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백선혜, 임희랑, 김학선 (2019).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커피전문점 고객의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5(4), 146-155. https://doi.org/10.20878/CSHR.2019.25.4.015
- Wu, T. J., Zhao, R. H., and Tzeng, S. Y. (2015). An empirical research of consumer adoption behavior on catering transformation to mobile O2O.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Mathematics, 18(6), 769-788. https://doi.org/10.1080/09720502.2015.1108088
- 권하린 (2022). IT 비전공자를 위한 앱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 이재현 (2004).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 박현주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인스턴트 메신저 앱 이용동기와 수용,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Figge, S. (2004). Situation-dependent services-a challenge for mobile network operator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12), 1416-1422.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431-9
- 이채현 (2021).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 Keen, P. G., and Mackintosh, R. (2001). The freedom economy: Gaining the M-commerce edge in the era of the wireless internet. McGraw-Hill Professional.
- Zeithaml, V. A., Parasuraman, A., and Malhotra, A. (2002). Service quality delivery through web sites: a critical review of extant knowled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0(4), 362-375. https://doi.org/10.1177/009207002236911
- Seiders, K., Voss, G., and Godfrey, A. (2007). SERVC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ervice convenience scale, Journal of the Academy Marketing Science, 35(1), 144-156. https://doi.org/10.1007/s11747-006-0001-5
- Jung, S. M., and Kim, Y. H.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SNS site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restaurant.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1), 159-173.
- 윤아영, 이은영, 이현화 (2018). 패션 인스타그램의 정보제공 주체(브랜드 vs 소비자)에 따른 소비자 인식: 신뢰성, 유용성, 유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2(3), 379-396. https://doi.org/10.5850/JKSCT.2018.42.3.379
- Ducoffe, R. H. (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5), 21-32.
- Smith, R. E., and Swinyard, W. R. (1982). Information Response Models: An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46(1), 81-93. https://doi.org/10.2307/1251162
- 오영호 (2019). SNS 콘텐츠 정보특성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지식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 곽동성, 권진희, 임기홍 (2014).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제공성이 애플리케이션 선호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용빈도를 조절효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113-121.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113
- 김다솜 (2021). SNS 콘텐츠 유형에 따라 SNS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초년생 1인 가구와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 Tolstedt, B. E., and Stokes, J. P. (1983). Relation of verbal, affective, and physical intimacy to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4), 573.
- 박성복, 황하성 (2007).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친밀감, 공동 공간감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1(6), 469-494.
- 이동훈, 이민훈, 박성민, 이준환 (2010).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와 기업의 新소통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0.
- 권미정 (2020). 뷰티 유튜브 영상 구독시스템 이용동기 및 지속구독의도 분석 - 채널의 영상시간에 따른 조절효과 및 뷰티채널의 특성에 따른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Fishbein, M., and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 Featherman, M., and Pavlou, P. (2003).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59(1), 451-474. https://doi.org/10.1016/S1071-5819(03)00111-3
- 박정숙 (2013).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SNS 특성이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Bolton, N., and Katherine, N. (1999). A dynamic model of customers' usage of services: Usage as an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2), 171-186. https://doi.org/10.2307/3152091
- McDougall G. H. G., and Levesque, T. (2000).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s: Putting Perceived Value Into the Equation,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4(5), 392-410. https://doi.org/10.1108/08876040010340937
-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https://doi.org/10.2307/3150499
- Reichheld, F. F., and Schefter, P. (2000). E-loyalty: your secret weapon on the web. Harvard Business Review, 78(4), 105-113.
- 노미진 (2005). 모바일 특성이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Cooper, R. G. (1997). Examining some myths about new product winners, In Katz, R., ed. The Human Side of Managing Technological Innovation, Oxford, 550-560.
- Wallis (1997). Financial Systems Inquiry Final Report.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 박재형 (2022). 공공기관 정책홍보 정보제공유형 차이에 따른 시청자 태도 분석 : 국무총리실 정보 유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양영순 (2014). 플로우(flow) 경험에 따른 소셜 미디 어의 상호작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목적지 선택 전, 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 조진호 (2018).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 분석: 신뢰와 고객만족의 다중매개효과와 사용자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34(1), 99-126. https://doi.org/10.22793/INDINN.2018.34.1.005
- 배재권 (2013). 소셜커머스 서비스의 재구매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4(2), 199-224. https://doi.org/10.15719/GEBA.14.2.201306.199
- Nunnally, J. C., and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ition, New York: McGraw-Hill.
- Bagozzi, R. P., and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 윤철호, 김상훈 (2014). R을 이용한 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튜토리얼 : 예시 연구모형 및 데이터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6(3), 89-112. https://doi.org/10.14329/isr.2014.16.3.089
- Gefen, D., and Straub, D. W. (2005).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IS, 16(1), 91-109. https://doi.org/10.17705/1CAIS.0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