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민담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An Interpretation of the Fairy Tale "The King's Ass's Ear'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투고 : 2023.03.31
  • 심사 : 2023.06.24
  • 발행 : 2023.06.25

초록

본 민담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는 왕의 당나귀 귀가 이발사에 의해 발견되고, 그 비밀을 발설하지 못해 병이 난 이발사가 깊은 땅 구덩이에 비밀을 털어놓고 흙으로 덮지만 그 자리에서 자라난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면서 비밀이 폭로된다는 단순한 이야기로 등장인물은 왕과 이발사 뿐이다. 동서고금을 통해 전해 내려져 오는 이 민담은 우리나라에서도 경문왕 설화와 민담으로 전해져 오고,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이야기되고 있다. 어떤 것이 의식화되면 자동적으로 기계적인 것이 되는 경향으로 인해 진부해지기 때문에 경직되기 마련이다. 우리의 의식적인 삶이 경직되는 것을 피하고자 할 때 무의식에 있는 정신적 사건들의 흐름과 접촉을 통한 지속적인 갱신의 필요성이 생기는데, 집단적 의식의 내용들 중 가장 중심적 상징인 왕은 이러한 갱신의 필요성에 훨씬 따르게 마련이다. 심리학적으로 보자면 왕의 '당나귀 귀'는 삶의 흐름에서 잃어버린 근원적 감정과의 비합리적 접촉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발사는 영적 변환과 관련된 상징이며,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는 비밀스러운 지식을 드러내는 신과 관련된 상징으로 왕이 '당나귀 귀'로 만물의 소리를 듣고 변환되어 하나이자 전체가 되어야 하는 것은 신의 뜻이었던 것이다. 한 개체의 정신적 총체이며 역설적으로 또한 전체 집단적 무의식의 조절 중심을 나타내는 자기는 합리적이고 물질적인 시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인간 의식이 발달함에 따라 너무 멀리와 버려 잃어버린 인간의 근원적 층과 하나가 되어 변환될 것을 촉구하는 것 같다.

The fairy tale 'The King's Ass's Ears' is a simple story about a king and a barber. The king's 'Ass's ears' is discovered by the barber, who becomes sick due to his inability to reveal the secret. He eventually confesses the secret in a deep pit and covers it with soil, but a reed grows in that spot and reveals the secret when it sways in the wind. This fairy tale is registered in Stith Thompson's narrative type AT 782 as 'King Midas and His Ass's Ears', corresponding to a well-known story of King Gyeongmun in Korea, as it is published in elementary textbooks. When something becomes conscious, its automatic mechanical tendency leads to obsolete and rigid. To avoid rigidity in our conscious life, we need continuous renewal via contact with the flow of mental events in our unconscious. From the aspect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King's 'Ass's ears' enables irrational contact with the fundamental emotions lost in the flow of life. The barber symbolizes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the reed swaying in the wind symbolizes the revelation of secretive knowledge associated with the divine. The king can hear the sound of all creation and become one with it, which was the will of the divine. The Self, as the psychic totality of an individual and paradoxically also represents the regulating center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continually seeks to merge and transform with the lost primal layer of humanity, which has now become distant and discar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onscious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1978).
  2. 동아출판사 편집국, 이기문(감수) (1994):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3. 이부영 (2011): ≪분석심리학≫, 일조각, 서울.
  4. 이부영 (2011):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서울.
  5. 이부영 (2015):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서울.
  6. 이부영 (2002):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7. 이유경 (2012): "한국 민담에 나타난 대극의 합일", ≪심성연구≫, 27(1, 2),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8. 일연, 김원중(역) (2018): ≪삼국유사≫, 민음사, 서울.
  9. 임석재 (1990): ≪한국구전설화≫, 임석재전집 6, 충청북도, 충청남도 편. 평민사. 서울.
  10. 조희웅 (1996):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서울.
  11.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1996): ≪한국문화상징사전 1≫, 두산동아, 서울.
  12.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1996):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동아, 서울.
  1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집부(엮음) (1981-1989): ≪한국구비문학대계≫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15. Apuleius L, 송병선(역) (1999): ≪황금당나귀≫, 시와 사회, 서울.
  16. Blummel MV (1984): "Sacred symbols of reed and bamboo. annually built torches as spatial signs and symbols. a study of the building traditions of the 'ujigami' Shinto rituals as practiced around the town of Omihachiman in Japan" by Nold Egenter. Asian Folklore Studies, Nanzan University, 43(1), pp151. JSTOR, www.jstor.org/stable/1178109. 109
  17. Bough J (2011): "The Mirror has two faces: Contradictory reflections of Donkeys in western Literature from Lucius to Balthazar", Animals, 1(1), https://doi.org/10.3390/ani1010056.
  18. Bough J (2011): Donkey, Reaktion Books LTD, London.
  19. Cooper J, 이윤기(역) (2014):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서울.
  20. Crooke W (1911): "King Midas and His Ass's Ears", Folklore, 22(2).
  21. Curtis VS, 임웅(역) (2013): ≪페르시아 신화-대영박물관 신화 총서≫, 범우사, 서울.
  22. David G (2017): "The sacred meaning of the Reed: from Houses and Boats to rituals, ceremonies and portals," https://www.ancient-origins.net-008553.
  23. Elder GR (1996): The Body-An Encyclopedia of Archetypal Symbolism, Shambhala, Boston & London, https://Columbia.acadeia.edu.
  24. Frazer JG, 이용대(역) (1994): ≪황금가지≫, 한겨례출판, 서울.
  25. Grant M, Hazel J, 김진옥(역) (1993): ≪그리스 로마 신화사전≫, 범우사, 서울.
  26. Hannah B (2006): The Archetypal Symbolism of Animals, Chiron Publications, Wilmette.
  27. Jung CG (1954): CW 18, The Symbolic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8. Jung CG (1966):CW 16,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9. Jung CG (1984): Dream Analysis, Bollingen series xcix,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0.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역) (2002): C.G. 융 기본저작집 제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31. Jung CG (2002): C.G. 융 기본저작집 제5권,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솔출판사, 서울.
  32. Jung CG (2005): C.G. 융 기본저작집 제7권, ≪상징과 리비도≫, 솔출판사, 서울.
  33. Jung CG (2008): C.G. 융 기본저작집 제4권,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출판사, 서울.
  34. Jung CG (2006): C.G. 융 기본저작집 제8권,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서울.
  35. Kusku EA (2022): "Examination of Scientific Resolution Medicine on the Human Body", http://www.academia.edu/87500649.
  36. Kleczkowska K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tif of the Reed in the Mesopotamian myth of the flood and the Greek myth of King Midas," Ex Nihilo, 8 (Dec.2012).
  37. Moler AB (2012): The barber's manual. internet Archive; Digital Library of Free Books, Movies, Music & Wayback Machine.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of the Associated Master Barbers of America, 1, Jan. 1928. Web.19 March 2012.
  38. Paul Radin (1972): The Trickster, Schocken Books, New York.
  39. Sandars NK, 이현주(역) (2016): ≪길가메시 서사시≫, 범우사, 서울.
  40. Scobie A (1977): "A Korean Midas Tale", Folklore, 88(1), https://doi.org/10.1080/0015587X.1977.9716055.
  41. Von Franz ML (1980): Alchemy, Inner City Books, Toronto.
  42. Von Franz ML (1990): Individuation in Fairy Tales, Shambhala, Boston & London.
  43. Von Franz ML (1992): The Golden Ass of Apuleius, Shambhala. Boston & London.
  44. Von Franz ML (1997): Archetypal Patterns in Fairy Tales, Inner City Books, Toronto.
  45.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18):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융연구원, 서울.
  46. Von Franz ML 이도희(역) (2020): ≪황금당나귀≫, 한국융연구원, 서울.
  47. Von Franz ML 박영선(역) (2020): ≪민담 속의 여성성≫, 한국융연구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