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suring Benefits of Developing a Linear Park in the Gyeongin Expressway Downgrade Project by Applying CVM

CVM을 적용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및 선형공원 조성사업의 편익 측정

  • Young Sook Eom (Department of Economics, Jeon Buk National University) ;
  • Sang Ke Ki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 엄영숙 (전북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부) ;
  • 김상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 Received : 2023.10.22
  • Accepted : 2023.12.0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appli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o measure the benefits from an urban liner park that will be created as part of the Gyeongin Expressway downgrade project by Inch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Incheon city government plans to create a liner park (10.5 km) in the middle of the downgraded road to provide leisure and recreation services to residents, and plans to remove retaining walls and soundproof walls to improve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liner park that spans several districts in Incheon city and the downgraded road that will be passed by residents of nearby cities as well as Incheon residents, the target population included residents of part of Seoul and several cities surrounding Incheon. In a CVM survey of 1,000 respondents conducted in April 2018, about 70%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is project positively. About 50% of 757 respondents, excluding protest bids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taxes for this project. The more the respondents favored the creation of a linear park and the more they thought that this project would improve the surrounding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ore positively they evaluated the additional tax payment. The average annual willingness to pay for this project was about 15,300 won for Incheon residents and 6,800 won for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at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who a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is project, were willing to pay a considerable amount for this project.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으로 조성될 선형 공원이 제공할 여가 및 휴양 서비스 그리고 방음벽 및 옹벽 철거와 경관 개선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의 비시장적 편익을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천시 내 여러 구역에 걸쳐 있는 선형공원의 특성과 일반도로로 전환되지만 인근 도시 주민들 역시 통행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경기도와 서울시 일부지역 주민들을 잠재적 수혜자로 보고 표본에 포함하였다. 2018년 4월에 이루어진 1,000명 대상 CVM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의 70% 정도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아울러 저항응답자들을 제외한 757명의 분석표본의 50% 정도가 추가세금을 납부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공원 형태의 녹지공간 조성에 찬성할수록, 그리고 본 사업이 주변 주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일수록 추가세금 납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위한 연간 지불의사 평균은 인천시 거주자들이 15,300원 정도, 그리고 수도권 거주자들이 6,800원 정도로 측정되었다. 본 사업의 간접영향권이라고 볼 수 있는 수도권 거주자들도 본 사업을 위해 상당한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주. 허자연. 강원삼. 윤희연, "서울시 도시재생을 통한 선형공원 조성사업 효과진단과 정 책과제", 서울연구원, 2019.
  2. 김재철. 박근현,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 면적 근린공원과의 비교사례 연 구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8권 제6호, 2013, pp. 89~106.
  3. 김태진, "국내 첫 경부고속도로 위에 공원조성", 매일경제, 2022.10.14., https://www.mk.co.kr/ news/realestate/10488462, 2022.
  4. 나도삼. 반정화. 이정현, "서울로 7017 시민이용실태와 주변지역 변화", 서울시, 서울연구원, 2017.
  5. 박근현, 김재철, 이태웅, "공원복지를 위한 선형공원의 조성효과와 공급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6. 박주현, "오픈스페이스 조성이 인근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경의선 숲길 을 대상으로", 제4회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2016.
  7. 서울특별시, "국회대로 7.6km 길이 선형공원 된다", 푸른도시국 공원조성과, 2020.01.09.
  8. 심지수, "도로. 철도가 공원이 되는 방법: 도로. 철도 시설을 활용한 선형공원", working paper, 국토연구원, 2022.
  9. 엄영숙, "CVM을 적용한 공공사업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총편익의 산정: 거리-소멸함수의 적 용", 「재정학연구」, 제3권 제3호, 2010, pp. 73~105.
  10. 엄영숙. 김진옥, "지방재정투자사업 타당성조사 시 지방공공재의 시장영역 설정: 수원수목원 조성사업을 사례로", 「지방재정논집」, 제22권 제3호, 2017, pp. 145~168.
  11. 엄영숙. 최성록. 김승규. 김진옥, "공원일몰제 시행과 도시녹지 서비스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선호측정: 아파트 실거래 기반 헤도닉가격접근법을 적용하여", 「자원. 환경경제연구」, 제 28권 제1호, 2019, pp. 61~93.
  12. 엄영숙. 홍종호, "공공사업 타당성 분석을 위한 지불의사액 추정에 있어 지불거부 반응의 식 별과 보정", 「재정학연구」, 제2권 제4호, 2009, pp. 89~117.
  13. 이소정, "서울시, 경부간선도로 지하화 용역, 상부에 선형공원 조성", 동아일보, https://www.do 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402/118642060/1, 2023.4.02.
  14. 이주은. 양우현, "선형공원 조성에 의한 주변 주거지의 변화 분석: 서울시 재생 가로공원과 복 원하천 수변공원 사례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7권 제6호, 2016, pp. 45~55. https://doi.org/10.6107/JKHA.2016.27.6.045
  15. 정진원. 최민아. 이종현,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에 대한 주변지역 주민 의식조사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제52권 제1호, 2018, pp. 39~52.
  16. 최성록, "생태계서비스 경제사회가치평가 기법개발", 국립생태원, 2017.
  17.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세부지침 도로. 철도부문 연구", 공공투자관리센터, 2021.
  18.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 보완연구 (제5판)", 공공투자 사업관리센터, 2008.
  19.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CVM 분석지침 개선연구", 공공투자사업관리센터, 2012.
  20. 한국개발연구원, "조건부가치측정법 (CVM) 분석지침, 내부지침", 공공투자사업관리센터, 2015.
  2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타당성 조사",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2018.
  2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시공원 타당성조사 방법 개선방안 연구",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2020.
  2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문화체육시설의 타당성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 편익추정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2016.
  2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재정투자사업타당성조사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조사설계 표 준화방안연구",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 2019.
  25. Bateman, I. J., R. T. Carson, and B. Day, Economic Valuation With State Preference Techniques: A Manual, Edward Elgar Publishing Co., 2002.
  26. Berg, N., "Goodbye Highways,"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February 7), 2002, pp. 74~81.
  27. Freeman, A. M.,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es: Theory and Method, Resource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2003.
  28. Greene, W., Econometric Analysis, 5th Edition, Prentice Hall Publishing Co., 2003.
  29. Haab, T., and K. E. McConnell,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Edward Elgar Publishing Co., 2002.
  30. Harnik, P., and B. Well, "Measuring Economic Value of A City Park System," The Trust for Public Land, 2009.
  31. Jung, E., Choi, Y., and Yoon, H., "The Impact of the Gyeongui Line Park Project on Residential Property Values in Seoul, Korea," Habitat International, Vol. 58, 2016, pp. 108~117.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16.10.002
  32. Levere, M., "The Highline Park and Timing of Capitalization of Public Goods," Working paper, https://completegeorgebridge.files.wordpress.com/2020/12/the-high-line-park-and-timingof-capitalization-of-public-goods.pdf, 2014.
  33. Maddox, D., "Justice and Geometry in the form of Linear Parks," The Nature of Cities, 2016.
  34.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MA),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5.
  35. Mitchell, R., and T. Carson,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Resources for the Future, USA, 1989.
  36. Park, J., and J. Kim, "Economic Impact of a Linear Urban Park on Local Business: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in Seou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181, 2019, pp. 139~147.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18.10.001
  37. Smith, V. K., "Nonmarket Valuation of Environmental Resources: An Interpretive Appraisal," Land Economics, Vol. 69, No. 2, 1993, pp. 1~26. https://doi.org/10.2307/3146275
  38. UKNEA,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Cambridge, UNEPWCMC,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