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Information Disclosure in the Construction CALS System: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건설CALS시스템 정보공개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Xiu-Mei Zheng (ITMATE (Construction Project Team)) ;
  • Tae-Hak Kim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Department of Future & Smart Construction Research))
  • 정수매 (아이티메이트 건설사업팀) ;
  • 김태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스마트건설연구본부)
  • Received : 2023.11.14
  • Accepted : 2023.12.0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blic Data Act mandates that every public institution must make efforts to facilitate convenient access to public data for all and take necessary measures to universally expand the right to use such data. Furthermore, it specifies that the head of a public institution must provide the data held and managed by that institution to the citizens.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aim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ata within the Construction CALS System, creating new added value by disclosing information and fostering communication. This service seeks to enhance public interest and transparency, support the creation of new businesses based on construction project data, and stimulate related industries. Since 2019, a total of 26 types of information have been disclosed through this service. As the volume of disclosed information continues to increase, there has been a consistent demand for reducing burden on data providers and enhancing user functionalit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truction CAL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o identify its existing challenges. Subsequently, it establishe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data opening process and proposes enhancements to information disclosure and search functionalities for addressing these challenges.

Keywords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공공데이터법에서는 공공기관은 누구든지 공공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용권의 보편적 확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되어 있고 공공기관의 장은 해당 공 공기관이 보유ㆍ관리하는 공공데이터를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1].

국토교통부에서는 2022년 기준으로 2,265건의 데이터 개방에서 2025년까지 908개를 추가 개방하여 국토교통 데이터 활용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산하 기관들이 보유·관리하고 있는 모든 공공데이터에 대해 전면 개방 의무화를 추진 하고 있다.[2]

위와 같은 배경으로 건설사업정보시스템(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 이하 건설 CALS)에서도 2019년부터 정보공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3년 현재까지 총 26종[데이터·파 일(53여만건)·OpenAPI(58종)]의 건설사업정보를 개방하고 있다.[3]

그러나, 정보공개 서비스가 제공되고 4년이 지난 현재, 여러 부문에서 활용하고 실효성을 거두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CALS시스템의 정보공개 서비스 기능개선을 위해 현황을 분석하고 세부 메뉴별 기능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건설CALS시스템 정보공개 현황과 문제점을 먼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은 공급자와 사용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공급자는 정보공개 업무를 직접 담당하는 담당자의 의견을 취합하였고, 사용자 의견은 건설 CALS시스템 HelpDesk 등을 통해 접수된 의견을 취합하였다.

취합된 의견들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공급 담당자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보공개 프로세스 구축과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정보공개 및 검색 기능개선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2. 건설CALS시스템 정보공개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2.1 건설CALS시스템 개요

CALS는 미국 정부가 조달·보급 등에 관한 방대한 양의 정보처리를 위해 도입한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에 건설 분야에서 사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해 미국 정부의 CALS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건설기술관리법에 건설정보 체계 마련을 위해 근거 규정(제15조, 제15조의2)을 신설하고 1999년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Fig. 1 은 건설CALS시스템 개요이다.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1.png 이미지

Fig. 1 Overview of Construction CALS System [4]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2.png 이미지

Fig. 2 Menu Configuration of Construction CALS System [4]

건설CALS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calspia.go.kr) 는 Fig. 2와 같이 6개의 메인 메뉴와 24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마당 > 정보 공개’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2 건설CALS시스템 정보공개서비스 현황

건설CALS시스템 ‘홈페이지 > 정보마당 > 정보 공개’에서 제공하는 분야별 공개 현황은 Table 1 과 같다.

정보공개 상세 건수에서 공사는 공사정보(진행 중) 191건, 공사정보(준공) 93건, 업체 정보 1,570 건이며 시설물은 시설물 관리정보 7,966건이다.

보상은 3년간의 공공용지취득 실적에 대해 규모 기준, 사업, 기관, 소속기관, 취득 방법, 시도, 지목(6가지) 물건(보상액 기준) 등으로 구분해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허가에서는 도로점용 허가 내용으로 2023년 6,148건, 2022년 6,012건, 2021년 6,720건, 2020년 6,424건 등이 있으며 품질 검사 성적서에 의뢰인, 시공자 등의 정보 입력 시 조회 가능하다.

Table 1. Information Disclosure Status across Field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

SOOOB6_2023_v26n6_3_1243_t0001.png 이미지

기타에는 설계 VE 4,854건, 건설공사사후평가 141건, 설계도서정보마당 65건, 원가절감사례 1,616 건, 건설신기술 966건이 있으며 BIM LIBRARY는 링크를 통해 정보공개를 제공하고 있다(https://www. calspia.go.kr/bim/).

정보공개 메뉴는 데이터 조회, 분석서비스, OpenAIP, 정보공개 서비스 소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공개 메뉴 클릭 후 데이터 조회 기능에서는 공사, 시설물, 보상, 인허가, 기타 정보에 대해 검색 조건 선택 후 관련 정보를 조회·검색할 수 있다.

전체 공개 정보 목록을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데이터 조회·검색 예시 화면은 Fig. 3과 같다.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3.png 이미지

Fig. 3 Information Disclosure Search and Inquiry [4]

정보공개 분석 서비스는 Fig. 4와 같이 공사비 증감 현황, 참여 업체 증감 현황, 전체 보상액 규모 현황, 시설물 종별 관리현황, 시설물 유형별 관리현황, 기타 사후평가 분석 현황, 기타 설계 VE 공사 구분별 현황, 정보공개 이용 현황 등의 정보를 차트·그래프 등의 시각화 자료와 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4].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4.png 이미지

Fig. 4 Information Disclosure Analysis Service Disclosure [4]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5.png 이미지

Fig. 5 OpenAPI [4]

정보공개 ‘OPEN API’는 Fig. 5와 같이 ‘서비스 소개, 인증키 발급, 인증키 발급 결과, 서비스 목 록’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3 건설CALS 정보공개 시스템 문제점

정보공개 건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데이터 공급자 입장에서는 데이터 개방으로 인한 업무 가중 등의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개방데이터 선정 및 개방 시점 관리 프로세스 시스템(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HelpDesk 등 민원에서는 2.2의 시스템 현황과 같이 단순하게 데이터만 제공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는 의견들도 있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데이터 제공을 위한 데이터 제공유형 및 방식 다양화와 데이터 분석을 통한 통계 및 시각화 자료 제공을 사용자 입장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3. 건설CALS 정보공개 시스템 기능개선 방안

3.1 데이터 개방 프로세스 체계화

데이터 개방으로 인한 업무 담당자 부담을 해소하고자 데이터 생산 업무와 데이터 개방 업무를 분리하고 개방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전담 조직 또는 인력 배정을 통하여 데이터 개방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또 메타 데이터 등 데이터 목록 관리를 통해 개방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연도별 데이터 개방을 위한 ‘데이터개방심의위원회(안)’을 제안하였다.

데이터 개방 프로세스를 Fig. 6과 같이 정립하였다.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6.png 이미지

Fig. 6 Data Openness Process

여기서 업무 담당자는 개방실행계획 수립과 개방데이터셋 수립 확인을 하게 된다. 개방실행계획 수립은 개방데이터 구축을 위한 실행계획 수립단 계이며 시스템담당자, 개방관리자와의 협의를 통해 개방데이터의 구체적인 설계 및 구현 공정 계획 수립 등을 담당한다. 개방데이터셋 수립 확인단계에서는 구축 완료된 개방데이터셋 점검과 개방데이터의 완전성, 유효성, 신뢰성 등 점검을 진행하며 개방데이터의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포함여부 점검, 개방데이터의 저작권 및 지적재산권 위배 여부 점검 등 업무를 수행한다.

시스템 담당자는 개방데이터 설계, 개방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추출, 데이터 품질개선 업무를 담당한다. 개방데이터 설계는 개방데이터 제공을 위한 논리ㆍ물리 데이터설계이고, 개방데이터 수집 및 추출은 온ㆍ오프라인을 통한 개방데이터 수집 단계이며 개방데이터 대상 정보의 추출을 통해 개방데이터셋 구축 업무를 진행한다. 데이터 품질개선에서는 데이터 품질 결과에 따라 개방데이터의 품질개선을 수행하는데 개방데이터의 품질수준이 일정 기준 이상일 때까지 반복 수행해야 한다.

품질관리자는 데이터품질 진단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제공 대상 개방데이터의 표준준수 및 데이터 값, 구조 등에 관해 데이터 품질진단을 수행하고 결과를 통보한다.

데이터 제공 실무담당자는 데이터 포털 등록 업무를 담당하게 되며 준비된 개방데이터셋을 데이터 포털에 개방하거나 오픈API를 통한 xml / JSON 형태의 제공이나 데이터셋 파일 업로드를 통한 파일 다운로드 형태의 제공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3.2 정보공개 및 검색 기능개선

3.2.1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공공데이터 검색 UI/UX 개선

검색어 입력 외에 Table 2와 같이 유사어 검색, 검색어 자동완성, 데이터 텍스트 인식 검색 등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 예정이다.

검색 결과 창에 최신 정보 목록을 사전 게시하고 텍스트 입력방식과 목록형 검색 방식을 병행하며 초성 입력을 통한 검색 목록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단어 입력 순서에 따라 통일 기관, 문서 명 목록을 제공하며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도 제공 예정이다. 음성 검색 기능은 추가 개발 예정이다.

Table 2.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earch/Inquiry Functionality

SOOOB6_2023_v26n6_3_1243_t0002.png 이미지

3.2.2 대용량 정보 제공 기능개발

공사, 시공업체 정보 등 대용량 정보공개 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구축 예정이다.

현재는 데이터 조회메뉴에서 1차, 2차 검색 기준 등을 선정한 후 검색 목록을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 부족 의견들이 있었다.

그리하여 Table 3과 같이 대용량 데이터 목록을 제공 예정이며 대용량 데이터 목록 선택 시 다운로드 조건을 기관별, 연도별, 지역별 등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 예정이다.

Table 3. Diversify information disclosure search/ search functions

SOOOB6_2023_v26n6_3_1243_t0003.png 이미지

3.2.3 데이터 분석 시각화 정보 제공 기능 개발

차트, 그래프 등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 정보 제공 서비스 개발 예정이다.

현재 시스템에서 대부분의 개방 데이터는 목록형 데이터로 통계와 통계분석 등의 데이터 미제공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사용자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통계 등을 작성하여 활용하여야 하며 사용자 편의 및 접근성 저하로 데이터 활용성이 감소 된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그리하여 Table 4와 같이 기존 개방 데이터 시각화 작업을 확대하고 2개 이상의 데이터 융복합을 통한 다양한 시각화 정보를 제공 예정이다.

3.2.4 맞춤형 정보제공 기능개선

사용자 정보관리 기능개선을 통해 관심 정보 등록 기능을 개발 예정이며 정보 제공자와 정보 수요자의 질의응답 창구 마련 예정이다.

사용자 중심으로 데이터 개방 및 정보공개 절차 간소화하고 신규 데이터 요청 기능 및 화면을 개발하여 현행 개방 목록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신규 데이터 요청 기능을 개발하여 Fig. 7과 같이 분야, 대상 기관, 연도 또는 기간, 키워드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Table 4. Expansion of Openness for Visualized Information such as Statistics and Analysis

SOOOB6_2023_v26n6_3_1243_t0004.png 이미지

SOOOB6_2023_v26n6_3_1243_f0007.png 이미지

Fig. 7 Expansion of Openness for Visualized Information including Statistics and Analysis

3.3 기 타

데이터 개방유형 개선 방면에서는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구분하여 개방유형(확장자명) 단순화가 필요하며 기준정보와 트랜잭션 정보를 구분하여 개방 주기 정규화와 정형 데이터 외에 건설기술 연구 자료 등 비정형데이터 개방 확대가 필요하다.

수요자 대상 서비스 개선 방면에서는 데이터 목록관리시스템에 연도별 개방계획 및 실적을 등록하는 개방계획/실적 등록이 필요하며 데이터 포털, 국토교통데이터 통합채널 등의 정보공개 민원 대응 및 개선 활동을 수행하는 정보공개 민원 대응이 필요하다

또, 연도별 데이터 점검 계획 기준 자체 점검 및 개선 활동을 수행하는 데이터 품질 활동도 필요하다.

4. 결 론

본 연구는 건설CALS의 정보공개시스템 기능개선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공급자와 사용자 입장에 서 필요한 기능의 추가 등을 통한 정보공개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정보공개 기능개선 및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해 공급자의 애로사항을 인터뷰하였으며 CALS시스템 HelpDesk를 통해 접수된 사용자 의견들을 취합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사항을 도출하였다.

2. 공급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보공개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담당자별 분담 업무를 지정하였다.

3. 사용자 입장에서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데이터 검색 UI/UX 개선, 대용량 정보 제공 기능개발, 데이터 분석 시각화 정보 제공 기능

개발 등을 통하여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촉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시스템 개선 사항들은 공급자 및 사용자 측면에서 정보공개 시스템의 접근도 향상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정보공개 서비스가 계속 활성화되고 데이터가 누적됨에 따라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사 사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출연금사업으로 수행되었음 (사업명: 23 건설사업정보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

References

  1. Retrieved Nov, 10, 2023, from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01210&lsiSeq=218743#0000
  2. Retrieved Nov, 10, 2023, from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106
  3. Tae Hak Kim,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for Construction Projects",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Proceedings of the 2023 KIIT Summer Conference, pp. 212, (2023).
  4. Retrieved Nov, 10, 2023, from https://www.calspia.go.kr/portal/
  5. Retrieved Nov, 20, 2023, from https://www.data.go.kr/tcs/vas/selectVisualizationLis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