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도선수의 성별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기능 비교 및 상관관계 연구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by Gender in Judo Athletes

  • 김혜영 (방병원 물리치료실) ;
  • 정은정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신예진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이병희 (대한개인실습물리치료학회)
  • Hyeyoung Kim (Dept. of Physical Therapy, Bang Hospital) ;
  • Eunjung Chung (Dept. of physical therapy, Andong Science College) ;
  • Ye-Jin Shin (Graduate school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
  • Byoung-Hee Lee (Dept. of Administration, Korean organization of Private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 투고 : 2022.12.20
  • 심사 : 2023.03.24
  • 발행 : 2023.12.31

초록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by gender in Judo athletes. Bot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athletes are important as factors influencing athletic performance, but there are few papers that have compared and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of judo players. Design: Cross sectional study Methods: The 134 participa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team players. They used physical functions to measure such as self-describing KOOS, FAOS, ODI, POMS, SCAT, ASMQ, and ACSI-28.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KOO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OS and ODI. For psychological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tality item in the POM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life management, and unique behavior management items in the ASMQ. In the ACSI-2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ping with adversity, stress repayment, concentration, freedom to worry about matches, and self-coaching behavior items.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POM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SMQ and ACSI-28, whereas the SCA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ports training by gender of Judo athle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국. 대학운동선수의 열정과 운동정서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체육대학원; 2010.
  2. 강주희, 김선응, 여희정. 스포츠경쟁불안 특성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02;11(1):109-119.
  3. 고성경, 권영우. 남녀 대학생의 고체지방과 고제지방 실태와 고BMI, 고WHR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17;26(3):939-946.
  4. 김기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트레이닝 구성전략. 코칭능력개발지 2013;15(1):72-83.
  5. 김병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의 측정. 체육과학연구 2003;14(4):125-140.
  6. 김병찬, 최동재, 권창기, 한승훈. 유도선수의 체력훈련정도에 따른 성취동기와 경쟁상태불안의 차이분석. 대한무도학회지 2013;15(1):197-206.
  7. 김성운, 김우철 최석립. 단기간의 과훈련이 여자대학교축구선수의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0;49(6):211-223.
  8. 김평. 국가대표급 남.녀 유도선수의 체급별 승부기술 비교 연구: 2010~2013년 국가대표선발전 전국유도대회 결승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김헌태.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2021;19(3):619-629.
  10. 김효정, 한정규. 테니스 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상해유형 및 재활형태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21;30(2):167-176.
  11. 김혜영, 정은정, 이병희.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신체부위별 스포츠상해에 대한 후향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0;20(3):661-67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661
  12. 류태호, 기병준, 이병준. 성과 운동참가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02;9(1):63-78.
  13. 박기준. 엘리트 유도 및 레슬링 선수들의 스포츠 손상 특성.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5.
  14. 박상혁, 김태완. 엘리트 유도 선수들의 심리적 강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18;20(10):47-65.
  15. 배상일, 이한경, 문준혁, 안한주, 장성호. 여고 유도선수의 주기화 근력트레이닝 적용 후 체격 및 체력의 변화. 대한무도학회지 2011;13(3):209-223. https://doi.org/10.35277/KAMA.2011.13.3.209
  16. 서경호. 고등학교 엘리트 유도 학생선수의 성별에 따른 경기력 관련 체력 비교 분석. 스포츠와 해양문화 2022;12(1):11-17.
  17. 서승석, 정경칠, 김영목. 슬관절 손상에 대한 국문 Knee Injury and Osteoarathritis Outcome Score[KOOS]의 적용을 통한 타당성, 신뢰성 및 반응성 평가.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6;41(3):441-453.
  18. 안인태, 최보람. 플라이오메트릭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운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1):47-54.
  19. 양성지. 골프선수의 다차원 완벽주의와 정서, 스포츠대처, 자기관리 및 인지된 경기수행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0. 원유경, 오수학. 운동의 형태와 지속시간이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05;7(1):1-14.
  21. 원유병. 운동선수들의 언어, 물리적 체벌유형과 기분상태 비교.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08;19(3):167-178.
  22. 이건철.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상해 스트레스 및 운동탈진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011;13(4):161-171.
  23. 이대훈, 김초인, 신기하, 염유진, 김지성, 김성호. 키네시오 테이프의 장력 차이가 젊은 대학생들의 발목 근력,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2):28-37.
  24. 이성은. 무릎관절염(OA)환자 대상 디지털치료기기(DTx)의 유효성 평가도구에 대한 제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25. 이성호. 유도선수의 자기관리와 내적동기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7.
  26. 이옥진, 김미예. 기분상태검사(POMS)의 타당화.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06;20(4):121-133.
  27. 임종국. 명상과 걷기운동 시 장소환경 차이가 혈압, 심박수, cortisol, serotonin, NK-cell 및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9.
  28. 장갑석, 이동준, 김우영. 우수․비우수 대학사격선수의 경쟁상태불안에 관한 연구. 스포츠사이언스 2013;30(2):151-157.
  29. 조용찬, 박두용, 박승호. 남녀 태권도 선수의 학교 급별 운동상해 실태분석. 스포츠 정보테크놀로지 연구 2006;1(1):49-60.
  30. 조용철, 윤용발, 김재홍.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상해요인과 예방에 관한연구.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1993;5(1):257-268.
  31. 차성복, 전상돈. 스포츠에서의 불안과 운동수행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1992;17:158-168.
  32. 최기성. 우수, 비우수 고교 유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경쟁불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3. 허용.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 조사 연구: 상해부위, 유형, 처치 실태와 발생률. 코칭능력개발지 2018;20(2):61-69.
  34. 허용, 이정화.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 발생률. 한국스포츠학회지 2018;16(2):767-776.
  35. 황성우, 이정효. 태권도 지도자의 대응가치 리더쉽과 심리기술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010;12(2):65-73.
  36. Angthong C.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ai version of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in patients with arthritis of the foot and ankle. Foot Ankle Surg 2016;22(4):224-228. https://doi.org/10.1016/j.fas.2015.09.006
  37. Davidson JL, Keating JL. A comparison of five low back disability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Phys Ther 2002;82(1):8-24. https://doi.org/10.1093/ptj/82.1.8
  38. Gaudreau P, Blondin JP.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coping strategies employed by athletes in competitive sport settings. Psychol Sport Exerc 2002;3(1):1-34. https://doi.org/10.1016/S1469-0292(01)00017-6
  39. Geer EB, Shen W. Gender differences in insulin resistance, body composition, and energy balance. Gend Med 2009;6(1):60-75. https://doi.org/10.1016/j.genm.2009.02.002
  40. Martens R.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977.
  41. Martens R, Vealey R, Burton D. Competition anxiety in sport.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990.
  42. Riggs BL, Melton LJ, Robb RA, Camp JJ, Atkinson EJ, Peterson JM, Khosla S. Population based study of age and sex differences in bone volumetric density, size, geometry, and structure at different skeletal sites. J Bone Miner Res 2004;19(12):1945-1954. https://doi.org/10.1359/jbmr.040916
  43. Roos EM, Brandsson S, Karlsson J. Validation of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or ankle ligament reconstruction. Foot Ankle Int 2001;22(10):788-794. https://doi.org/10.1177/107110070102201004
  44. Roos EM, Lohmande LS. The 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 (KOOS): From joint injury to osteoarthritis.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3;3(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