 디즈니는 주로 어린이와 가족의 오락성과 즐거움을 만족시키는 것이 목적인 반면 중국에서의 어린이 영화는 아동의 교육적 역할을 더 중시하는 편이다. 문화권마다의 특색과는 관계없이 일반적 의미에서의 어린이 영화는 수용 대상이 어린이이며 어린이를 위해 창작되는 영화를 일컫는다. 하지만, 이란 영화에서 어린이를 소재, 주제 혹은 수용자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은 또다른 특색이 있다. 주로 극중의 주요인물로서 어린이가 등장하여 그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배경이 되는 사회현상과 영화를 관통하는 서사에 대한 해석과 관점을 제시한다. 어린이의 눈을 통해 어른의 세계를 바라보고 현실을 반영하고 창작자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며 어린이의 시각적 언어를 통해 창작자의 사상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어린이 시각의 활용은 일종의 특별한 전략으로 이란 영화가 특수한 창작 환경 속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으며, 이란 영화만의 주요한 특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어린이 사각을 보여주는 이란 영화들 중에 대표적으로 마지드 마지디의 영화들이 있다. 그의 영화에서 어린이 시각은 그만의 연출양식으로 주목할만한 것인데 단편영화, 다큐멘터리와 해외 제작 영화 제외한 9편의 영화 중 어린이 영화가 5편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마지드 마지디의 영화들에서 보여지는 어린이 시각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드 마지디의 영화 속 어린이 시각의 활용을 살펴보면서 이것이 어떻게 이란영화의 일반성으로 확대되어 이란 영화의 중요한 한 흐름을 자리잡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Gerard Genette, 「修辞卷三」. 瑟伊出版社, 1972.
  2. George Sadoul, 「世界电影史」, 中国电影出版社, 1995.
  3. Andre Gaudreault, Francois Jost,刘云⾈, 「什么是电影叙事学」, 北京: 商务印书馆, 2005.
  4. 瑞典, C.I.兹特勒姆著, 李茹译, 「儿童和青春期⼼理学」, 知识出版社, 1986.
  5. 中国社会科学院研究所词典编辑室编, 「现代汉语词典 (第5版)」, 北京商务印书馆, 2005.
  6. ⾼⼒, 任晓楠, 「镜像东⽅---纪实主义: 从伊朗新电影到中国新⽣代」, 成都: 巴蜀书社, 2009.
  7. Majid Majidi, 王宜⽂, 耿晶晶. 「儿童电影的真谛与电影艺术的使命--马基德.马基迪访谈」. 「电影艺术」, 2019.
  8. 尚必武, 「叙述聚焦研究的嬗变与态势」. 天津外国语学院学报」, 2007.http://doi.org/10.3969/j.issn.1008-665X.2007.06.003
  9. N Beelanger, C Connelly,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child-centered research about social difference and children experiencing difficulties at school」, 「Ethnography and Education」, 2007.https://doi.org/10.1080/17457820601158994
  10. Marianne McTavish, Jodi Streelasky , Linda Coles, 「Listening to Children's Voices: Children as Participants in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volume 44,2012.https://doi.org/10.1007/s13158-012-0068-8
  11. SOMMER D, SAMUELSSON I P, HUNDEIDE K. 「Child perspectives and children'S perspectives in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Netherlands」, 2010.
  12. 徐⼩敏. 「儿童的世纪:家庭⽣活的社会史在教育史研究上的意义」. 上海师范⼤学, 2011.http://doi.org/10.7666/d.y1868574
  13. 吴晓东, 倪⽂尖, 罗岗. 「现代⼩说研究的诗学视域」, 「中国现代⽂学研究丛刊」, 1999. http://doi.org/10.16287/j.cnki.cn11-2589/i.1999.01.008
  14. 崔⼦恩. 「年龄:永恒的电影课题」. 「电影艺术」, 1991.
  15. 周晓波. 「儿童电影艺术与欣赏」. 北京: 清华⼤学出版社. 2013.
  16.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바둑>,1992.
  17.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아버지>, 1996
  18.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천국의 미소>, 1999.
  19.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천국의 아이들> , 2001.
  20.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바란>, 2001.
  21.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윌로우 트리>, 2010.
  22.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참새들의 합창>, 2010.
  23.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무하마드: 신의 예언자>, 2015.
  24. 마지드 마지디 감독, 영화 그리고 <태양의 아이들>,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