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친화적 디자인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4초

공간디자인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와 Green Amenity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그린(Green Materials)을 이용한 에콜로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Role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 Green Amenity in Space Design - a focus on ecology designs using green materials -)

  • 이정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37-148
    • /
    • 2003
  • 21세기는 유기체적 세계관의 발달과 함께 환경친화적 접근이 조형계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제 환경친화디자인은 단순히 환경보호적인 차원을 넘어 인간과 기술, 환경이 함께 호흡하는 유기체적인 환경친화, 환경과의 일치의 개념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에 발전하고 있는 환경친화디자인의 유형, 즉 자연보호적인 접근이 중심이 된 입장과 인간과 환경의 친화관계 회복이 중심이 된 입장의 두 가지 환경친화디자인 유형을 조사하고 이의 필요성과 Green Amenity에 의거한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조하는 환경친화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해당하는 공간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소원하는 삶과 환경에는 편리함과 관련된 기술적 물리환경 뿐만이 아니라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구상이 필요함을 논증해 보고자 한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이런 접근은 인간과 자연의 단절된 친화관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렇게 인간과 자연의 친밀감이 회복될 때에 자연보호를 위한 인간의 노력도 유기체적 방향성을 가지고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 PDF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Package Design)

  • 김미자
    • 월간포장계
    • /
    • 통권260호
    • /
    • pp.45-55
    • /
    • 2014
  • 최근 환경오염과 생태학적 환경문제가 사회적 중요한 관심사로 인식되고 있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재활용과 재사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필름 등의 포장재의 개발과 생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개념과 에코 포장디자인 적용범주,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동향 및 포장재 현황을 살펴보고, 각종 정책과 규정 및 관련지침 등의 이론적 자료들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에코패키지의 기본 방향과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이드 라인 및 수행 절차를 고찰하였다. 에코 패키지의 기본방향은 첫째, 포장디자인의 제작,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비용과 품질, 시장성, 디자인 등 다중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부서와 제품설계부서, 생산부서, 환경팀 등 조직 내의 다른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넷째, 기업의 다른 여러 가지 환경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 절감과 물질 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 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 포장디자인의 실천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소비자의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분해디자인(DFD)프로세스를 적용한 환경친화적 디자인 접근 (The Environment Friendly Design Approach by the DFD(Design for Disassembly) Process)

  • 이경화;홍정표;서홍석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0-81
    • /
    • 1999
  • 최근 환경문제를 고려한 디자인의 방향은 '생태적으로 균형된(Eco-Balancing)' 방법이어야 한다고 공감하고 있다. 이는 제품의 생산, 유통, 소비, 폐기의 전 과정에 걸쳐 발생되는 에너지 소비, 재활용도, 오염도, 폐기문제 등의 총체적 개념에서 재료와 생산방법을 평가하고, 이를 디자인 문제해결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확대된 개념으로 변화된 것이다.(중략)

  • PDF

환경친화적 디자인을 위한 실천을 관한 연구 (A Study on practice for an Environment Friendly Design)

  • 송인호;이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33-41
    • /
    • 2000
  • 인간은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위하여 지구의 생태계를 외면한 채 산업화의 길을 걸어왔으며 이로 인한 폐품의 처리, 자원의 고갈, 오존층의 파괴, 대기 및 수질, 토양의 오염 등의 생태계 균형이 깨지면서 인간의 생존권마저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하에 최근에 와서는 전 세계에 걸쳐 기업경제활동 방식과 소비의식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환경친화적 디자인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과 소비자 측면에서의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불이익은 환경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적극적인 환경친화적 제품의 생산활동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특히 고집적, 다품종 소량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가제제품의 경우에는 타 분야의 활동에 비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아직 재활용 소재의 사용 및 천연소재의 적용 등 물리적 측면에서의 소극성은 여전하며, 그 적용사례도 드물다. 그러므로 디자인 단계에서의 자연생태계를 위한 적극적인 사고와 실행은 더욱 중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현실에 비추어 기업과 소비자 그리고 환경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디자인을 위하여 기초가 되는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환경친화적 재료를 활용한 제품 디자인 연구 (Case study on Design of Applied Environment-friendly Wood)

  • 김선영;송복희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4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인 신소재 중 목분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목재를 선정하여 그 성분 및 생산방법을 알아보고, 물리적인 실험을 통해 신소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특성분석의 결과를 어떤 제품에 적용하면 효과적인지 적용사례에 관해 연구하였다. (중략)

  • PDF

울산광역시 공공시설 실내디자인의 환경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s Shown in Interior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Ulsan)

  • 정지향;이규백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95-404
    • /
    • 2003
  • 오늘날의 인류는 인위적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 온전한 공존관계를 유지하여 비자연성,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교감하며 풍요로와질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실내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표현을 실내공간에 자연요소로 도입하는 방안과 인간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물 또는 질서 있는 변화를 가진 아름다운 형태를 인위적인 디자인 형태로 표현하는 방안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환경친화의 개념과 발달 과정을 정의해 보고, 실내공간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환경친화적인 표현의 특성 중 자연요소 도입과 디자인적인 형태 표현으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연구분석의 사례로는 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울산광역시 공공시설의 실내공간으로 제안하였다. 환경친화적인 공간의 형성은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관련 연구가 더욱더 활성화, 전문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공간에서의 자연적 요소와 디자인적 형태의 표현이 폭넓은 이해와 심도 있는 연구로 병행될 때 바람직한 환경친화적인 표현이 창출될 것으로 본다.

  • PDF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for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Based on Lifestyle)

  • 류혜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52-55
    • /
    • 2012
  • 본 연구의 목표는 예비 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고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에서의 디자인 요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심층면접, 웹서베이로 이루어졌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6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이 가장 높은 유형 5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요구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된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에 적용가능한 디자인 지침들은 단계적으로 적용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고령자가 인지하는 생활환경의 고령친화정도 - 부산광역시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Liv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the Aged -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Busan Metropolitan -)

  • 김수영;이재정;오찬옥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03-222
    • /
    • 2016
  • 고령친화적인 환경은 고령자의 자립생활을 위한 여건을 조성해 줄 뿐 아니라 장애인, 아동, 임산부 등은 물론 일반인에게까지도 편리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 거주 고령자가 인지하는 부산시 물리적 생활환경의 고령친화정도를 파악하고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고령친화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16개 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자 525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8개 영역 중 물리적 환경영역에 속하는 3개 영역인 야외공간과 건물, 교통, 주택영역과 관련된 34개 항목의 고령 친화도를 4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령자는 3개 영역의 물리적 생활환경의 고령친화도가 중간 정도 수준이라고 인지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개 영역 중 특히 주택영역에 대한 고령 친화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 주택의 개선을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령자가 인지하는 주변 생활환경의 고령 친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령자 특성은 경제수준, 주택유형, 주택소유상태, 건강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고령친화적인 생활환경을 계획할 때 이들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건축(農村建築)의 환경친화적(環境親和的) 디자인 과정(過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een Design Paradigm for the Design Process of the Rural Architecture)

  • 한동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97-108
    • /
    • 1999
  • There are so many theories and arguments o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However, in the time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ere is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atic green design process because no existing design process theories could give the rational design tool far the integrated design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is on the new paradigm for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integrated process of 'the Green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