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Type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by using a Hierarchical Logit Model

위계로짓모형을 활용한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유형별 결정요인 비교분석

  • Hansoun Woo (Industrial Loc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 우한성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 Received : 2023.12.1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ype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vary by region and has the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each migration type. First,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migr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was conducted, and then a hierarchical logi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types separat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ypes vary by region, and each determinant of migration types is composed of different bundles of variables(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 the future, policies aimed at securing young workforce in non-metropolitan areas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y take into account various determinants of migration choices and reflect the regional context.

본 연구는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유형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주유형별 결정요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먼저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 실태 및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후 위계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이주유형별 결정요인을 각각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유형별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관찰되었고, 각각의 이주유형별 결정요인 또한 서로 다른 변수(개인 및 지역수준)들의 묶음(bundle)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비수도권의 청년인력 확보 정책은 다양한 이주선택의 결정요인을 충분히 고려하고 지역적 맥락이 반영될 때 정책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승.정민수, 2013,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1(2), pp.103-130.
  2. 김동현.최예술.임업, 2012, "일반화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지역 간 노동이동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8(3), pp.3-24.
  3. 김찬준.송하율.김홍석.변창욱.김민수, 2015, 지식기반산업 발전을 위한 제주 인적자본 제고 방안, 한국은행 제주본부.
  4. 김태환.김은란.이차희.남성우.표희진.박미래, 2020, 인구의 지역별 격차와 불균형,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5. 김태환.김은란.신휴석.이혜민.박미래.이혜진, 2021a, 지역별 고용 격차와 불균형,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6. 김태환.김은란.신휴석.이혜민.박미래.이혜진, 2021b, 지역별 소득 격차와 불균형,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7.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 2023.9.14., 윤석열정부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
  8. 류장수, 2015, "지역 인재의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연구 23(1), pp.1-23. https://doi.org/10.22921/JRS.2015.23.1.001
  9.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 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pp.581-593.
  10. 문영만.홍장표, 2017,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2), pp.165-187. https://doi.org/10.22921/JRS.2017.25.2.008
  11. 박우식.박상우.엄창옥, 2011, "지역인재 유출에 의한 경제력 유출 분석: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4), pp.2247-2274.
  12. 박진경.김도형, 2020, 인구감소대응 지방자치단체 청년유입 및 정착정책 추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3. 사호석.우한성, 2020,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5(5), pp.501-519. https://doi.org/10.22776/KGS.2020.55.5.501
  14. 심재헌.김의준, 2012,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요인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 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75, pp.37-51. https://doi.org/10.15793/kspr.2012.75..003
  15. 우한성, 2020, 지식기반산업 육성이 지역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함의,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16. 우한성, 2022, "제조업 집적의 외부효과가 지역경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단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1), pp.41-59. https://doi.org/10.35978/jktis.2022.2.25.1.67
  17. 우한성.서대현, 2022,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공간분포 특성과 고용증가 효과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4), pp.600-616. https://doi.org/10.23841/EGSK.2022.25.4.600
  18. 유정진, 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아동학회지 27(3), pp.169-187. https://doi.org/10.5840/fichte20062743
  19. 이경환.김태환.이우민.김은정, 2014,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근린환경과 보행통행의 상관관계연구," 서울도시연구 15(3), pp.95-109. https://doi.org/10.23129/SEOULS.15.3.201409.95
  20. 이다예.이희연, 2016, "농산물 직거래 결정 요인 및 농산물 매출액 증대 효과 분석," 농촌경제 39(1), pp.89-116. https://doi.org/10.36464/JRD.2016.39.1.004
  21. 이상림, 2020, 청년인구 이동에 따른 수도권 집중과 지방 인구 위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이찬영.이흥후, 2016,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경제연구 34(4), pp.143-169.
  23.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제2판), 고양: 문우사.
  24. 이희연.심재헌, 2009, "서울시 젠트리파이어의 주거이동 패턴과 이주 결정요인,"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pp.15-26.
  25. 정재현.동진우.김기승, 2019,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 이동에 관한 실증연구: 비수도권 인재유출을 중심으로," 국제경제연구 25(4), pp.55-78. https://doi.org/10.17298/kky.2019.25.4.003
  26. 조철.서동혁.장석인.정만태.정은미.김경유.김종기.박상수.이경숙.이임자.이준.장원준.홍성인.남장근.주대영.김양팽, 2016, 한국 주력산업의 미래비전과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27. 한국고용정보원, 2022, 2020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8. 한국고용정보원, 2023, 지역산업과 고용.
  29. Albouy, D. and Faberman, R., 2018, Skills, Migration, and Urban Amenities over the Life Cycle, 2018 Meeting Papers 1051, Society for Economic Dynamics.
  30. Bueno, X. and Prieto-Rosas, V., 2019, Migration Theories, Gu, Danan; DUPRE, Mathew E.(Eds), Encyclopedia of Gerontology and Population Aging, Springer, Cham.
  31. Chen, Y. and Rosenthal, S., 2008, "Local amenities and life-cycle migration: Do people move for jobs or fun?" Journal of Urban Economics 64(2008), pp.519-537. https://doi.org/10.1016/j.jue.2008.05.005
  32. Czaika, M. and Parsons, C., 2017, "The Gravity of High-Skilled Migration Policies," Demography 54(2), pp.603-630. https://doi.org/10.1007/s13524-017-0559-1
  33. Etzo, I., 2011, "The determinants of the recent interregional migration flows in Italy: A panel data analysi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51(5), pp.946-966. https://doi.org/10.1111/j.1467-9787.2011.00730.x
  34. Faggian, A. and McCann, P., 2009, "Human Capital, Graduate Migration and Innovation in British Region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33(2), pp.317-333. https://doi.org/10.1093/cje/ben042
  35. Keereman, F. and Szekely, I., 2010, Five Years of an Enlarged EU: A Positive Sum Game, Berlin: Springer-Verlag, pp.63-94.
  36. Lulle, A., Janta, H. and Emilsson, H., 2021,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European youth migration: human capital outcomes, skills and competences,"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47(8), pp.1725-1739. https://doi.org/10.1080/1369183X.2019.1679407
  37. Maier, G. and Weiss, P., 1991, The discrete choice approach to migration modeling, Chapter 2 in Stillwell, J.C.H. and Congdon, P.(eds.), Migration Models: Macro and Macro Approaches, Belhaven Press, London, pp.17-33.
  38. Massey, DS., Arango, J., Hugo, G., Kouaouci, A., Pellegrino, A. and Taylor, JE., 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pp.431-466. https://doi.org/10.2307/2938462
  39. Muro, M. and Perry, A., 2020, Regional Divergence Is More Than An Economic Dilemma - It's a Civil Rights Issue, Brookings, Washington, D.C.
  40. Stark, O. and Bloom, DE., 1985, "The new economics of labor migr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75(2), pp.173-178.
  41. Stillwell, J., 2005, Inter-regional migration modeling - a review and assessment, 45th Congress of the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