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김조순의 풍고집(楓皐集)을 통해서 본 옥호정의 정원고고학적 가치

The Garden Archaeological Value of Okhojeong through Kim Jo-sun's Punggojip

  • 신현실 (우석대학교 부설 정원고고연구소)
  • 투고 : 2023.09.30
  • 심사 : 2023.11.17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는 옥호정의 조영자 김조순의 풍고집에 나타난 옥호정도의 내용 전체를 분석하여 풍고집내에 옥호정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의 내용을 통해 기존 연구와 옥호정도를 비교하고 조영자와 정원과 관련된 교유관계, 조영사실 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옥호정의 조영자인 김조순은 문인취향이 강했던 요인으로 정원의 조영과 경영에 관련된 내용을 비교적 상세히 표현하여 정원의 원형을 추정하기 용이했다. 둘째, 옥호정의 조성연대는 기존에는 을해벽의 각자를 근거로 1815년으로 추정하였으나 이성민이 동성교여집에 김조순이 장씨집을 사들인 기록을 밝혀 1804년으로 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풍고집에 나타난 김조순의 문예취미는 철저하게 중국고사 등을 따랐으나 정원조영 부분은 사실에 근거한 정원고고학적 기록으로서 그 가치를 지닌다. 정원의 부지확장에 대하여는 옥호정 남측 부분의 경계를 김생 사호에게 양도 받아 반칸 정도 늘린 것으로 추정되고 원예활동과 정원 곳곳에 가산이나, 석상, 괴석, 분재, 수반 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석가산을 조성하는 기법과 풍치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어린 소나무의 이식에 대한 전문적 식견, 정원의 화목에 대한 애호와 풍류는 시문 곳곳에 깃들여 있다. 아울러 옥호정의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지형 지세의 파악과 기존 식생 등의 현황파악 능력, 초목을 베고 땅을 고른 과정과 기와와 초가로 지은 집들, 이 곳에서 한거하기 위한 목적과 안전을 기원하는 내용이 완벽한 옥호정 조성의 단계를 보여주고 모정인 산반루의 위치와 조성과정을 알 수 있어 정원고고학적 가치를 지닌다. 향후 풍고집에 등장한 교유인물들의 문집의 해석을 통해 옥호정의 정원원형에 대한 보다 많은 자료들이 발굴되기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ntirety of Okhojeongdo's content found in the Punggojip, written by Kim Jo-Sun, who created Okhojeong.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confirming Okhojeong within the Punggojip, the study compares the existing research with the Okhojeongdo's content. Additionally, it clarif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sciple, the garden, and related historical fa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im Jo-Sun, who created Okhojeong, had a strong literary inclination, which made it relatively easy to estimate the original form of the garden, as he expressed detailed content related to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garden. Second, the historical dating of the creation of Okhojeong was previously estimated to be around 1815 based on the inscriptions on the Eulhaebyeok. However, it is more appropriate to revise this to 1804, as revealed by Lee Sung-min, who discovered records in Dongseonggyoyeojip, indicating that Kim Jo-Sun purchased the Jang's house. Third, Kim Jo-Sun's literary hobby, as depicted in Punggojip, closely followed Chinese classics. However, the part about creating the garden is supported by factual and garden archaeological records, giving it inherent value. Regarding the expansion of the garden site, it is estimated that the southern boundary of Okhojeong was extended by about half a unit(kan; 間) through a transfer from Kim saeng Saho. Various additions, stone statues, peculiar rocks, ornamental trees, and accompanying elements are found throughout the garden. Particularly noteworthy are the techniques and aesthetics of creating a stone pagoda, and there are mentions of transplanting young pine trees with professional insights. The love for harmony and elegance in the garden is woven throughout the poetry. Additionally,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location for Okhojeong, the understanding of the terrain and topography, the assessment of existing vegetation, the process of cutting down trees and selecting the soil, the construction of houses with tiles and thatched roofs all contribute to demonstrating the comprehensive stages of creating Okhojeong, providing insight into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anbanru pavilion, showcasing the archaeological value of the garden.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excavate mor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form of Okhojeong garde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ions of the literary works of the influential figures introduced in Punggojip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변찬복(2015). 유적지 페허에 관한 미학적 해석: 폼페이 유적을 대상으로. 인문학논총 제37집 : p175.
  2. H.N.알렌.신복룡 역(1999). 조선견문기. 집문당.
  3.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 조선조 정원의 원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4. 김조순, 이성민 역(2020). 풍고집1~16권.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5. 정동오. 동양조경문화사. 전남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