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창업보육센터 역할에 대한 창업기업의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Startup Companies for the Role of Business Incubation Centers

  • Soo Kyung Kim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 투고 : 2023.05.25
  • 심사 : 2023.06.15
  • 발행 : 2023.06.30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satisfactory or unsatisfactory factors that startups either currently being occupied in or already left the business incubator made in a survey with a total of the sixteen firms responded. Among the sixteen, ten were the firms that have occupied in the business incubator and the six firms left the incubator. Mostly, the firms were satisfied with the incubator's roles with showing 4.4 satisfaction. The support for business facilities were the number one factor for the incubator has to do with the firms had positive answers from the firms. However, support for the production or sales showed less satisfaction compared to business facilities, a need that the incubator should improve the roles for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dium and long-term plans for the business incubator.

키워드

1. 서론

지난 10년 이상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창업보육센터는 국내 스타트업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사회 환경을 포함한 여러 환경의 변화 등으로 새로운 중장기 발전 모델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장기 모델을 개발하기에 앞서 전편의 연구[Kim, 2023]에서 살펴보았듯 기술을 포함한 기타 자원을 지원한 기업들에 창업보육센터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알아보는 것 또한 필요하다. 이것은 최종적으로는 창업보육센터의 중장기 지원모델을 개발하는 중간 단계로써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이 어느 부분은 만족스럽고 혹은 불만족스러운지를 알아보는 단계로 여겨진다. 즉,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하였거나 혹은 졸업한 기업들에 만족도 설문을 조사하여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에 대한 만족도를 바탕으로 어떤 점이 많은 도움이 되었고, 또 어떤 점이 불만족스러워 추후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창업보육센터의 새로운 중장기 발전모델을 개발하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정부정책 동향

창업보육센터는 창업 조기에 있는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시장에 들어가게끔 이들의 정착을 돕는 역할을 주로 하고 있다[Seo, 2005]. 자금지원을 포함, 기술지원이나 경영, 행정지원 등의 서비스를 창업 초기 단계의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Limb and Kim, 2011]. 창업보육센터와 관련된 국내정책으로 먼저 벤처투자 창업자금 선순환 방안이 있다[KCMI, 2014]. 벤처투자 자금의 선순환 촉진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 엔젤투자 세제혜택, 엔젤 매칭 R&D, 미래창조펀드 등의 융자에서 투자로 전환하는 창업 초기 단계가 있다. 둘째, 성장회수단계로 기술혁신형 M&A 세제특례, M&A 규제완화 등 M&A 성장투자형 정책자금 관련 투자수익 조기 회수 촉진 단계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재투자단계가 있다. 이러한 벤처투자 자금의 선순환 촉진 방안 외에 벤처창업 인프라 확증을 위해 창업플랫폼 구출확대, 스톡옵션, 대학, 연구원 창업 촉진, 해외인력유치, 기술이전 등으로 토대로 한 국내외 우수인력의 벤처창업 유입 촉진 방안 등이 있다. 이 중 창업플랫폼 구축확대로는 이스라엘식 기술창업 프로그램, 지식재산 기반 기술창업 지원, 앱 창업경진대회, 빅데이터 아카데미 신설, 글로벌 창업지원센터 설립 등이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을 보호거나 이들의 해외 특허를 지원하고, 지식재산권 펀드를 조성하여 벤처창업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도 있다.

또한, 창업보육 서비스를 선진화하는 정책으로는 창업보육센터의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정책, 프랜차이즈 형 창업보육센터 도입하는 정책, 액셀러레이터의 기능을 부여하는 정책 등이 있다[SMBA, 2014]. 창업보육센터의 성과평가를 통하여 창업보육센터를 감축하거나 최하위등급 비율을 20%에서 30%로 상향하는 방안 등이 창업보육센터의 구조조정 방안이다. 다음으로 창업 보육 성과가 우수한 센터를 지정하여 프랜차이즈 형 센터 운영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프랜차이즈 형 창업보육센터 도입 정책이다. 마지막으로 창업보육센터 운영 대학을 엔젤로 포함해 투자기능을 부여하는 대학이 투자를 결정할 경우 정부가 매칭 펀드를 지원해주는 정책이다.

마지막 정부 정책을 보면 중소기업청 TIPS 프로그램을 도입한 것인데 이것은 이스라엘 TI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민간주도형 투자전문회사가 창업보육센터의 운영에 참여하고 성공 시에는 투자금의 40% 기술료를 상환하는 방식이다.

2.2 정부정책 변화

창업보육센터는 정부의 예산과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데,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성과에 따라 사업 예산을 조정하고나 삭감하고 있다. 총 13개 지역에 따라 운영 평가등급이 부여되며 지역 내 상대평가에 따라 4개 등급 즉, S, A, B, C 등급으로 나뉘며, 최하위등급인 C 등급의 비율을 2012년 19%에서 2013년 28%로 높이고 특히 이들 중 3년 연록 40점 미안의 평가점수를 받았을 경우 지원을 중단하고 있다[SMBA, 2014].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경영성과 지원에 변화를 주어야 하는 이유는 전국에 산재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매출액 및 고용이 감소하고, 이들의 평균 입주 시간이 짧아진 것이 주된 이유이다[KDI, 2013].

2.3 지원정책 및 서비스 현황

창업보육센터의 지원 서비스의 유형으로는 기술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행정지원 서비스, 자금지원 서비스 등이 있다[Park, 2006]. 기술개발, 기술이전/평가, 디자인 개발, 신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기술지원 서비스이다. 경영지원 서비스로는 사업계획서 작성/타당성 검토, 비즈니스 모델 전략 수립, 경영진단/재무 및 회계/ 홍보/ 마케팅/법률자문 등을 합한 것이 그것이다. 입주 및 졸업기업 간 네트워킹 지원, 업무공간 제공 및 관리에서부터 창고 및 보관시설, 주차 및 보완서비스 등에 이르는 행정지원에 관련된 서비스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 등 투자지원에 관련된 자금지원 서비스가 있다.

지원 만족도의 유형으로는 물리적 시설과 장비 지원에 관한 만족도 요인, 재무회계 관련 지원과 투자유지, 정책자금 활용지원에 관한 만족도 유형, 네트워크 지원 서비스 관련 만족도 요인 등이 있다[Limb and Kim, 2011].

지원정책 필요분야로 제기된 분야는 초기의 창업단계 금융지원을 가장 필요한 지원과 세금감면 지원이었다. 이와 더불어 성공까지의 생계유지를 위한 재정지원, 창업절차 간소화, 공간 및 시설 장비 지원 등이 있고, 추가 지원 분야는 역시 투자유치 및 자금지원 분야이다[Kim et al., 2012].

3. 연구 설계

3.1 조사대상 및 방법

만족도 조사대상 기업으로는 2000년 센터 설립 이후 입주한 졸업기업 29개, 현재 입주기업 14개 등 43개의 창업기업을 상대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들의 응답률은 16개 기업으로 이는 총 37%에 해당한다(즉, 6개의 졸업기업과 10개의 입주기업).

3.2 설문 구성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 구성으로 첫째, 정책지원 전체분야의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세부적으로 시설지원 등 분야별 만족도 및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에 관한 것이었다. 둘째, 기업자금지원 분야에 관한 만족도 분석으로 세부 부문별 창업보육센터의 역할 비교와 세부 부문별 만족도 비교 등이었다. 시설지원 분야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네트워킹 지원 분야 및 기술지원 분야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생산지원 분야, 경영지원 분야, 판매지원 분야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즉, 기업투자유치, 운영자금, 설비투자자금 및 관련 정보에 관해 만족하는지를 묻는 기업자금 지원 만족도와 업무공간, 설비, 보관시설, 전산 인프라, 부대시설 및 임대료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묻는 시설지원 만족도가 두 번째 설문이다. 그다음으로 입주기업 간 네트워크, 투자자 간 네트워크, 정부와 지자체 간 네트워크, 연구소, 학계, 경쟁사 공급 및 수요 업체 간 네트워크에 관한 만족도를 수행하였다. 자금지원, 기술이전 및 평가, 시제품 제작, 시험 및 검사 등에 관한 기술지원 만족도와 양산 장비, 공정설계, 설비제작, 성능실험 등에 관한 생산지원 만족도도 수행하였다. 이 밖에 경영 전반에 관련된 경영지원 만족도, 판매 전반에 관련된 판매 지원 만족도 및 종합만족도와 창업보육센터의 역량 중요도를 묻는 만족도를 마지막으로 조사하였다.

4. 만족도 결과

4.1 기업 및 산업구성

설문에 참여한 기업은 총 16개 기업으로 기업들 모두 2010년 이후 입주한 기업이고, 이들 중 6개 기업이 졸업기업이었다. 이들 기업은 풍력발전기나 장비부품을 생산하는 기계 관련 산업, 약 37% 차지, 반도체 관련 제품 등을 생산하는 전기·전자 관련 사업, 총 25% 차지, 그 외 화학소재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었다. 이 들 중 벤처 인증을 받은 기업은 모두 6개 기업이었고, 상장기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기업의 재무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매출액 규모나 증가 등으로 평가하는데[Kwun and Jeong, 2012]. 이 들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약 5억 9천만 원 정도, 평균 영업이익은 약 9천만 원 정도, 평균 부채비율은 약 188%(2015년 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2 정책지원 만족도

창업보육센터의 정책지원 만족도의 경우 3.9를 차지한 시설지원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술지원(3.6), 네트워크 및 경영지원이 3.5로 나타났다. 기업자금 지원이나 판매지원, 생산지원은 모두 3.4, 3.2, 3.1의 만족도로 기술지원이나 네트워크, 경영지원보다는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분야별로 본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에서는 시설지원이 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입주기업들은 이 분야에서의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다음이 75%를 차지한 경영지원, 70%를 차지한 기업자금지원과 기술지원, 69%인 네트워크 지원 분야 순이었다.

입주기업들은 창업보육센터의 역할 중에서 시설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었는데 이것이 가장 높은 만족도로 이어져 있어 이 부분에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영지원이나 자금지원, 기술지원도 역할이 높고 만족도도 상대적으로 높아 이 부분도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생산지원이나 판매지원 관련해서는 창업보육센터의 역할도 낮도 만족도도 낮아 이 부분을 좀 더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01.png 이미지

<Figure 1> Satisfaction by Policy Support Sector

DOTSBL_2023_v30n3_37_f0002.png 이미지

<Figure 2> Whether to Play the Role of the Center by Field of Support

4.3 기업자금지원 만족도

창업보육센터의 기업자금 지원 분야는 크게 자본금 투자를 통한 기업투자유치, 대출을 통한 운영자금지원과 설비투자 자금지원, 정책자금 지원정보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정책자금 지원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창업보육센터가 해야 할 일이라는 의견에 기업들이 모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가 직접 자금지원을 하는 것이나 기업투자 방식을 통한 지원 등은 후 순위로 나타났다.

창업보육센터가 핵심적으로 담당한 정책자금 지원에 대한 정보제공 만족도는 입주 및 졸업기업 모두에게서 약 4.6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직접적인 자금지원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기업 투자유치나 설비투자 자금지원의 경우는 각각 3.0과 2.7로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DOTSBL_2023_v30n3_37_f0003.png 이미지

<Figure 3>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by Occupancy Status

DOTSBL_2023_v30n3_37_f0004.png 이미지

<Figure 4> Whether to Play the Role of a Center in the Field of Funding

4.3 시설지원 만족도

창업보육센터의 시설지원 분야는 대부분 업무공간이나 부대시설, 보관시설, 전문설비 지원 혹은 전산시스템 등 인프라와 저렴한 임대료로 구성되었고, 기업들 모두 업무공간이나 부대시설 지원은 센터의 고유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DOTSBL_2023_v30n3_37_f0005.png 이미지

<Figure 5> Whether the Center Plays a Role in the Field of Facility Support

이 중 업무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4.2,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4.6, 저렴한 임대료가 4.2, 전문설비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4.1로 기업들이 센터의 역할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항목들의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보관시설이나 전산시스템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3.1 정도로 파악되어 향후 이 부분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06.png 이미지

<Figure 6> Satisfaction with Facility Support by Occupancy Status

4.4 네트워킹 지원 만족도

창업보육센터의 네트워킹 지원 분야의 항목으로는 정부, 입주기업 간, 연구소 및 대학, 투자자, 해외, 고객, 공급업체, 경쟁사 간으로 소분류 되었고 이 중 약 80% 이상이 정부, 입주기업, 연구소 및 대학, 투자자와의 네트워킹이 센터의 역할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고객이나 공급업체, 경쟁사에 대해서는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DOTSBL_2023_v30n3_37_f0007.png 이미지

<Figure 7> Whether the Center Has a Role in Networking

이 중 정부 네트워킹에 대한 만족도와 입주기업 간 만족도가 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1인 연구소, 3.6인 학계, 3.2인 투자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소나 투자자 간의 네트워크 연계지원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08.png 이미지

<Figure 8> Satisfaction with Networking Support by Occupancy Status

4.5 기술지원 만족도

창업보육센터의 기술지원 분야는 크게 시제품 제작, 기술이전 평가, 특허출원 등록, 시험 검사 등으로 분류되었고, 이 들 중 기업이 시제품을 제작할 때 기술을 지원하는 센터의 역할은 명확하나, 그 외 분야에서는 기업들의 인식이 뚜렷하지 않았다.

기업들이 센터의 기술지원으로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는 시제품의 경우 만족도가 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분야에 대해서는 모두 3점대를 얻어 이 분야들에 대한 개선이 다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09.png 이미지

<Figure 9> Whether the Center Plays a Role in the Field of Technical Support

DOTSBL_2023_v30n3_37_f0010.png 이미지

<Figure 10> Satisfaction with Technical Support by Occupancy Status

4.6 생산지원 만족도

입주기업들이 생각하는 센터의 생산지원 역할로는 성능실험비용이나 금형 설비 지원, 양산지원, 생산 관련 인증지원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생산관리 인증지원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성능실험 비용지원은 높게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11.png 이미지

<Figure 11> Whether the Center Plays a Role in the Field of Production Support

창업보육센터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 성능 실험 비용지원 만족도의 경우 3.4로 다른 항목보다는 높았으나 기타 지원 만족도에 비해서는 낮게 나왔고 나머지 항목들도 3.0으로 타 지원보다는 낮은 만족도를 기록했다.

DOTSBL_2023_v30n3_37_f0012.png 이미지

<Figure 12> Satisfaction with Production Support by Occupancy

4.7 경영지원 만족도

창업보육센터 경영지원의 경우는 교육, 컨설팅, 법률, 회계, 인력지원 등으로 항목을 나누었고, 응답한 기업의 약 80% 이상이 교육, 컨설팅, 법률 및 회계 자문 및 지원이 센터의 주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DOTSBL_2023_v30n3_37_f0013.png 이미지

<Figure 13> Whether the Center Plays a Role in Management Support

이 둘 중 기업들은 교육이나 회계 자문, 컨설팅 등의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4.0, 3.7, 3.6 순), 인력 부문에서도 3.6으로 다소 높은 만족도를 보이지만, 법률 자문 등에서는 3.3으로 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인다.

DOTSBL_2023_v30n3_37_f0014.png 이미지

<Figure 14>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Support by Occupancy Status

4.8 판매지원 만족도

이 분야에서는 기업에 대한 홍보나, 국내판로 개척시 지원, 해외 판로 개척 시 지원, 시장조사 분석지원 등으로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을 나누었고, 대부분 기업이 기업홍보를 센터가 지원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국내외 판로나 시장분석 업무 지원에 대해서는 별다른 인식을 하고 있지 않았다.

DOTSBL_2023_v30n3_37_f0015.png 이미지

<Figure 15> Whether to Play a Center Role in Sales Support

기업홍보를 센터가 지원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3.8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시장조사 분석이라든지 국내외 판로 지원 등에 대해서는 각각 3.1과 2.9, 2.8로 낮게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16.png 이미지

<Figure 16> Satisfaction with Sales Support by Occupancy Status

4.9 종합만족도 및 단계별 핵심요인 분석

전반적으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은 센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4.86)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종합만족도(4.4) 역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입주기업보다는 졸업기업의 중요성 인식 및 만족도가 더 높았고, 제품 초기 단계인 기업은 창업보육센터의 중요성은 높으나 만족도가 낮아 이 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지만, 제품판매단계에 들어선 기업은 만족도가 높아 그 차이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DOTSBL_2023_v30n3_37_f0017.png 이미지

<Figure 17> Comparison of Overall Satisfaction by Occupancy Status

DOTSBL_2023_v30n3_37_f0018.png 이미지

<Figure 18> Comparison of Overall Satisfaction by Product Stage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목적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조사하였다. 즉, 대학이나 연구소와의 연계 혹은 교통편리, 지방정부의 지원정책, 가격이 저렴한 땅값, 관련된 산업의 집적 정도, 소비시장의 접근성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중 지방정부의 지원정책이 5점 만점에 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학 및 연구소 연계목적(4.2), 비싸지 않은 땅 값(3.9)이 그 뒤를 이었다.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은 대학, 연구소 등과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거나 교통 요건이 더 중요했으나, 졸업한 기업들은 더욱 저렴한 땅값 혹은 지방정부의 지원, 근거리에 있는 시장 접근성 등에 대한 기대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DOTSBL_2023_v30n3_37_f0019.png 이미지

<Figure 19> Comparison of Occupancy Purpose by Occupancy Status

창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창업 아이템, 인력확보, 창업자의 자질 및 경험, 기술력, 자금조달 능력 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들 중 기술력, 창업 아이템, 창업자의 자질 및 경험, 등의 순으로 중요도의 순위가 결정되었다. 이러한 초기 단계에서 기업은 기술력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지만, 제품판매 단계에 들어서면 모든 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의 지원정책 방향은 입주기업이 원하는 바에 따라 기술력에 집중할 수 있으나, 제품판매 단계에 접어들면 균형적인 지원정책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OTSBL_2023_v30n3_37_f0020.png 이미지

<Figure 20> Key Factors in Entrepreneurship Stage by Product Stage

기업의 성장단계에 이르러서는 초창기와 마찬가지로 모든 항목이 중요하다 여기고 있으나 약간의 순위 변동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금조달 능력이 가장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그다음으로 기술력, 창업자의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창업보육센터는 입주 기업의 단계에 따라 초기에는 모든 항목에 균형적으로 그리고 성장기에 접어들었을 경우 자금조달 및 기술지원 정책을 중점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

DOTSBL_2023_v30n3_37_f0021.png 이미지

<Figure 21> Key Factors in Growth Stage by Product Stage

5.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전편의 연구[Kim, 2023]인 창업보육센터 내 입주기업과 졸업기업의 성과에 관한 탐색 연구 등을 토대로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의 후속 연구로 이들 입주기업과 졸업기업의 창업보육센터 만족도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입주기업과 졸업기업이 창업보육센터의 분야별 지원에 대해 본격적으로 어느 부분을 만족하고 불만족하였는지의 후속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입주기업과 졸업기업 모두에게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은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고, 중요하다는 인식이 4.8이고 종합만족도가 4.4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만족도 역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센터를 졸업한 기업들이 센터의 역할이나 센터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업들이 생각하는 센터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시설에 대한 지원이었는데 이것이 또한 가장 높은 만족도로 이어져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센터가 중심적인 역할을 잘 수행해 오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와 더불어 기업 경영 일반에 관련된 지원이나 자금에 관한 지원 혹은 기술에 관한 센터의 역할도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센터가 그 역할을 비교적 제대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업들의 생산에 관한 지원이나 제품의 판매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이 부분을 좀 더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드러났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가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중장기발전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에 수행된 선제 연구로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센터의 중장기발전계획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 KDI, "Korean support system for venture business creation," 2013.
  2. Kim, H.-J., Kim, H.-C., and Youn, J.-R., "A Study on the Effects of Business Incubators Center Characteristics of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2012, pp. 51-76.
  3. Kim, S. K., "An exploratory stuyd on the role of business incubators in supporting the success of startup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and Management, 2023, Vol. 30, No. 2, pp. 59-66
  4. Korea Capital Market Institute (KCMI), "A study on a virtuous circle of the venture and startup's financial eco system", 2014.
  5. Kwun, M. Y. and Jeong, H, J., "The Effect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Network on Firm Performance of Technology-ased Start-up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 7, No. 1, 2012, pp. 7-18. https://doi.org/10.16972/apjbve.7.1.201203.7
  6. Limb, S.-J. and Kim, C.-K., "Effectiveness of Business Incubators' Tenants Support Strategies", Journal of Korea Contents, Vol. 11, No. 11, 2011, pp. 390-400.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390
  7. Park, G.,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support on BIC has on the management results",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tudies, Vol. 9, No. 3, pp. 159-185.
  8. Seo, J.-H.,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BI Manager to affect Performance of Business Incubator", Journal of Huam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2, No. 4, 2005, pp. 147-164.
  9.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An activation on technical startups",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