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개발지역 학교 적정배치 방안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ropriate School Placement in Urban Development Area - Centerde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손병길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투고 : 2023.12.05
  • 심사 : 2023.12.29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종시 개발지역 학교의 학교입지·통학환경·교육여건·적정규모에 대한 실태를 탐색하고, 교육공동체의 요구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효과적인 학교 설립방안을 모색하든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세종시 개발지역 학교의 개교부터 현재까지 학생수 변화 추이 및 다른 신도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둘째, 과대·과소학교 발생으로 인한 학교입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을 위한 학교입지 상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적정 배치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학부모와 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설립 시 적정한 학교입지를 최우선으로 하고, 둘째, 학교를 공동주택 중심에 위치하고 학교용지 옆에 회차로, 학부모드랍존 설치, 셋째, 운동장 및 특별교실·돌봄교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용지를 일정 면적 이상 확보, 넷째,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하여 통합운영학교나 학교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방안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school location, school environment, educational conditions, and appropriate scale of schools in the context of Sejong City's development area and identifies effective school establish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include, first, what is the change trend in the number of students as a result of the opening of schools in the development area of Sejong City to the present, a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Sejong and other new cities? Second, what challenges arise in school loca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oversized schools and undergraduate institutions? Third, what challenges arise in school location that would limit the ability to create a safe school environment? Fourth, what aspects need to be improved in school location decisions to promote proper placement?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parents and faculty members to collect data.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when establishing a school, identifying an appropriate location for the school was the top priority of the respondents. The second was the proximity of the school to dense housing, with a parent drop zone next to the school site. Third, to address the issue of lack of playgrounds and special class and care classes, respondents called for various measures such as securing school sites within a certain area. Finally,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and school facilities are required in preparation for decreasing school-age populations due to low birth ra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중필 (2020). 창의적 교육과정을 고려한 학교 공간혁신 요구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 김경호 (2019). 세종시 각급학교 학생유발률 공식 개발 연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3. 김성옥 (2008). 사회통합에 관한 혼합단지 내 주거만족도 조사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4. 김은정 (2019). 세종시 학생들의 생활 실태 분석. 세종특별자치시교육원 교육정책연구소.
  5. 김주진, 서수정, 정경일 (2005).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대주택정책 및 개발사례의 특성 연구. 國土計劃 40.6, 159-176. 
  6. 김태호, 김승현, 이수일 (2013).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초등학교 통학로 실태 및 안전도 영향규명 연구. 한국안전학회지28.5, 71-77. 
  7. 김형돈 (2013). 택지개발사업의 쾌적성을 위한 단계별 학교입지 결정조건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2.2, 31-42. 
  8. 윤용기 (2015). 우리나라 신도시 초등학교의 통학로 안전환경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4.2, 26-36. 
  9. 윤용기 (2017). 학교 입지 계획요소가 학생수 증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6.1, 20-29. 
  10. 윤용기 (2018). 적정규모 학교 정책수립을 위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수와 학급수에 관한 기초 연구 I. 교육.녹색환경연구 17.3, 54-64. 
  11. 이상민, 조창희 (2016). 지역특성을 고려한 학교규모 적정화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5.1, 40-48. 
  12. 이용환 외 (2019).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 18.4, 33-43. 
  13. 이화룡 (2013). 세종특별자치시 예정지역 학교설립 방안 연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정책연구과제.
  14. 이화룡 (2015). 세종시 예정지역 학생수 및 인구동향에 따른 학생변화 추이 예측 연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15. 이화룡 (2018). 행복도시 교육시설 설치계획 연구.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16. 장경미 (2016). 신설학교 개교업무와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17. 한태희 (2021). 초등학교 학생수 변동 추이 분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18.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21). 학생수 변동 추이 및 향후 전망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