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Zero Waste Fashion Design in Conscious Fashion Perspective from the New Normal Era

뉴노멀 시대의 컨셔스 패션에 나타난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 Dal A Lee (Industry Research Institute of Hanyang Women's University) ;
  • Chan Ho Kim (Dept. of Textile of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이달아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 김찬호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23.08.02
  • Accepted : 2023.11.0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environmental severity and new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Conscious fashion, which is oriented to sustainable and valuable consumption, has become a trend to consume products produced using eco-friendly and ethical processes, from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materials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nscious fashion and zero waste, and to explore design trends of zero wastein the new normal era of conscious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review on conscious fashion based on relevant professional and academic books and articles, designer collections, and campaigns from 2010 to the present, when conscious fashion as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le fashion became a tre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nscious fashion were examined them in terms of environmental, eth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zero wast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case analysis. Through this, the trends of zero-waste design in conscious fashion were categorized into: first, an eco-friendly design orientation that utilizes reuse and reduce methods of clothing and fabric; second, a variable design orientation that practices zero waste designs by using diversity of patterns through deconstruction, disassembly, and various cutting methods. Third, long-term circulation of design through the recycling of resources by second-hand trade, the utilization of stock clothing, resale, and availability of eco-friendly material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s an active practice for the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expand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onducted as a future core value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long-term circular zero-waste design through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cious recycling, reuse, and reproduc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정부재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여성과학기술인 R&D 경력복귀 지원사업)으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1. 강은지. (2022. 4. 14). "새 옷 대신 추억 담긴 옷"... 중고의류 교환 파티 여는 '다시입다 연구소' .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23. 2. 20, 자료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10/112779317/1 
  2. 국혜승, 김혜연. (2015). 지속 가능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의 특성 연구. 기초초형학연구, 17(1), 31-45. 
  3. 김금화. (2020). 폐 니트 의류를 이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과 업사이클링 아이템 연구. 패션과 니트, 18(3), 94-102.  https://doi.org/10.35226/KSKD.2020.18.3.94
  4. 김루비. (2019. 6. 3). 버려진 천의 환골탈태, 제로웨이스트 다니엘. 더싱글. 자료검색일 2023. 3. 3, 자료출처 https://m.thesingle.co.kr/article/708020/THESINGLE
  5. 김미영. (2020. 3. 1). '착한 패션' 선구자, 스텔라매카트니. 이코노미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23. 3. 23, 자료출처 http://m.economyinsigh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82 
  6. 김성준. (2022. 10. 20). 전방, "리사이클로 데님 부활 이끈다". TIN뉴스. 자료검색일 2023. 1. 20, 자료출처 https://www.tinnews.co.kr/23625
  7. 김소라. (2020). 현대 패션에 나타난 컨셔스 패션. 조형디자인연구, 23(1), 11-32. 
  8. 김숙현. (2021). 친환경 패러다임에 기초한 제로웨이스트 패션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숙현, 김혜연. (2018). 한국 전통 끈 보자기의 조형미를 적용한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3). 127-145 
  10. 김인경, 차유미, 이진아. (2016). 순환형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 개발. 디자인학연구, 29(2), 215-229. 
  11. 김정혜, 김혜연. (2018). 퍼즐 커팅 기법을 적용한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8(1). 37-55. 
  12. 김현경. (2022. 4. 13). 패션가, 컨셔스 소비 이끈다. 서울파이낸스. 자료검색일 2023. 1. 25, 자료출처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2206
  13. 네이버 지식백과. (2023. 1. 3). 컨셔스 패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연구소. 자료검색일 2023. 1. 23. 자료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5667&cid=43667&categoryId=43667
  14. 도간오큠, 서미희, 이연희. (2022). 소피아 비조비티 폴딩 기법을 활용한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소피아 비조비티 폴딩 기법을 활용한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 복식문화, 30(4). 513-528. 
  15. 심상대. (2020. 3. 25). 땅에 묻으면 스르르~ 분해...국내 첫 생분해 코트.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22. 1. 22, 자료출처 https://www.mk.co.kr/news/economy/9263848 
  16. 명수진. (2022. 10. 14). 쓰레기속에서 패션을 찾아내다. 우먼센스. 자료검색일 2023. 2. 20, 자료출처 https://www.womansense.co.kr/woman/article/52140 
  17. 문윤경. (2019). 컨셔스 패션으로서 니트 패션제품의 유형과 가치. 패션과 니트, 17(3), 50-57. 
  18. 박미선. (2021). 현대패션에 나타난 컨셔스패션의미적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버려진 옷에서 다시 옷으로: 가먼트 리사이클. (2021. 12. 7). 미디어효성. 자료검색일 2022. 12. 20, 자료출처 https://blog.hyosung.com/5395
  20. 소비에 나이가 따로 있나요? 이제는 '뉴 노멀 중년'에 주목할 때!(2020. 5. 8). CJ NEWSROOM. 자료검색일 2023. 1. 22, 자료출처 https://cjnews.cj.net/소비에-나이가-따로-있나요-이제는-뉴-노멀-중년/
  21. 심상대. (2020. 3. 25). 땅에 묻으면 스르르~ 분해...국내 첫 생분해 코트.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23. 4. 23, 자료출처 https://www.mk.co.kr/news/economy/9263848
  22. 심희정. (2021. 1. 18). '공유옷장' 성주희 클로젯셰어 대표 "중고 - 렌털 하이브리드 '함께 입고 없애자' 했죠". 서울경제. 자료검색일 2023. 4. 20, 자료출처 https://www.sedaily.com/NewsView/22H6EPN5O6 
  23. 안승진. (2022. 6. 27). 봉제 후 폐기 '자투리 원단' 재활용한다. 세계일보. 자료검색일 2023. 2. 20, 자료출처 https://m.segye.com/view/20220626516515 
  24. 안재형. (2022. 7. 11). 파타고니아 I "유행을 팔지 않습니다, 버리지 말고 입으세요" 지구를 살리기 위해 사업하는 '파타고니아'.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23. 3. 11, 자료출처 https://www.mk.co.kr/news/culture/10382916
  25. 유재부. (2019. 3. 29). 막스마라, 자투리 원단으로 만든 '에코 패딩 코트' 새활용 주도. 패션엔미디어. 자료검색일 2021. 11. 25, 자료출처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25&number=28081
  26. 윤경희. (2020. 11. 20). 안 팔리던 옷이 세상 힙한 옷으로...의류 쓰레기의 재발견.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21. 10. 20, 자료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25952#home 
  27. 윤승. (2023). 조각으로 이어 붙인 아메리칸 빈티지. jenstore. 자료검색일 5.22, 자료출처 https://jentestore.com/promotion/event_view?no=509&event_category=Brand%20LAB 
  28. 윤진영, 임은혁. (2015). 제로웨이스트 패션디자인실현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ZWPM 유형 특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 23(6). 929-939.  https://doi.org/10.29049/RJCC.2015.23.6.929
  29. 이서연. (2022. 7. 11). 번개장터, 한정판 명품 한자리에 모은 '브그즈트 컬렉션' . 한국섬유신문. 자료검색일 2022. 12. 20, 자료출처 http://www.k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525 
  30. 이영선. (2017). 서브트렉션 커팅방법을 활용한 제로웨이스트 패션 디자인 개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7(2). 21-35. 
  31. 이유선, 최윤미. (2020). 칠교놀이와 접기를 활용한 제로웨이스트 패션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 93-108. 
  32. 이정민. (2022). 김현정 할리케이 대표 친환경 함께한 토털 브랜드를~.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23. 3. 23,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PN/?cate=2&recom=2&idx=195436 
  33. 이정재. (2021). 코로나 이후, 뉴노멀 시대의 특징 몇가지. 이로운넷. 자료검색일 2022. 12. 20, 자료출처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340 
  34. 이진선. (2022. 11. 30) 중고명품 전성시대, 베스티에르 콜렉티브, 트렌비, 발란? 획기적인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리세일 플랫폼은 무엇? 바자. 자료검색일 2022. 12. 20, 자료출처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72821
  35. 이채민. (2017. 10. 18). 지속가능한 패션. W코리아. 자료검색일 2023. 1. 25, 자료출처 https://www.wkorea.com/2017/10/18/%EC%A7%80%EC%86%8D-%EA%B0%80%EB%8A%A5%ED%95%9C-%ED%8C%A8%EC%85%98/ 
  36. 이한나, 김하경, 이유진. (2019. 7. 17). Z세대의 에코섹시...유기농 과일 고르듯 옷도 소재.생산과정 따져.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22. 12. 20, 자료출처 https://www.mk.co.kr/news/business/8902283
  37. 장지영. (2021.1.21). 업사이클 비건브랜드 할리케이, 활발한 사업 추진. 공감신문. 자료검색일 2023.1.11. 자료출처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696638 
  38. 정하정, 박주희. (2015). 파츠파츠 임선옥(PartspARTs IMSEONOC)의 제로 웨이스트(Zero-Waste)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4). 171-186. 
  39. 정현. (2018). 뉴노멀 시대의 국내 패션산업 메가트렌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4). 391-404. 
  40. 제혜윤. (2023.6.15.). 자투리 원단으로 만든 디젤의 데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순환형 재활용 시스템 프로젝트! 바자. 자료검색일 2023. 6. 30, 자료출처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78385 
  41. 조신원, 이지연. (2015). 교육적 관점에서의 Zero Waste 패션디자인프로세스 가이드라인 개발. 복식, 65(4). 91-108. 
  42. 지속 가능한 패션을 넘어 컨셔스 패션으로! 국내 친환경 소재 패션 스타트업. (2020. 6. 17). 미디어효성. 자료검색일 2022. 12. 23, 자료출처 https://blog.hyosung.com/4838 
  43. 최지흥. (2022. 9. 9) 컨셔스열풍① 패션업계, '컨셔스 패션' 열풍분다. 시장경제. 자료검색일 2023. 3. 20, 자료출처 https://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7434 
  44. 패션레볼루션 캠페인을 아십니까? 윤리적인 패셔니스타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입니다!(2016. 4. 19). 이로운넷, 자료검색일 2023. 1. 12, 자료출처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97 
  45. 허가영. (2018). 남성복 제로웨이스 패턴 커팅 연구. 인문사회21, 9(3), 629-643. 
  46. 허진영. (2019). 제로 웨이스트를 적용한 가방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3), 507-518. 
  47. 황소현. (2021. 3. 22). 리바이스, '워터리스' 데님소재 활용...코튼나이즈 햄프진 공개. 데일리뉴스. 자료검색일 2023. 2. 20, 자료출처 http://dailytoday.co.kr/news/view.php?idx=46707 
  48. Joan Marc. (2012. 6. 26). David Andersen Copenhagen; designing waste out of fashion. Zero Waste Europe. 자료검색일 2023. 3.1 2, 자료출처 https://zerowasteeurope.eu/2012/06/david-andersen-copenhagen-designing-waste-out-of-fashion/
  49. Jason Walsh. (2017). The Zero Waste Movement. 자료검색일 2023. 6. 11, https://zerowasterepublic.com/the-zero-waste-movement/
  50. Katheleen Fasanella. (2011. 4. 19). Review of the yield exhibition(zero waste), Fashion- Incubator. 자료검색일 2023. 4. 12, 자료출처 https://fashion-incubator.com/review-of-the-yield-exhibition-zero-waste/
  51. Make it zero waste: Kimono Twist Dress. (2015. 5. 8). HollyMcquillan.com. 자료검색일 2023. 5. 4, 자료출처 https://hollymcquillan.com/author/hollymcquillan/
  52. Maison Martin Margiela Artisanal Collection/ 마르 지엘라의 아티저널 컬렉션. (2011. 10. 5). 네이버블로그. 자료검색일 2023.3.23, 자료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oo_too_loo&logNo=20139667126
  53. Mark Holgate. (2023. 3. 2). 2021 Marine Serre F/W. Vogue. 자료검색일 2023. 4. 20, 자료출처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marine-serre
  54. Nicole Phelps. (2019. 6. 3). 2019 Maison Margiela F/W. Vogue. 자료검색일 2023. 4. 24, 자료출처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couture/maison-martin-margiela
  55. OAT. (2023). The world's first biodegradable shoes that bloom. 자료검색일 2023. 2. 23, 자료출처 https://www.oatshoes.com/
  56. Sarah Mower. (2020. 2. 26). 2020 Maison Margiela F/W. Vogue. 자료검색일 2023. 4. 24, 자료출처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maison-martin-margiela
  57. [Sustainablilty Data Analysis] 럭셔리 패션브랜드와 차세대 친환경 소재. (2022. 8. 9) 패션넷코리아. 자료검색일 2023. 3. 4, 자료출처 https://www.fashionnet.or.kr/sustainability/88237/
  58. [Sustainablilty Data Analysis] 재판매와 과잉 소비. (2023. 1. 12). 패션넷코리아. 자료검색일 2023. 1. 23, 자료출처 https://www.fashionnet.or.kr/sustainability/109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