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뎡니의궤(整理儀軌)』에 나타난 취병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wibyeong in 『Jungli-Euiguae』 written Hangeul

  • 백종철 (사)자연유산보존협회) ;
  • 오선화 (수원시 화성사업소 문화유산관리과)
  • 투고 : 2023.11.23
  • 심사 : 2023.12.15
  • 발행 : 2023.12.31

초록

취병(翠屛)은 지지대를 세우고 식물을 틀어 올려 병풍 모양으로 만든 생울타리로, 창덕궁을 그린 『동궐도(東闕圖)』나 『규장각도 (奎章閣圖)』, 『문희묘도(文禧廟圖)』, 화성행궁을 그린 『화성행궁도(華城行宮圖)』 등 다양한 그림에서 취병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취병이 현재까지 남아 있지 않아 고문헌이나 옛 그림, 사진 등을 통해 취병의 소재를 추정하였으며, 지지대를 사용한 유인형 취병의 경우 기류(杞柳 : 고리버들)를 사용한 취병의 조성과 관련된 그림은 찾을 수 없어 향나무와 주목 등의 침엽수를 사용한 취병 조성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기존 옛 그림들에 그려진 취병들은 지지대와 잎의 일부, 가지 정도만이 그려져 있어 그림을 통해 취병의 소재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1797년 전후에 작성된 『뎡니의궤(整理儀軌)』에는 지지대를 사용한 유인형 취병 모습에 취병의 소재로 사용된 수목의 수형을 확인할 수 있어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관병법(綰屛法)에 소개된 기류(杞柳)를 이용한 취병 조성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취병 복원 시 기류(杞柳)를 사용하여 조성하는 방법을 고문헌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첫째 취병 조성 방법이 나오는 고문헌 분석을 통해 유인형 취병의 소재에 대한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유인형 취병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뎡니의궤』 「성역도」 의 그림 분석을 통해 취병의 소재와 조성 방법을 분석하였다.

Chwibyeong is a hedge made into a folding screen shape by setting up supports and placing plants on it. Traces of chwibyeong can be found in various paintings, such as the 『Donggwoldo painting of Changdeokgung Palace』, 『Gyujanggak painting』, 『Munhuimyo painting』, and 『Hwaseong Temporary Palace painting depicting Suwon Hwaseong Temporary Palace』. However, since the Chwibyeong has not survived to this day, the whereabouts of the Chwibyeong were estimated through ancient documents, old paintings, and photographs. In the case of a manned Chwibyeong using a support, a picture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Chwibyeong using a base can be Winnow willow. Methods for creating intoxicants using coniferous trees such as Chinese juniper and Rigid-branch yew have been studied. In existing old paintings, only the supports, parts of leaves, and branches were depicted, so the location of the Chwibyeong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the drawings. However, in the 『Jungli-Euiguae』, written around 1797, a manned type of Chwibyeong using a support was depicted as the material of the Chwibyeong. By being able to confirm the type of tree us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thod of creating a Chwibyeong using Winnow willow introduced in the 『LimwonGyeongjeji』. However, in the 『Jungli-Euiguae』, written around 1797, a manned type of Chwibyeong using a support was depicted as the material of the Chwibyeong. By being able to confirm the type of tree us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thod of creating a Chwibyeong using Winnow willow introduced in the 『LimwonGyeongjeji』.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using Chwibyeong to restore by analyzing old literature. For this purpose, first,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aterial of the Chwibyeong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old documents showing the method of forming the Chwibyeong. Second, the material and composition method of the Chwibyeong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icture of "Seongyeok-do" in 『Jungli-Euiguae』, which allows us to understand the form of the Chwibyeong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우진, 심우경(2013).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1-21. https://doi.org/10.14700/KITLA.2013.31.4.001
  2. 변우혁(1976). 이조시대 정원의 수목과 배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백종철(2001).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한수원(2001). 조선후기 궁궐건축의 가변시설에 관한 연구 - 판장, 취병, 가퇴, 휘장, 차양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정우진, 심우경(2014). 취병(翠屛)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宙合樓) 취병의 원형규명. 문화재. 47(2): 86-113.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2.86
  6. 백종철, 김승민, 이종성(2014). 취병(翠屛) 재현을 위한 조성 방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10-12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110
  7. 진상철(2015).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4): 26-37.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26
  8. 진경환(2015). 학제 간 연구에서 고전 텍스트의 수용 문제 - '노송취병(老松翠屛)'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4): 77-86.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77
  9. 오준영, 양기철(2021).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복원정비를 위한 원형 경관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24-37.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4.024
  10. 문화재청(2020). 동궐(창덕궁)의 전통경관 고증 및 조경 복원정비 종합계획 연구.
  11. 수원시 화성사업소(2024). 수원 화성행궁 2단계 복원공사 보고서.
  12.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13.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14. 「규장각도(奎章閣圖)」
  15. 「동궐도(東闕圖)」
  16. 「뎡니의궤(整理儀軌)」
  17.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18.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19.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natur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