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dure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교육시설의 안전인증 평가절차 개선 연구

  • 한승훈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 최승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토목공학과)
  • Received : 2023.01.03
  • Accepted : 2023.03.02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adequacy and applicability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was implemented in 2021 and to derive possible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examined similar systems from abroad, conducted interviews with certification experts, and presented the proposed improved system to experts for review and advice. The proposed model replaced the current certification process with three stages of follow-up management. This allows for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mposition of evaluators to be prevented by applying a feedback system. In the review stage of the newly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certification experts recommended specifying the detailed standards of certification performance such as criteria for selecting examiners and arbitrators. They concluded that there were no fatal flaws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view,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was proven to be an effective improvement to the existing system.

본 연구는 2021년부터 시행된 교육시설 안전인증제도의 적정성 및 적용성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기존 인증제도 분석 및 해외 교육시설 안전 및 환경평가제도 사례 탐구, 인증 수행 전문가 대상 FGI를 통한 보완 및 개선점 도출, FGI 분석결과를 적용한 새로운 인증절차 모델 제시, 전문가 자문 기반 인증수행 모델 검토 및 객관성 부여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제시한 모델은 기존 제도에서 수행되었던 인증절차를 예비, 심사, 사후관리의 3단계로 세분화하여 운영되도록 구성했다. 인증절차의 각 단계에는 이론검토 및 FGI 과정에서 도출된 개선점을 보완한 피드백 시스템을 적용하여 평가 과정 및 평가자 구성상 발생할 수 있는 실제적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절차를 구성했다. 연구결과에 따라 제시된 인증수행 모델은 인증제도 운영위원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문을 수행했으며, 심사자 및 중재자 선정기준 등 인증수행 모델의 세부기준에 대한 명시를 권고했으며, 전반적인 평가체계의 구조에 치명적인 결함이 없다는 자문결과를 도출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증수행 모델 개선안의 객관적 검토를 함께 수행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교육부 학술연구용역사업(교육시설안전 인증 제도의 환류 체계구축을 위한 개선에 관한 연구)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NRF-2021R1A2C2011893)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맹준호.김관영.김성중.박영빈.신소영.김효선 (2020), "학교시설 외부 안전환경 현황 조사연구 -학교 주변 통학로를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논문집」, 19(2): 1~10.
  2. 박해미.신현주(2006), "유아교육기관 및 보육시설의 평가인증 지표 비교연구 -건강과 영양, 안전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논문집」, 2(2): 125~146.
  3. 백지원(2020), "국제안전인증학교(ISS)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학교 안전문화 확산 방안 연구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4. 성은영.조상규.고은정.이진민(2009), 「학교시설의 성능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안양: 건축도시공간연구소.
  5. 이대균(2005),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도 비교 분석", 「유아교육학론집」, 9(2): 125~150.
  6. 이재림(2015), "국제안전인증학교 운영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일본 국제안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논문집」, 22(6): 23~34.
  7. 조진일.강석진.박성철.최형주.박희원(2012), 「학교 시설 범죄예방디자인 평가모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황준성(2018), 「교육복지 거버넌스 혁신 방안 연구」,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9. ACPO Secured by Design (2014), Secured by Design Official Police Security Initiative - NEW SCHOOLS 2014, London: Association of Chief Police Officers.
  10. Florida Department of Education (2003), Florida Safe School Design Guidelines-Strategies to Enhance Security and Reduce Vandalism, Tallahassee: Florida Department of Education.
  11. NAEYC Accreditation (2019), NAEYC Early Learning Program Accreditation Standards and Assessment Items, Washingto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2. Ministry of Education, "2021 Policy Research Project Researcher Offering", Accessed September 14, 2021.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33&boardSeq=8483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501&opType=N. (in Korean)
  13. National Research Safety Information System, "LAB.LMO Safety Education", Accessed September 17, 2021. https://edu.labs.go.kr/front/index.do. (in Korean)
  1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ct on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Accessed September 16, 2021. https://www.law.go.kr/LSW/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A%B5%90%EC%9C%A1%EC%8B%9C%EC%84%A4#undefined.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