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of Virtual Human Disclosure: The Impact of Identity Exposure on Users' Attitude Toward the Ad and Source Credibility

가상 인간의 정체성 노출이 소비자의 광고 태도와 정보원 공신력에 미치는 영향

  • 손영준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 정윤혁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23.03.20
  • Accepted : 2023.05.09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Recently, Virtual Human(VH) has begun to appear in various media, not only on social media, but also in advertisements, music sources, and dramas. Virtual human has become a primary marketing tool for companies, but there also exist concerns when the companies do not disclose the identities of virtual huma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users' responses toward content that features virtual human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exposure of virtual humans in the content affects users' perceptions. Therefore,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VH Disclosure(VHD)', referring to the exposure of the virtual human's identity, and explored the impact of VH disclosure on attitude toward the ad (Hedonism, Utilitarianism, and Interestingness) and source credibility (Trustworthiness and Expertise).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urvey with 302 respondents. Regardless of when the ad featured a VH or a hum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sers' attitudes and source credi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to disclose the VH in social media feeds than directly reveal the VH's identity in the content. Therefore, this study utilizes a new concept of 'VH Disclosure(VH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VH and contributes to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optimized for consumers in the creation of virtual human-related content.

최근 가상 인간(Virtual Human: VH)이 SNS뿐만 아니라 음원, 광고,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가상 인간은 기업의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 인간이 등장하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인간에 대한 표기 여부가 소비자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인간에 대한 정체성을 노출시키는 '가상 인간 디스클로저(Virtual Human Disclosure: VHD)'의 개념을 제시하고 광고 태도(유희성, 실용성, 그리고 흥미)와 정보원 공신력(신뢰성과 전문성)을 변인으로 활용하여 가상 인간 디스클로저의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302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험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영상에 등장하는 모델이 가상 인간인 경우와 사람인 경우 모두 소비자들의 광고 태도와 정보원 공신력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상 인간 디스클로저가 영상에 직접적인 텍스트 형태로 제시되는 것보다 광고시청 후 SNS와 소개글을 통해 간접적으로 모델이 가상 인간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가상 인간 디스클로저라는 새로운 개념을 활용하여 가상 인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이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시 마케팅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대학ICT연구센터지원사업(IITP-2020-0-01749)과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19S1A3A2099973)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고희진, "가상인간 '로지'의 첫 노래는?...얼굴 넘어 목소리까지 인간처럼", 경향신문, 2022.2.23., Available at: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202231522001. 
  2. 공리, 배수진, 권오병, "가상 휴먼 강사의 인간 유사도가 교육 콘텐츠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2권, 제7호, 2022, pp. 524-539. 
  3. 김동환, 이준환, "로봇 저널리즘:알고리즘을 통한 스포츠 기사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2015, pp. 64-95. 
  4. 김민지, ""유희열도 감탄한 '이 여성' 누구야" 고정 출연까지 꿰찼다", 해럴드경제, 2022.6.9., Available at: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609000848. 
  5. 김연미, 한진수, "호텔 웹 광고의 광고속성이 광고 태도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제12권, 제1호, 2011, pp. 1-16.  https://doi.org/10.15813/KMR.2011.12.1.001
  6. 김유민, "버추얼인플루언서의 존재와 윤리적 문제에 관한 고찰: 로지의 콘텐츠를 바탕으로",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10호, 2022, pp. 1911-1918.  https://doi.org/10.33097/JNCTA.2022.06.10.1911
  7. 김주향, 조미희, "배달앱의 광고속성이 광고 태도,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3호, 2019, pp. 307-324.  https://doi.org/10.31336/JTLR.2019.3.31.3.307
  8. 김혜진, 마지나, 장곤우, 배병렬, "인플루언서 특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보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2, pp. 29-52.  https://doi.org/10.18032/kaaba.2022.35.1.29
  9. 나스미디어, "가상 인플루언서 사례 및 전망", 트렌드 & 이슈 리포트, 2021. 
  10. 남경태, "광고에 대한 태도란 무엇인가? 개념의 사용 현황과 문제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3호, 2015, pp. 27-55. 
  11. 류빈, ""류이드․무아인이 뭐지?"...가상인간 모델 내세우는 유통가", 아시아타임즈, 2022.6. 15., Available at: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20614500347. 
  12. 류은아, "뷰티 인플루언서의 진정성이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3권, 제2호, 2021, pp. 77-112.  https://doi.org/10.16914/kjapr.2021.23.2.77
  13. 박노현, "인터넷 광고가 웹사이트 태토,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패밀리 레스토랑 홈페이지 광고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 연구, 제11권, 제2호, 2002, pp. 115-132. 
  14. 박소진, 오창규, "인플루언서 속성이 유튜브 정보수용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30권, 제1호, 2021, pp. 179-204. 
  15. 박재영, "LG가 만든 가상인간 '래아' 뜬다", 매일경제, 2021.1.8., Available at: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1/25713/. 
  16. 박진우, "가상 인플루언서의 속성과 모방의도, 이용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제8권, 제3호, 2022, pp. 245-251.  https://doi.org/10.17703/JCCT.2022.8.3.245
  17. 박철우, 김은진, 장정주, 안중호, "정보 가치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 광고 가치의 설명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8권, 제2호, 2006, pp. 29-49. 
  18. 서영, 조영, 심성욱,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가 화장품제품의 광고 태도, 만족도, 공유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의 인스타그램과 중국의 샤오홍슈의 비교를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제19권, 제1호, 2022, pp. 5-36. 
  19. 성정은, "가상인간 한유아, 광동 옥수수수염차 모델 발탁", 매일경제, 2022.4.13., Available at: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4/329993/. 
  20. 신경아, 한미정,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인도스먼트(endorsement) 영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플루언서의 특성, 콘텐츠의 특성, 의사사회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23권, 제5호, 2019, pp. 35-71.  https://doi.org/10.15814/JPR.2019.23.5.35
  21. 심재덕, 이상학, "인공지능(A.I.)의 보증인 광고효과 분석: 수용자의 혁신성과 의인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2020, pp. 239-249.  https://doi.org/10.15207/JKCS.2020.11.7.239
  22. 안정용, 성용준, "인간 vs. 가상인간 인플루언서의 광고 설득효과 비교: 지각된 역량,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33권, 제8호, 2022, pp. 31-52.  https://doi.org/10.14377/KJA.2022.11.30.31
  23. 안하늘, ""사실 저 가상인간이에요" 그녀의 깜짝 고백에도 Z세대는 더 열광했다", 한국일보, 2022.9.8., Available at: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82310450004138. 
  24. 유상진, 김효정, Hung-Lian Tang, "모바일 광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9권, 제1호, 2007, pp. 1-21.  https://doi.org/10.22509/kfsa.2007.3.1.001
  25. 윤주영, "볼 때마다 깜짝 놀라는 '가상 인플루언서'...광고, 연기 이어 음반까지", 한국일보, 2022.3.6., Available at: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22514140000962?did=NA. 
  26. 이동아, 홍성철, 박유란,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22권, 제1호, 2021, pp. 55-79.  https://doi.org/10.52558/ISM.2021.04.22.1.55
  27. 이모란, 신성빈,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6권, 제3호, 2022, pp. 1-37. 
  28. 이승진, " [가상인간2.0]10분 안에 나를 닮은 '가상인간'이 탄생한다", 아시아경제, 2022.9.14., Available at: https://www.asiae.co.kr/article/2022090614242667163. 
  29. 이원태, 차미영, 양해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2호, 2011, pp. 44-79.  https://doi.org/10.22174/JCR.2011.48.2.44
  30. 이진균,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공신력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인간다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4권, 제4호, 2022, pp. 347-385.  https://doi.org/10.16914/kjapr.2022.24.4.347
  31. 이희진, 이수빈, 김지연, "가상 인간의 프라이버시 침해 예방을 위한 인공지능 윤리 및 개인정보보호법 동향 연구", 한국통신학회지, 제39권, 제12호, 2022, pp. 8-15. 
  32. 장서진, 한다은, 오창훈, "국내 언론에 나타난 가상 인간 윤리 이슈 파악: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1호, 2022, pp. 2307-2316.  https://doi.org/10.9728/dcs.2022.23.11.2307
  33. 조단양, 한광섭,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4권, 제3호, 2022, pp. 135-169.  https://doi.org/10.16914/kjapr.2022.24.3.135
  34. 조유빈, "대기업이 가상인간에 투자하는 이유", 시사저널, 2021.12.7., Available at: https://n.news.naver.com/article/586/0000032096. 
  35. 주보아, 백진주, "광고 디스클로저와 인플루언서 공신력에 관한 설득효과 연구: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사회과학연구, 제59권, 제2호, 2020, pp. 498-530. 
  36. 차유채, "가상인간 로지, 벌써 10억 벌었다...명품 모델→드라마 출연까지?", MBN뉴스, 2021.9.28., Available at: https://www.mbn.co.kr/news/economy/4604614. 
  37. 추이지엔동, 송승근. "로봇 저널리즘 연구 동향 및 미래 전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4권, 제2호, 2020, pp. 333-336.  https://doi.org/10.6109/JKIICE.2020.24.2.333
  38. 한국마케팅연구원, "가상 인플루언서의 진화", 마케팅, 제55권, 제9호, 2021, pp. 16-27. 
  39.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인간 인플루언서를 위협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사례와 경쟁력", 미디어 이슈 트렌드, 2020, pp. 22-29. 
  40. 한기향, "국내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인스타그램 수용자 반응",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11호, 2021, pp. 471-483.  https://doi.org/10.14400/JDC.2021.19.11.471
  41. 황서이, 이명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광고 모델로서의 '가상 인플루언서'인식변화분석: 언론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3권, 제4호, 2021, pp. 265-299.  https://doi.org/10.16914/kjapr.2021.23.4.265
  42. Al-Emadi, F. A. and I. Ben Yahia, "Ordinary celebrities related criteria to harvest fame and influence on social media", Journal of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Vol.14, No.2, 2020, pp. 195-213.  https://doi.org/10.1108/JRIM-02-2018-0031
  43. Aronson, E., "The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A current perspectiv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4, 1969, pp. 1-34.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075-1
  44. Arsenyan, J. and A. Mirowska, "Almost human?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social media presence of virtual influen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Vol.155, No.1, 2021, p. 102694. 
  45. Brown, S. P. and D. M. Stayma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ttitude toward the AD: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9, No.1, 1992, pp. 34-51.  https://doi.org/10.1086/209284
  46. Carr, C. T. and R. A. Hayes, "The effect of disclosure of third-party influence on an opinion leader's credibility and electronic word of mouth in two step flow",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14, No.1, 2014, pp. 38-50.  https://doi.org/10.1080/15252019.2014.909296
  47. Childers, C. C., L. L. Lemon, and M. G. Hoy, "# Sponsored# Ad: Agency perspective on influencer marketing campaigns", Journal of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Vol.40, No.3, 2019, pp. 258-274.  https://doi.org/10.1080/10641734.2018.1521113
  48. Cooper, J. and G. H. Fazio, "A new look at dissonance theor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17, 1984, pp. 229-266.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121-5
  49. De Jans, S., V. Cauberghe, and L. Hudders, "How an advertising disclosure alerts young adolescents to sponsored vlogs: The moderating role of a peer-based advertising literacy intervention through an informational vlog", Journal of Advertising, Vol.47, No.4, 2018, pp. 309-325.  https://doi.org/10.1080/00913367.2018.1539363
  50. Djafarova, E. and C. Rushworth, "Exploring the credibility of online celebrities'Instagram profiles in influencing the purchase decisions of young female us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8, 2017, pp. 1-7.  https://doi.org/10.1016/j.chb.2016.11.009
  51. Erdogan, B. Z., "Celebrity endorsement: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15, No.4, 1999, pp. 291-314.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379
  52. Hovland, C. I., I. L. Janis, and H. H. Kelley,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Psychological Studies of Opinion Chan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3. 
  53. Hoy, M. G. and J. C. Andrews, "Adherence of prime-time televised advertising disclosures to the "Clear and Conspicuous" standard: 1990 Versus 2002",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Vol.23, No.2, 2004, pp. 170-182.  https://doi.org/10.1509/jppm.23.2.170.51397
  54. Kietzmann, J., L. W. Lee, I. P. McCarthy, and T. C. Kietzmann, "Deepfakes: Trick or treat?", Business Horizons, Vol.63, No.2, 2020, pp. 135-146.  https://doi.org/10.1016/j.bushor.2019.11.006
  55. Kotler, P., Marketing Management, 5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London, 2003. 
  56. Lafferty, B. A., R. E. Goldsmith, and L. R. Flynn, "Are innovators influenced by endorser expertise in an advertisement when evaluating a high technology produc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13, No.3, 2005, pp. 32-48.  https://doi.org/10.1080/10696679.2005.11658548
  57. Leite, F. P. and P. P. Baptista, "The effects of social media influencers' self disclosure on behavioral intentions: The role of source credibility, parasocial relationships, and brand trus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30, No.3, 2022, pp. 295-311.  https://doi.org/10.1080/10696679.2021.1935275
  58. Luo, X., S. Tong, Z. Fang, and Z. Qu, "Frontiers: machines vs. humans: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disclosure on customer purchases", Marketing Science, Vol.38, No.6, 2019, pp. 937-947. 
  59. Masteralexis, J., S. McKelvey, and K. Statz, "#IAMAROBOT: Is it time for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to rethink its approach to virtual influencers in sports, entertainment, and the broader market?", Harvard Journal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Vol.12, 2021, pp. 54-386. 
  60. Mathur, S., 10 Virtual Influencers You Need to Follow In 2020, Itp Live, Available at: https://itp.live/content/5994-cgi-virtual-influencers-2019, 2020. 
  61. McCracken, G.,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6, No.3, 1989, pp. 310-321.  https://doi.org/10.1086/209217
  62. Mitchell, A. A. and J. C. Olson,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pp. 318-332.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306
  63. Montal, T. and Z. Reich, "I, Robot. You, Journalist. Who is the Author?", Digital Journalism, 2016, pp. 1-21. 
  64. Moustakas, E., N. Lamba, D. Mahmoud, and C. Ranganathan, "Blurring lines between fiction and reality: Perspectives of experts on marketing effe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s", In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 Security and Protection of Digital Services (Cyber Security), 2020, pp. 1-6. 
  65. Ohanian, 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Vol.19, No.3, 19990, pp. 39-52.  https://doi.org/10.1080/00913367.1990.10673191
  66. Olney, T. J., M. B. Holbrook, and R. Batra,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The effects of ad content, emotions, and attitude toward the ad on viewing tim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7, No.4, 1991, pp. 440. 
  67. Park, E.,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arly adoption of new media: Focused on innovativeness, conspicuous consumption, perception of new media characteristic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19, No.1, 2008, pp. 90-110. 
  68. Petty, R. E., R. H. Unnava, and A. J. Strathman, Theories of Attitude Change, 1991. 
  69. Research PRISM, "가상 인플루언서(Virtual Influencers) 마케팅의 사례와 확장을 위한 극복 과제", STRABASE, 2020. 
  70. Robinson, B., "Towards an Ontology and Ethics of Virtual Influencers", Australasi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4, 2020, pp. 1-8.  https://doi.org/10.3127/ajis.v24i0.2807
  71. Rogers, E. M.,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Communication Research, Vol.3, No.2, 1976, pp. 213-240.  https://doi.org/10.1177/009365027600300207
  72. Rogers, E. M., "Diffusion of preventive innovations", Addictive Behaviors, Vol.27, No.6, 2002, pp. 989-993.  https://doi.org/10.1016/S0306-4603(02)00300-3
  73. Schouten, A. P., L. Janssen, and M. Verspaget, "Celebrity vs. Influencer endorsements in advertising: The role of identification, credibility, and Product-Endorser fit",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019, pp. 1-24. 
  74. Sheth, J. N., "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LDC) in Diffusion Research", Research in Marketing, Vol.4, 1981, pp. 273-282. 
  75. Stafford, M. R. and E. Day, "Retail services advertising: The effects of appeal, medium, and service",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1, 1995, pp. 57-71.  https://doi.org/10.1080/00913367.1995.10673468
  76. Van der Waldt, D., M. Van Loggerenberg, and L. Wehmeyer, "Celebrity endorsements versus created spokespersons in advertising: A survey among students", SAJEMS, Vol.12, No.1, 2009, pp. 110-114.  https://doi.org/10.4102/sajems.v12i1.263
  77. Vrontis, D., A. Makrides, M. Christofi, and A. Thrassou, "Social media influencer marketing: A systematic review, integrative framework and future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45, No.4, 2021, pp. 617-644. https://doi.org/10.1111/ijcs.12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