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acquer Gilding Materials of the Stone Buddha Head Excavated from the Temple Site No.4 of Yaksugok-Valley in Namsan Mountain, Gyeongju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출토 석재 불두의 암석학적 특징과 옻칠 도금 재료 분석

  • Yu Jia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Myeong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Eunwoo (World Heritage Divis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유지아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이은우 (문화재청 세계유산정책과)
  • Received : 2023.10.05
  • Accepted : 2023.11.21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In 2019, the first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at the Temple Site No. 4 of Yaksugok Vally in Namsan Mountain, Gyeongju to determine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headless stone Buddha statue and the structure of the temple site. The survey excavated a stone Buddha head that was confirmed in a comparative analysis to be petrologically and mineralogically identical to a headless stone seated Buddha statue found derelict nearby. Traces of gold leaf and black adhesive were found on a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face of the Buddha head buried in the ground. Since it is exceedingly rare for lacquer and gilding techniques to have been applied to a large stone Buddha statue without a base layer, this study examines the gilding techniques of the tim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used. In this process, the structure of the gold foil was observed through analy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d the gold (Au) component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lack adhesive using pyrolysis-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pyrolysis-GC/MS), pyrolysis compounds such as hydrocarbons, fatty acids, catechol, and catechol oxidation products were detected. This was identical to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upon analyzing lacquer collected from species of lacquer tree whose main component is urushiol.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ne Buddha head excavated from the Temple Site No. 4 of Yaksugok Valley was separated from a nearby stone seated Buddha statue, and that the gold foil was attached using lacquer sap collected from lacquer trees, which grow in Korea, China, and Japan.

2019년 석조불좌상의 원위치와 사역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의 첫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 조사를 통해 출토된 석재 불두는 인근에 방치되어 있던 머리가 없는 석조불좌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암석학적 및 광물학적으로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땅에 묻혀 있던 불두의 오른쪽 얼굴 일부분에서 금박과 검은색 접착제의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대형 석조 불상에 바탕층 없이 옻칠 도금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여 당시의 도금 기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분석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 분산형 분광기를 통해 금박의 구조를 관찰하고 금(Au) 성분을 분석하였다. 열분해-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검은색 접착제를 분석한 결과 탄화수소, 지방산, 카테콜 그리고 카테콜 산화물 등의 열분해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우루시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옻나무 수종에서 채취한 옻칠을 분석하였을 때 나타나는 특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약수곡 제4사지에서 출토된 석재 불두가 인근의 석조불좌상에서 분리된 것이며 금박을 부착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생하는 옻 나무에서 채취한 옻 수액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문화재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에서 발간한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I(2021)』의 부록에 수록된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출토 불두 분석 결과」 논고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의 기반이 되는 자료를 협조해주신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에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I, p93-99, 예성디자인, 경주, (2021).
  2.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I, p1, 예성디자인, 경주, (2021).
  3.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 I, p33, 예성디자인, 경주, (2021).
  4. 이윤주, 불상도금 바탕층위의 전통과 근대적 변화-눈메움층을 중심으로-, 미술사 연구회, 30, p1, (2019).
  5. 정지희, 청주 용화사 석불상군의 연구, 미술사학연구 237, p85-108, (2003).
  6.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관음사 석조보살좌상,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Kdcd=21&ccbaAsno=03210000&ccbaCtcd=11&pageNo=1_1_1_0, (2023).
  7. 강삼혜, 고려시대 영월 창령사 터 오백나한상 연구, 동원학술논문집 21, p22-52, (2020).
  8.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전국박물관소장품검색, 나한상, http://www.emuseum.go.kr, (2023).
  9. 조성연, 권윤미, 최보배, 평창 발견 석조보살좌상의 보존처리와 3차원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복원, 박물관 보존과학 20, p77-92, (2018).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8.20.0077
  10.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전국박물관소장품검색, 불회사, http://www.emuseum.go.kr, (2023).
  1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1123701150000, (2023).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석조 관음보살 좌상,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3055, (2023).
  13. 조연태, 석조불좌상의 보존과 과학적 특성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12, p1-7, (2011).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1.12.0001
  1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검색, 경북안동출토 석조채색보살입상,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1330, (2023).
  15. W. Hao, Z. Yang, F. Beisong, D. Jingren, Systematic Investigation into Evolution of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Lacquer Lian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Yuan Dynasty, Coatings, 13(10), p1750-1762, (2023). https://doi.org/10.3390/coatings13101750
  16. R. Lu, T. Miyakoshi, Lacquer Chemistry and Applications, Elsevier, Kidlington, (2015).
  17. M.P. Colombini, F. Modugno, Organic Mass Spectrometry in Art and Archaeology,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2009).
  18. T. Diego, Analytical pyrolysis applied to the characterisation and identification of Asian lacquers in cultural heritage samples - A review,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157, p8, (2021).
  19. M.R. Schiiling, A. Heginbotham, H.v. Keulen, M. Szelewski, Beyond the basics: A systematic approach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in Asian lacquers, Studies in Conservation, 61(3), p3-27, (2016).
  20. 박종서, 조하늬, 이재성, 경산 임당고분 출토 철제 고리자루칼 칠의 유기물 분석, 보존과학회지 34(5), p375-376 (2018).
  21. 이준동, 황병훈,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1), p80-95, (1999).
  22. 이명성, 유지현, 김지영, 청와대 소재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의 암석학적 비파괴분석을 통한 산지해석, 지질학회지 54(5), p567-578, (2018). https://doi.org/10.14770/jgsk.2018.54.5.567
  23. 이찬희, 이명성, 김영택,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183-196, (2007).
  24. 이명성, 전유근, 김지영, 전암대자율을 이용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용 석재 선정 연구, 암석학회지, 25(3), p299-310, (2016). https://doi.org/10.7854/JPSK.2016.25.3.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