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학년 수학 검정 교과용 도서의 규칙 찾기 단원에 제시된 패턴 활동의 지도 방안 분석

An Analysis of Pattern Activities of a Finding Rules Unit in Government-Authorized Mathematics Curricular Materials for Fourth Graders

  • Pang, JeongSu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Sooji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22.12.19
  • 심사 : 2023.01.04
  • 발행 : 2023.01.31

초록

패턴의 규칙을 찾는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대수적 사고를 신장하는 데 유용하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들에게 패턴활동을 지도하는 세 가지 주요 활동, 즉 패턴의 구조를 분석하는 활동, 규칙을 찾아 특정한 항을 구하는 활동, 규칙을 찾아 표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검정 교과용 도서의 '규칙찾기' 단원에 제시된 패턴 활동의 지도 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종 도서에서 증가 수 패턴, 증가 기하 패턴, 계산식 패턴을 중심으로 세 가지 활동이 제시되어 있었다. 패턴의 구조를 분석하는 활동은 대부분 증가 기하패턴을 다룰 때 제시되어 있었는데, 주로 패턴을 이루는 모형의 개수를 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반면 규칙을 찾아 특정한 항을 구하는 활동은 세 가지 패턴에서 고루 제시되어 있었고, 대개 가까운 항을 구하는 문항이 많았다. 규칙을 찾아 표현하는 활동은 자신의 언어로 규칙을 이야기해 보거나 써보도록 제시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대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패턴 활동의 지도 방안에 대해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및 활용 측면에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activity of finding rules is useful for enhancing the algebraic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 activities of a finding rules unit in 10 different government-authorized mathematics curricular materials for fourth graders aligned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nalytic elements included three main activities: (a) activities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patterns, (b) activities of finding a specific term by finding a rule, and (c) activities of representing the rule. The three activities were mainly presented regarding growing numeric patterns, growing geometric patterns, and computational patterns. The activities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patterns were presented when dealing mainly with growing geometric patterns and focused on finding the number of models constituting the pattern. The activities of finding a specific term by finding a rule were evenly presented across the three patterns and the specific term tended to be close to the terms presented in the given task. The activities of representing the rule usually encouraged students to talk about or write down the rule using their own 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implications on how to develop subsequent mathematics curricular materials regarding pattern activities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gebraic thin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a). 수학 4-1. 대교출판.
  2.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b). 수학 익힘 4-1. 대교출판.
  3.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c). 수학 4-1 지도서. 대교출판.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교육부.
  5. 권성룡(2007).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활동 고찰. 초등수학교육 10(2), 111-123.
  6. 김남균, 김은숙(2009). 초등학교 6학년의 패턴의 일반화를 통한 대수 학습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3(2), 399-428.
  7.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a). 수학 4-1. 아이스크림.
  8.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b). 수학 익힘 4-1. 아이스크림.
  9.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c). 수학 4-1 지도서. 아이스크림.
  10. 남승인(2000).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규칙성 영역의 학습 자료 개발. 수학.과학교육연구, 23, 91-121.
  11. 도주원(2021).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초등수학교육, 24(4), 189-202.
  12.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a). 수학 4-1. 금성출판사.
  13.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b). 수학 익힘 4-1. 금성출판사.
  14.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c). 수학 4-1 지도서. 금성출판사.
  15.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a). 수학 4-1. 두산동아.
  16.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b). 수학 익힘 4-1. 두산동아.
  17.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c). 수학 4-1 지도서. 두산동아.
  18.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a). 수학 4-1. 천재교육.
  19.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b). 수학 익힘 4-1. 천재교육.
  20.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c). 수학 4-1 지도서. 천재교육.
  21.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a). 수학 4-1. YBM.
  22.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b). 수학 익힘 4-1. YBM.
  23.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c). 수학 4-1 지도서. YBM.
  24. 방정숙, 선우진(2016a). 초등학생의 함수적 사고 신장을 위한 기하 패턴 지도 사례의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4), 769-789.
  25. 방정숙, 선우진(2016b).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1-18. https://doi.org/10.7468/jksmec.2016.19.1.1
  26.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a). 수학 4-1. 비상교육.
  27.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b). 수학 익힘 4-1. 비상교육.
  28.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c). 수학 4-1 지도서. 비상교육.
  29.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a). 수학 4-1. 두산동아.
  30.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b). 수학 익힘 4-1. 두산동아.
  31.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c). 수학 4-1 지도서. 두산동아.
  32. 유미경, 류성림(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학교수학, 15(2), 459-479.
  33. 이명기, 나귀수(2012). 패턴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일반화 방법 조사. 학교수학, 14(3), 357-376.
  34.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a). 수학 4-1. 미래엔.
  35.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b). 수학 익힘 4-1. 미래엔.
  36.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c). 수학 4-1 지도서. 미래엔.
  37. 최지영, 방정숙(2008).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4(2), 205-225.
  38. 최지영, 방정숙(2014).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인식 및 사고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2), 205-225.
  39. 최혜진, 이혜은, 유수경(2007).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패턴인식능력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23-240.
  40.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a). 수학 4-1. 천재교육.
  41.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b). 수학 익힘 4-1. 천재교육.
  42.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c). 수학 4-1 지도서. 천재교육.
  43.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In B. Dougherty, & R. Zbiek (Eds.), Essential understandings serie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방정숙, 최지영, 이지영, 김정원 공역(2017). 대수적 사고의 필수 이해. 교우사.
  44. Callejo, M. L., & Zapatera, A. (2017). Prospective primary teachers' notic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pattern generalization.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20(4), 309-333. https://doi.org/10.1007/s10857-016-9343-1
  45. Ferrara, F., & Sinclair, N. (2016). An early algebra approach to pattern generalisation: Actualising the virtual through words, gestures and toilet pape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2(1), 1-19. https://doi.org/10.1007/s10649-015-9674-3
  46. Hourigan, M., & Leavy, A. (2015). Geometric growing patterns: What's the rul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20(4), 31-39.
  47. Moss, J., & McNab, S. L. (2011). An approach to geometric and numeric patterning that fosters second grade students' reasoning and generalizing about functions and co-variation.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277-301). Springer.
  48. Mulligan, J., Oslington, G., & English, L. (2020). Supporting early mathematical development through a 'pattern and structure' intervention program. ZDM - Mathematics Education, 52(4), 663-676. https://doi.org/10.1007/s11858-020-01147-9
  4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50. Pang, J., & Kim, J. (2018).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early algebraic thinking: A generalized arithmetic perspective. In C. Kieran (Ed.) Teaching and learning algebraic thinking with 5- to 12-year-olds (pp. 141-165). Springer.
  51. Papic, M., & Mulligan, J. T. (2007). The growth of early mathematical patterning: An intervention study. In J, Watson & K, Beswick (Eds.), Proceeding of the 30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Mathematics: Essential research, essential practice (Vol. 2, pp. 591-600). Adelaide: MERGA.
  52. Papic, M. M., Mulligan, J. T., & Mitchelmore, M. C. (2011).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mathematical patte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2(3), 237-268.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2.3.0237
  53. Pittalis, M., Pitta-Pantazi, D., & Christou, C. (2020). Young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modes: The relation between recursive patterning, covariational thinking, and correspondence rel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51(5), 631-674.
  54. Radford, L. (2006). Algebraic thinking and the generalization of patterns: A semiotic perspective. In S. Alatorre, J. L. Cortina, M. Saiz, & A. Mendez (Eds.), Proceedings of the 28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1, pp. 2-21). Merida, Mexico: PME-NA.
  55. Radford, L. (2010). Layers of generality and types of generalization in pattern activities. Pentose Nucleic Acid (PNA), 4(2), 37-62. https://doi.org/10.30827/pna.v4i2.6169
  56. Reys, R., Lindquist, M., Lamdin, D. V., & Smith, N. L. (2015).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11th ed.).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2017).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교우사.
  57. Twohill, A. (2018). Observations of structure within shape patterns. In C, Kieran (Ed.) Teaching and learning algebraic thinking with 5-to 12-year-olds (pp. 213-235). Springer.
  58. Tsamir, P., Tirosh, D., Levenson, E. S., Barkai, R., & Tabach, M. (2017). Repeating patterns in kindergarten: Findings from children's enactments of two activit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83-99.
  59. Wijns, N., Verschaffel, L., De Smedt, B., De Keyser, L., & Torbeyns, J. (2021). Stimulating preschoolers' focus on structure in repeating and growing patterns. Learning and Instruction, 74, 10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