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Housing Cost Burden on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Public Rental Housing: Focused on the housing tenure and income level

주거비 부담수준이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택점유형태와 소득수준을 중심으로 -

  • 한수정 (성균관대학교 도시발전연구소)
  • Received : 2023.01.09
  • Accepted : 2023.03.06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ousing cost burden on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mpirical analysis, I used the 2019 Korea Housing Survey and divided the households based on housing tenure and income level and they are as follows: homeowners, renters and low income, middle income and above. As analysis method, the binomial logit model is used and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burden of housing costs was increased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public rental housing even in homeowners and households with middle income or higher.

주택가격의 가파른 상승과 전·월세 가격 및 대출금리의 상승은 주거비 부담을 높이고 주거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거비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공공임대주택 입주대상의 소득기준 확대 등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입주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합한 방안이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택점유형태(자가, 임차)와 소득수준(저소득, 중소득 이상)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2019년 주거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이항 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i)주거비 부담은 임차가구 뿐 아니라 자가가구에도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의향을 높이며, ii)저소득가구 뿐 아니라 중소득 이상의 가구에도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성균관대학교 박사후 교내 연수지원 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승엽.전희정, 2020,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수준과 결정요인. 지역연구, 36(4), 25-42. https://doi.org/10.22669/KRSA.2020.36.4.025
  2. 권건우.진창하, 2016,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4(3), 49-69.(1996).
  3. 권연화.최열, 2015,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4).
  4. 김주현.안용진, 2016, 공공 임대주택 입주의향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신혼가구를 대상으로. 국정관리연구, 11(3), 241-259. https://doi.org/10.16973/JGS.2016.11.3.010
  5. 남영우, 2021, 세대별 공공임대주택 이주의향에 대한 연구. LHI 저널, 12(1), 45-55.
  6. 박서연.전희정, 2019,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 결정요인 분석: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비교연구. 국토계획, 54(3), 27-48. https://doi.org/10.17208/jkpa.2019.06.54.3.27
  7. 유병선.정규형, 2017,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26, 1-38.
  8. 이경영.전희정, 2018, 점유형태별 주거비부담능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지역 간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3(4), 143-161. https://doi.org/10.17208/jkpa.2018.08.53.4.143
  9. 이창효, 2016, 주택 임차가구의 임차유형별 주거만족 요인 실증분석: 수도권 거주 공공임대와 일반임차 가구를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6(2), 1-23. https://doi.org/10.26700/shuri.2016.12.6.2.1
  10. 정기성.기윤환, 2018, 수요 특성별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분석-인천광역시 청년, 육아가족, 노인 계층 중심으로. 주택연구, 26(4), 29-52.
  11. 정기성, 2018, 인공신경망 분석을 활용한 인천시 주거취약계층의 행복주택 입주의향에 미치는 요인 분석. 주택연구, 26(3), 55-78. https://doi.org/10.7851/ksrp.2018.24.3.055
  12. 정선호, 양태석, & 박중규, 2019,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에 관한 종합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3), 323-346.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23
  13. 최웅선.이용모, 2015,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효과성 분석: 국민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3), 313-339. https://doi.org/10.23036/KAPAE.2015.25.3.012
  14. 최희용.전희정, 2017,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이동방향 간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분석. 도시행정학보, 30(1), 163-180. https://doi.org/10.36700/KRUMA.2017.03.30.1.163
  15. 하성규.서종녀, 2006,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4(3), 159-181.
  16. 한수정.전희정, 2018a, 공공임대아파트 거주자와 일반아파트 거주자의 정신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56.
  17. 한수정.전희정, 2018b,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성향점수매칭 및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7(4), 67-103.
  18. 한수정, 2020,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차이 및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한수정.전희정, 2021,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차이. 한국행정학보, 55(3), 409-446. https://doi.org/10.18333/KPAR.55.3.409
  20. 국토교통부, 2021,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요약보고서>
  21. 국토연구원, 2020,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요약보고서>
  22. 국토연구원, 2020, <공공임대주택 유형통합 임대료 체계 및 재원구조 등 수립연구>
  23. 국토연구원, 2021, <초고령사회 선제적 대응을 위한 지원주택 추진방향 설정 및 사업모델 개발 연구>
  24.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2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26. Clark, W. A., Deurloo, M. C., & Dieleman, F. M., 2003, Housing careers in the United States, 1968-93: Modelling the sequencing of housing states. Urban Studies, 40(1), 143-160. https://doi.org/10.1080/00420980220080211
  2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for the social sciences. Hillsdale, NJ: Laurence Erlbaum and Associates, 1988, 98-101.
  28. Jun, H. J., & Han, S., 2020,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Stress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ocial-Mix and Independent Public Housing Complex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8), 6788.
  29. Jun, H. J., & Jeong, H., 2018,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social-mix housing complexes: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Urban Policy and Research, 36(3), 319-335.
  30. Kendig, H. L., 1984, Housing careers, life cycle and residential mobility: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market. Urban Studies, 21(3), 271-283. https://doi.org/10.1080/00420988420080541
  31. Kendig, H. L., 1990, A life course perspective on housing attainment. Housing demography: Linking demographic structure and housing markets, 133-156.
  32. McFadden, D., 1981, Econometric models of probabilistic choice. Structural analysis of discrete data with econometric applications, 198272.
  33. Raedene Combs, E., & Olson, L., 1990, Differences in housing expenditure/income and utility expenditure/income ratios by selected characteristics of rural home owners. Housing and Society, 17(3), 27-36. https://doi.org/10.1080/08882746.1990.11430079
  34. Reingold, D. A., Van Ryzin, G. G., & Ronda, M., 2001, Does urban public housing diminish the social capital and labor force activity of its tenant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ublic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0(3), 485-504. https://doi.org/10.1002/pam.1004
  35. Ross, C. E., Mirowsky, J., & Pribesh, S., 2001, Powerlessness and the amplification of threat: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mistrus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8-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