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Japanese-style Garden and Embodying Identity in Modern Japan

일본 근대 시기 일본풍 정원의 확립과정과 정체성 구현

  • An, Joon-Yo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Jun, Da-Se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안준영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
  • 전다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 Received : 2023.08.17
  • Accepted : 2023.09.21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Japanese-style garden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garden designers,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omponents, and materials used in their works, and to use it as data for embodying the identity of Korean gard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incorpora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Koreanness into the modern garden culture, there are differences in location, presence, and subjectivity when compared to Japan. This reflects Japan's relatively seamless cultural continuity compared to Korea's cultural disconnection during the modern period. Second, prior to the modern period, Japan's garden culture spread and continued to develop throughout the country without significant interruptions. However,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Meiji government promoted the policy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Bunmei-kaika, 文明開化)' and introduced advanced European and American civilizations, leading to the popularity of Western-style architectural techniques. Unfortunately, the rapid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caused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to be overshadowed. In 1879, British architect Josiah Condor guided Japanese architects and introduced atelier and traditional designs of Japanese gardens into the design. The garden style of Ogawa Jihei VII, a garden designer in Kyoto during the Meiji and Taisho periods, was accepted by influential political and business leaders who sought to preserve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a protection system of garde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eparation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Third, a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Japanese modern gardens, the examination of garden designers, Japanese components, materials, elements, and the Japanese-style showed that Yamagata Aritomo, Ogawa Jihei VII, and Mirei Shigemori were representative garden designers who preserved the Japanese-style in their gardens. They introduced features such as the creation of a Daejicheon(大池泉) garden, which involves a large pond on a spacious land, as well as the naturalistic borrowed scenery method and water flow. Key components of Japanese-style gardens include the use of turf, winding garden paths, and the variation of plant species. Fourth, an analysis of the Japanese-style elements in the target sites revealed that the use of flowing water had the highest occurrence at 47.06% amo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spatial composition. Daejicheon and naturalistic borrowed scenery were also shown. The use of turf and winding paths were at 65.88% and 78.82%, respectively. The alteration of tree species was relatively less common at 28.24%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urf or winding paths. Fifth, it is essential to discover more gardens from the modern period and meticulously document the creators or owners of the gardens, the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omponents, and materials used. This information will be invaluable in uncovering the identity of our own garden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Japanese-style during Japan's modern period, utilizing examples of garden designers and gardens. Whi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absence of in-depth research and more case studies or specific techniques, it sets the stage for future exploration.

본 연구는 근대 시기 일본풍 정원의 확립과정을 인물과 작품의 공간구성과 공간구성요소, 재료 등을 통해 살펴보고 우리 정원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성이 수용하고 있는 인자를 한일 근대 시기 정원문화에 대입한 결과, 장소성, 현재성, 주체성에 있어 모두 차이를 보인다. 이는 근대 시기 한국에는 문화적인 단절이 있었던 반면, 일본은 비교적 온전한 문화 계승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근대 시기 이전의 일본의 정원문화는 문화적인 단절 없이 일본 전역의 각기 각층에 보급되고 지속해서 발전해왔다. 근대 시기 메이지 정부는 문명개화 정책을 추진해 유럽과 미국의 선진문명 도입을 주도하여 서양식 건축법이 유행하게 되었다. 급속한 서양문화의 도입은 전통적인 일본문화가 잊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영국의 건축가 조시 콘더(Josiah Condor)는 일본인 건축가를 지도(1879)하고 정원의 화실, 일본정원의 전통적 디자인 등을 설계에 도입하였다. 메이지부터 다이쇼 시대에 교토지역에서 활동했던 오가와 지헤에(小川 治兵衛)의 정원양식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했던 정·재계 유력자들에게 받아들여졌고 각종 법령의 마련 등으로 보호 제도도 갖춰졌다. 셋째, 일본 근대정원의 정원가, 일본적인 구성요소, 재료, 요소와 일본풍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 有朋), 오가와 지헤에(小川 治兵衛), 시게모리 미레에(重森 三玲) 등이 일본풍을 정원에 계승한 대표적 정원가이며, 공간구성의 특징으로 대지천(大池泉) 정원조성과 자연주의적 차경 수법의 도입, 물의 흐름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일본풍 정원 구성요소의 특징은 잔디 활용, 곡선의 원로, 자연스러운 향토적 식재수종으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례 대상지의 일본풍 인자를 분석한 결과, 공간구성의 개별 요소별로 특히 유수(흐름)의 활용이 47.06%의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지천과 자연주의적 차경도 확인되었다. 잔디의 식재와 곡선 원로의 도입은 각각 65.88%, 78.82% 비율로 나타났다. 수종 변화는 28.24%로 잔디의 식재나 곡선 원로의 적용보다는 비교적 적은 건수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우리는 근대 시기의 정원들을 확대 발굴하여 정원의 조성자나 소유주, 공간의 구성, 공간의 구성요소, 재료 등을 세부적으로 기록하고 우리나라 정원의 정체성을 찾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일본의 근대 시기 일본풍의 확립과정을 인물과 사례 정원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보다 다수의 사례와 구체적인 기법의 분류 등 세부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로 두고 차후 과제로 삼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영일(2004). 한국 현대조경 작품에 나타난 한국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平澤 毅(2007). 文化的資産としての近代庭園及び公園の保護.. 日本庭園学会誌 : 121-122.
  3. 西 桂(2005). 日本の庭園文化. 学芸出版社 : 146.
  4. https://en.wikipedia.org/wiki/File:Ogawa-zihe1860.JPG#filelinks
  5. https://murin-an.jp/about/
  6. https://kyoto.nnakaha.com/index.php?%E5%B0%8F%E5%B7%9D%E6%B2%BB%E5%85%B5%E8%A1%9B
  7. 小野 健吉(1986). 對龍山荘庭園における小川治兵衞の作庭手法. 造園雑誌 : 13-17.
  8. http://www.kyotokanko.co.jp/garden/index2.html
  9. https://contest.japias.jp/tqj2007/90390/kentiku/rekisi07.html
  10. http://okayamakajyu.com/03landscape/rekishi.html
  11. http://www.kanboo.co.jp/lawn/history.html
  12. 北村 文雄(1998). 日本における芝生文化の展開.. 芝草研究 : 27.
  13. 近代庭園マップ東京研究会(2020). 近代庭園マップ東京2020. 東京農業大学 庭園文化研究室
  14. https://earthtime-club.jp/column/history/073-2/
  15. https://earthtime-club.jp/column/history/074-2/
  16. https://www.gotokyo.org/kr/spot/25/index.html
  17. https://zh.wikipedia.org/zh-tw/%E6%B8%85%E6%BE%84%E5%BA%AD%E5%9C%92#/media/File:KiyosumiGarden20111228.jpg
  18. https://oniwa.garden/kyu-nanbu-shi-villa-garden-%E6%97%A7%E5%8D%97%E9%83%A8%E6%B0%8F%E5%88%A5%E9%82%B8%E5%BA%AD%E5%9C%92/
  19. http://www.beautifuljapan.or.kr/aomori/Sub01.asp?Contents_Type=View&IDX=321
  20. https://oniwa.garden/tozanso-%E6%9D%B1%E5%B1%B1%E8%8D%98%E5%BA%AD%E5%9C%92/
  21. 文化庁(2012). 近代の庭園·公園等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