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글 두 글자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글자 빈도, 글자 유형, 받침이 미치는 영향: KLP 자료의 분석

The Effect of Syllable Frequency, Syllable Type and Final Consonant on Hangeul Word and Pseudo-word Lexical Decision: An Analysis of the Korean Lexicon Project Database

  • Myong Seok Shin (Department of Psych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angHo Park (Department of Psych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2.22
  • 심사 : 2023.12.23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심성어휘 데이터베이스(KLP-DB)의 분석을 통해 글자 빈도, 글자의 모음 유형, 받침 유무 등 글자 수준 정보가 두 글자로 된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응시간과 오반응률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어의 어휘판단에는 단어빈도가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첫째 글자의 빈도,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모음 유형과 받침 유무와 같은 글자 속성이 영향을 미쳤고, 두 글자의 모음 유형의 조합 및 둘째 글자의 빈도와 받침 유무의 조합도 영향을 주었다. 비단어의 어휘판단에는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빈도, 첫째 글자의 모음 유형,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받침 유무와 같은 글자 속성이 영향을 미쳤고, 두 글자의 사용빈도의 조합, 모음 유형의 조합, 및 첫째 글자의 빈도와 받침의 조합도 영향을 주었다. 단어빈도는 단어의 어휘판단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글자속성은 단어보다 비단어의 판단에서 더 일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휘판단과제에서 단어와 비단어 목록의 구성 및 반응시간의 해석에 글자 속성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가리킨다. 글자 속성의 효과에 대한 이해는 단어 재인 과정의 이해에도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lexical decision of two-syllable words or pseudo-words is affected by syllabic information, such as syllable frequency, syllable (i.e. vowel) type, and presence of final consonant (i.e. batchi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orean Lexicon Project Database (KLP-DB). Hierarchical regression of RT data showed that lexical decision of words was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the first syllable, the syllable type of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batchim for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and also by the interaction of the two syllable types and the interaction of syllable frequency and batchim of the second syllable. For pseudo-words lexical decision was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syllable type of the first syllable, and batchim for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and also by the interaction of the two syllable frequencies, the interaction of the two syllable types, and the interaction of syllable frequency and batchim of the first syllable. Word frequency had a strong effect on lexical decision of words, while syllabic information had a stable effect on the lexical decision of pseudo-wor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yllabic information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constructing word and pseudo-word lists and interpreting lexical decision time. Understanding the effect of syllabic information will als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word recognition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범모, 김흥규 (2009). 한국어 사용 빈도. 서울: 한국문화사.
  2. 고은태, 배성봉, 이윤형 (2022). 한글 글자 지각시 단어우월 효과: 어휘 속성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1), 11-24.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1.002
  3. 권유안 (2012). 첫 음절 토큰 빈도와 타입 빈도가 단어 및 유사 단어 어휘 판단 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4(4), 315-328.  https://doi.org/10.22172/COGBIO.2012.24.4.002
  4. 권유안 (2020). 한국어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음절 빈도 효과의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4), 291-303.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4.001
  5. 김민식, 정찬섭 (1989). 한글 자모구성 형태에 따른 자모 및 글자 인식. 인지과학, 1(1), 27-75. 
  6. 김정오 (1994). 한글 글자인식에서의 받침 정보. 성곡논총, 25(1), 693-727. 
  7. 김정오, 김재갑 (1992). 한글 단어재인에 있어서 글자처리와 낱자의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4, 36-51. 
  8. 민수영, 이창환 (2018).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음절 형태를 중심으로. 인지과학, 29(4), 193-220.  https://doi.org/10.19066/COGSCI.2018.29.4.001
  9. 박권생 (1995). 한글 단어 재인을 위한 시각 처리 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7(2), 61-78. 
  10. 박창호 (2006). 낱자의 집단화가 글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 글자 사용 여부 판단 과제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8(3), 173-185. 
  11. 배성봉 (2018). 비단어의 유형과 비율이 어휘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0(3), 301-307.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9
  12. 배성봉, 박권생, 이혜원, 이광오 (2016). 한국어 단어재인에서 한 글자 단어 열등 효과. 언어과학연구, 77, 109-125. 
  13. 이광오 (1993).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표기법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5, 26-39. 
  14. 이광오, 구민모, 남기춘, 박기남, 박태진, 배성봉, 이창환, 이혜원, 조증열 (2017). 한국어 심성어휘집 연구를 위한 어휘판단 데이터베이스.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9(4), 395-410.  https://doi.org/10.22172/COGBIO.2017.29.4.004
  15. 이은희, 이은주 (2019). 단어 빈도와 길이가 20대 성인과 노인의 어휘판단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논총, 35(3), 93-110. 
  16. 이준석, 김경린 (1989). 한글 낱말의 처리단위. 인지과학, 1(2), 221-239. 
  17. 조규영, 진영선 (1991). 회전된 단어 읽기에서 음절의 수 및 시각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3, 63-75. 
  18. 최양규 (1986). 음절수가 한글단어 재인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청구논문, 부산대학교.
  19. Brysbaert, M., Stevens, M., Mandera, P., & Keuleers, E. (2016). The impact of word prevalence on lexical decision times: Evidence from the Dutch Lexicon Project 2.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42(3), 441-458.  https://doi.org/10.1037/xhp0000159
  20. Carreiras, M., Alvarez, C, J., & DeVega, M. (1993). Syllable frequency and visual word recognition in Spanish.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2(6), 766-780.  https://doi.org/10.1006/jmla.1993.1038
  21. Carreiras, M., & Perera, M. (2004). Naming pseudowords in Spanish: Effects of syllable frequency. Brain and Language, 90(1-3), 393-400.  https://doi.org/10.1016/j.bandl.2003.12.003
  22. Coltheart, M., Rastle, K., Perry, C., Langdon, R., & Ziegler, J. (2001). DRC: a dual route cascaded model of visual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loud. Psychological Review, 108(1), 204-256.  https://doi.org/10.1037/0033-295X.108.1.204
  23. Fiset, D., Blais, C., Ethier-Majcher, C., Arguin, M., Bub, D., & Gosselin, F. (2008). Features for identification of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Psychological Science, 19(11), 1161-1168.  https://doi.org/10.1111/j.1467-9280.2008.02218.x
  24. Lee, C. H., & Taft, M. (2011). Subsyllabic structure reflected in letter confusability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8, 129-134.  https://doi.org/10.3758/s13423-010-0028-y
  25. Levelt, W. J., & Wheeldon, L. (1994). Do speakers have access to a mental syllabary?. Cognition, 50, 239-269.  https://doi.org/10.1016/0010-0277(94)90030-2
  26. Lupker, S. J., & Pexman, P. M. (2010). Making things difficult in lexical decision: the impact of pseudohomophones and transposed-letter nonwords on frequency and semantic priming effect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6(5), 1267-1289.  https://doi.org/10.1037/a0020125
  27. Monsell, S., Doyle, M. C., & Haggard, P. N. (1989). Effects of frequency on visual word recognition tasks: Where are the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8(1), 43-71.  https://doi.org/10.1037/0096-3445.118.1.43
  28. Simpson, G. B., & Kang, H. (2004). Syllable processing in alphabetic Korean. Reading and Writing, 17, 137-151.  https://doi.org/10.1023/B:READ.0000013808.65933.a1
  29. Stone, G. O., & Van Orden, G. C. (1993). Strategic control of processing in word recogn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9(4), 744-774. https://doi.org/10.1037/0096-1523.19.4.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