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世宗實錄」
- 「世祖實錄」
- 「中宗實錄」
- 「經國大典」
- 「新增東國輿地勝覽」
- 具鳳齡, 「栢潭集」
- 金齊閔, 「鰲峯集」
- 柳希春, 「眉巖日記草」(담양향토문화연구회 편역, 「眉巖日記草」 제3집, 담양, 담양향토문화연구회, 1994)
- 成俔, 「虛白堂文集」
- 丁若鏞, 「牧民心書」
- 河受一, 「松亭集」
- 洪迪, 「荷衣遺稿」
- 黃士佑, 「在嶺南日記」(황위주 역, 「(脫草譯註)在嶺南日記」, 대구, 嶺南文化硏究院, 2006)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4권,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95
- 김경숙, 「15세기 정소(呈訴) 절차와 관찰사의 역할」, 「역사와 현실」 59, 한국역사연구회, 2006, 69~99쪽 https://doi.org/10.1063/1.2349740
- 김경숙, 「16세기 전라도 관찰사의 순행길」, 「지방사와 지방문화」 13(2), 역사문화학회, 2010, 43~86쪽
-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한국의 탐구 8,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 김창현, 「누정 산책」, 서울, 민속원, 2019
- 문화재청, 「밀양 영남루 실측조사보고서」, 1999
- 박종기, 「새로 쓴 5백 년 고려사」, 서울, 푸른역사, 2008
- 박준규, 「韓國의 樓亭巧」, 「호남문화연구」 17,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7, 1~27쪽 https://doi.org/10.14731/kjir.1987.09.27.1.17
- 성재만, 「조선시대 객사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조경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송재용, 「「미암일기」의 서지와 사료적 가치」, 「퇴계학 연구」 12, 단국대학교퇴계학연구소, 1998, 117~151쪽
- 심경호,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종류와 기록자 계층」, 「동아한학연구」 14,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2020, 39 1~456쪽
- 여상진, 「朝鮮時代 客舍의 營建과 性格 變化」,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여상진, 「18世紀 忠淸監司의 監營處 및 道內 邑治施設 利用: 交龜, 巡歷 및 行禮를 中心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1),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143~153쪽 https://doi.org/10.5762/KAIS.2008.9.1.143
- 여상진, 「「完營日錄」에 나타난 19C초 전라감사의 집무와 전주부 관영시설 이용」,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2),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658~665쪽 https://doi.org/10.5762/KAIS.2010.11.2.658
- 여상진, 「지방 邑治施設 복원 및 활용을 위한 조선시대 지방관의 日記類분석 기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7),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2676~2686쪽 https://doi.org/10.5762/KAIS.2010.11.7.2676
- 여상진, 「18C末 황해감사 徐邁修의 집무와 해주목 관영시설의 이용: "海營日記"(徐邁修)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9),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4244~4252쪽 https://doi.org/10.5762/KAIS.2012.13.9.4244
- 여상진, 「18~19C초 황해도 관찰사의 순력(巡歷)과 도내 읍치시설 이용」,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9),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5835~5843쪽 https://doi.org/10.5762/KAIS.2014.15.9.5835
- 여상진, 「18세기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巡歷) 노정과 주요 업무」,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84~91쪽 https://doi.org/10.5762/KAIS.2017.18.9.84
- 이수건,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서울, 민음사, 1989
- 이수환, 「조선전기 慶尙監司와 都事의 巡歷과 통치기능: 在嶺南日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3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6, 513~541쪽
- 이연진, 「인조-숙종대 교생고강(校生考講) 제도 연구」, 「교육사학연구」 23(2), 교육사학회, 2013, 95~131쪽 https://doi.org/10.18105/hisedu.2013.23.2.004
- 이왕기, 김석희, 「미암일기에 나타난 유희춘가옥의 건축적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8(4),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13~20쪽
- 이연노, 「2000년 이후 관아와 객사건축에 관한 연구성과 및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8, 287~288쪽, 23(2), 교육사학회, 2013, 95~131쪽.
- 이은창, 「朝鮮時代의 官衙園林硏究 : 領湖南地方의 官衙園林遺跡을 中心으로」, 「연구논문집」 29(1),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4, 185~256쪽
- 이종숙,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현황과 특징」, 「문화재」 52(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142~153쪽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4.142
- 이호열, 「16世紀末 士大夫家 客廳 造營事例 硏究: 柳希春의 「眉巖日記草」를 中心으로」 「건축역사연구」 1(2), 1992, 9~38쪽
- 이호열, 「밀양 영남루 연혁 및 건축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9(1), 한국건축역사학회, 2000, 7~25쪽
- 전영옥, 「조선시대 官營園林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정연식, 「조선조의 탈것에 대한 규제」, 「역사와현실」 27, 한국역사연구회, 1998, 177~208쪽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최종희 성재만, 「조선시대 객사의 입지 및 배치, 조경적 특성: 벽제관, 전주객사, 금성관, 진남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한국전통조경학회, 2009, 74~83쪽
- 한동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누정조의 사적(史的)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 15~18쪽
- 황상돈, 「朝鮮時代 官衙庭園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황상돈 박찬용, 「조선시대 읍성의 관아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7(3), 한국정원학회, 1999, 53~66쪽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3-CKD-1240001.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s://kyudb.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