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채용공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괜찮은 일자리 공급의 산업 및 지역입지 특성분석

Analysis of Industri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Decent Work Supply using Job Posting Big Data

  • 박정일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
  • 투고 : 2023.11.27
  • 심사 : 2023.12.19
  • 발행 : 2023.12.30

초록

본 연구는 괜찮은 일자리 공급의 산업 및 지역입지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워크넷 Open API를 활용하여 최근 1년의 채용공고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제조업은 전체 괜찮은 일자리 공급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체 괜찮은 일자리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등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도시권 내부 괜찮은 일자리의 입지는 대도시권별로 차별적인 특성을 보였다. 일부 대도시권은 제조업에서 큰 규모의 질 좋은 일자리 공급이 있었지만 지역의 중심부보다는 주변지역에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 다른 대도시권은 중심부에서 직주근접의 질 좋은 일자리를 공급하고 있지만 그 규모가 적은 문제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질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제조업에 대한 정책지원의 필요성과 더불어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일자리 질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개입을 시사한다. 또한 대도시권별 맞춤형 일자리 전략의 수립과 특히 직주 근접을 고려한 일자리 공급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Using extensive job posting big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dustri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decent work from the supply side.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ufacturing is pivotal in supplying decent work, accompanied by a stark regional disparity, most notable in the Seoul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MSA), which constitutes nearly half of all decent work opportunities. The study further uncovered that the distribution of decent work varies significantly across MSAs, with a pronounced inclination towards a higher supply in peripheral rather than central areas. These findings bring to light the critical need for policies that bolster manufacturing, aiming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high-quality jobs and to bridge the job quality gap between the Seoul MSA and other regions. Moreover, th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customized job supply strategies in each MSA, prioritizing strategies that account for the proximity between workplaces and living areas in the job supply proces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22R1A2C2004671)으로 수행됨

참고문헌

  1. 강중구.김형주, 2013, 좋은 일자리 관점에서 본 한국 고용의 현주소, 「LGERI리포트」.
  2.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2023, 워크넷: 한국직업사전,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Intro.do?pageType=jobDicNotes (2023. 9. 2)
  3. 김범식.김묵한, 2014, 「서울시 괜찮은 일자리 실태분석과 정책방향」, 서울: 서울연구원.
  4. 김은하, 2007, 일자리의 질과 노동생산성 및 분배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30(3), pp.115-141. https://doi.org/10.15855/swp.2007..30.115
  5. 김은혜, 2023, 지역 청년, 수도권 유출 이유는? 일자리 수 뿐만 아니라 일자리 질과 여건도 영향. 대구MBC (2023. 11. 03).
  6. 박상현, 2017, 대졸 청년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및 정책과제. 「2017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pp.665-681,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7. 박정일, 2016, 고용접근성에 기반한 산업단지 교외화 지수 개발 및 적용, 「국토계획」,50(6), pp.159-172
  8. 방하남.이영면.김기헌.김한준.이상호, 2007, 「고용의질거시.기업.개인수준에서의 지표개발 및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9. 이다혜.주경식, 2013, 대도시 교외지역 제조업 입지와 종사자의 거주지: 양산시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 pp.641-653.
  10. 이상헌, 2005, ILO Decent work: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국제노동브리프」, 3(7), pp.4-11.
  11. 이상호.서룡.박선미.황규성.김필, 2021,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 충북 음성군: 한국고용정보원
  12. 정성배.이지우, 2018,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 영향 요인 지역 비교. 「지역사회연구」, 26(4), pp.189-206. https://doi.org/10.22921/JRS.2018.26.4.010
  13. 조성철.강호제.박정은.김다윗.탁혜영, 2019, 「청년친화형 산업공간 육성전략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14. 지은정, 2022, 청년과 고령자의 일자리 세대담론에 대한 연구: 일자리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9(2), pp.149-186. https://doi.org/10.17000/KSPR.29.2.202206.149
  15. 통계청, 2023,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일자리행정통계」.
  16. 하수정.이차희.심혜민.이종표, 2022, 청년의 지역이동과 정착.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제11호, 국토연구원
  17. 홍광표.설귀환.박상오.문혜정, 2019,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를 활용한 숙련수요 분석」, 세종: 한국지역능력개발원.
  18. 황광훈, 2021, 지역별 청년 노동시장 동향 및 일자리의 질 비교. 「고용동향브리프」, 2021년 6호, 한국고용정보원.
  19. Bluestone, B., & Harrison, B., 1982, The Deindustrialization of America. New York: Basic Books, Inc.
  20. Cazes, S., Hijzen, A., & Saint-Martin, A., 2015, Measuring and assessing job quality: the OECD job quality framework.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No.174.
  21. European Commission, 2001, Employment in Europe 2001: recent trends and prospects, Publications Office.
  22. Fitzgerald, J., & Leigh, N. G., 2002, Economic revitalization: Cases and strategies for city and suburb, Sage.
  23. Green, Francis, 2005, [OECD]선진국에서의 '고용의 질' 개념의 발전, 「고용동향브리프」, 3(7), pp.24-30. 한국노동연구원.
  24. Helper, S., Krueger, T., & Wial, H., 2012, Why Does Manufacturing Matter? Which Manufacturing Matters?, Washinton, DC: Brookings Institution.
  25. Hindery, L., 2009, FDR had it right: If the economy is going to come back, we need to buy - and make - American, The American Prospect.
  26.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1999,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tor General,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87th Session.
  27.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2020, The feasibility of using big data in anticipating and matching skills needs, International Labour Office - Geneva: ILO.
  28. Leigh, N. G., 1994, Stemming Middle Class Decline: The Challenges to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New Brunswick, NJ: Center for Urban Policy Research.
  29. OECD, 2003, OECD Employment Outlook: Towards More and Better Jobs.
  30. Park, J-I., 2023, Re-urbanization pattern of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manufacturing in South Korea, Cities, 137, 104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