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SG Management Strategy for Sustainable Management : Focusing on Samsung Biologics Case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ESG경영전략 : 삼성바이오로직스 사례를 중심으로

  • 이창기 (삼성바이오로직스 EPCV센터 Facility Technology팀) ;
  • 김성건 (인하대학교 산업경영학과)
  • Received : 2023.12.04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ESG is the hottest topic in recent business management or business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with the release of the IPCC's 6th comprehensive report in 2023,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further raised around the world, and ESG management for sustainable and permanent companies is accelerating by improving social and governance structures, including the environment, and thereby enhancing corporate value. This case study is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sustainable growth, creating shared valu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Samsung Biologics, which is pursuing sustainable growth and management through ESG management. Samsung Biologics is the first Korean company to win the "Terra Carta Seal" award, part of a sustainable market initiativ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xternally, it has acquired the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acquired the KCGS ESG comprehensive evaluation A grade, acquired the CDP B grade, and acquired the EcoVadis Gold grade. It has joined the Sustainable Market Initiative launched by King Charles III since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20 to chair the Supply Chain. It has joined RE100, TCFD, and UN Global Compact to lead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ESG activities. Therefore, we would like to take a practical approach to ESG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growth through the example of this company.

Keywords

Ⅰ. 서론

최근 기업 경영에서든지, 경영학에서 가장 핫한 주제는 바로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이다. 2023년 벽두 삼성을 비롯한 대기업들의 CEO신년사에서는 ESG를 주요 화두로 내세웠을 정도이다. ESG는 환경과,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의 앞글자이지만, 이 ESG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보완하는 지표로 글로벌 투자사들이 투자대상을 선택할 때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살피고, 기업이 지속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일종의 비재무적 지표이자 투자의 기준이다. 이러한 ESG는 환경 분야에 대한 위기와 대응으로 많은 대중들에게 알려졌다. 2023년에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종합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이슈가 더욱 불거진 가운데, 환경을 포함한, 사회,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여 지속가능하고 영속적인 기업을 위한 ESG경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1].

정부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산업자원부에서는 중견기업의 ESG경영 전략수립·실천에 유용한 노하우 제공을 위한 중견기업 ESG 우수사례 공유 및 세미나, 1:1 컨설팅 진행하는 등 대기업 뿐 만 아니라, 중견기업에서도 ESG경영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상장기업의 경우 25년부터 지속가능 경영 리포트의 발행의무화 및 EU의 탄소국경세 도입 등 ESG에 대한 강화가 기업들로 하여금 ESG경영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을 만들고 있다. ESG는 이제 하면 좋은 것이 아니라, 꼭 해야만 하는 현실이 되어 버렸다[2].

이에 본 연구는 ESG경영을 통한 지속가능 성장 및 경영을 추구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의 일환인 ‘테라 카르타 실(Terra Carta Seal)’을 국내 기업 최초로 수상한 기업으로 대외적으로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 편입, KCGS ESG 종합평가 A등급 획득, CDP B등급 획득, EcoVadis Gold등급 획득한 기업이며, 2020년 세계경제포럼이후 영국 찰스3세가 출범시킨 Sustainable Market Initiative에 가입하여 Supply Chain의 의장을 맡고 있으며, RE100,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 이하 TCFD), UN Global Compact에 가입하여 ESG활동을 통한 지속가능 경영을 리드하고 있는 기업이다. 따라서 본 기업의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ESG 경영 전략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을 해보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2.1 ESG의 정의

ESG는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범위를 정의하는 하나의 방식이다[3]. 이러한 ESG는 기존의 재무적 성과를 중시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이제 자리매김을 하였다. 이는 기업이 재무적인 성과 이외에도 사회적으로 책임 있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는지를 투자자 관점에서 의미 있게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2.2 ESG 구성

ESG는 문자 그대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뜻한다. 첫 번째, ESG에서 환경은 기업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온실가스배출, 폐수, 위험물, 유독물 관리 등에 대한 기업의 대응방식을 의미한다. Ambec와 Lanoie[4]는 환경 친화적인 기업 활동이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환경경영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두 번째, ESG에서 사회는 기업이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의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사회는 기업 내·외부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직원들을 위한 복지, 안전, 인권, 다양성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 소비자 가치제고 등 기업의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까지도 기업이 이제 관심을 가져야 한다. Servaes & Tamayo[5]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소비자 인식에 따라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한바 있다. 마지막으로 지배 구조는 누가 기업을 움직이고, 그 움직이는 프로세스가 올바르고 감시가 적절한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통 이사회 구성, 감사 절차, 이해관계자의 권리 보호 등이 이에 해당된다. Gompers et al.[6]는 그의 연구에서 투명하면서도 강력한 지배구조가 기업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2.3 ESG의 발전

ESG 개념의 등장은 2004년 "Who Cares Wins" 이니셔티브와 2006년 유엔 책임 투자 원칙(UNPRI)의 도입부터이다. 이후 ESG는 투자 결정 과정에서 비재무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했다. Friede et al.[7]은 그들의 연구에서 ESG 요소가 장기적인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ESG가 단순히 윤리적 측면을 넘어서 경제적 가치에도 중요하다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 특히 UNPRI의 도입은 ESG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원칙들은 투자자들에게 ESG 요소를 투자 분석과 의사 결정에 반영할 것을 요구하였고, 이에 기업들도 ESG를 비즈니스에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오늘날 ESG는 투자의 기준 뿐 만 아니라, 많은 산업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요소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은 ESG를 통해 환경적 지속 가능성, 사회적 책임,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구현하고자 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이것들을 구현하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제고와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 영속적인 기업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ESG는 투자기업의 투자기준으로서 ESG에서, 지속가능하고, 영속적인 기업을 구현하기 위한 현대 기업 경영의 중요한 경영요소로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4 지속가능경영전략으로서 ESG 기존 문헌 연구

지속가능경영은 영속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서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ESG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ESG경영전략 수립 및 실천은 매우 중요하다. ESG를 실천한다는 이제 단순히 투자사들에게 투자를 받기위해서가 아니라, 영속적인 기업, 지속가능한 기업을 희망하는 기업에게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지속 가능 경영은 기업이 장기적으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창출하여 영속적인 기업으로 발전하는 방식이다[8]. 이는 단순히 경제적인 이윤추구를 넘어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여, 사회의 일원으로서 존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Eccles et al.[9]는 지속 가능한 관행이 장기적인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바 있다.

국내외 기업들도 ESG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재명[10]은 그의 저서에서 대부분의 ESG적용 국내외 기업들을 살펴보면, 환경 측면에서는 친환경 제품 개발, 에너지 효율 증대, 온실 가스 감축, 재활용 및 에너지 효율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회 공헌, 다양성과 고용 기회 확대, 노동 조건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다양한 기업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또한 지배구조 측면에서도 투명한 의사결정, 감사체계를 강화, 다양한 이사회 구성을 강조하면서, ESG 원칙을 통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노력하는 여러 기업의 모습을 소개하였다. 또한 김성건[3]의 연구에서도 LX하우시스의 ESG적용사례를 통해서 업의 본질을 강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ESG를 실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지속가능경영의 패러다임은 4단계로 진행되고 있는데, 1단계는 1980년부터 2000년까지 윤리적인 요소인 자선과 기부, 준법경영, 윤리경영을 중심으로 시작되었고, 2단계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핵심 요소로 하여 지속가능보고서의 발행확대 등 제도적인 기반을 만들었다[3, 11]. 2010년 이후 3단계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도입되면서 공유가치 창출로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2020년 이후 4단계는 윤리, 기회, 가치를 넘어 기회와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를 통합하는 ESG 경영으로 발전하였다[3, 11].

이러한 지속가능경영은 ESG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하고 있다. 따라서 ESG가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이해하고 그것을 기업의 전략으로 삼고 실천하는 것은 기업이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다하고 장기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12]. 이러한 지속가능 경영전략으로 ESG를 적용하는 기업들이 국내외적으로 속속 등장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이라는 것은 UN 지속가능발전법 1장 2조를 보면,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경제, 사회, 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않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3, 11].

2.5 ESG와 관련된 주요 관련 이론

2.5.1 지속가능 이론

이 이론은 경제적 성장, 사회적 포용, 환경보호 사이의 균형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지속가능 이론은 초기 Carroll[13]이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를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재량적 책임으로 구분하여 개념을 전파하면서 시작되었고, 본격적으로 지속가능 이론이 정립된 것은 Elkington[14]이 제시한 Triple Bottom Line이 제시되고 부터이다. Elkington[14]은 기업이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성과에도 주목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기업이 사회적, 환경적, 재무적 성과의 균형을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기업이 단기적 이익뿐만 아니라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도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Elkington[14]의 Triple Bottom Line을 각각 살펴보면, 환경적 성과는 기업이 환경 보호 와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사회적 성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이고 마지막으로 경제적 성과는 이윤 창출을 의미한다. 이러한 Triple Bottom Line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기업경영에 있어서 통합적인 접근과 함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전략모델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 세 가지를 포함한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이익과 혜택들 고려해야만 한다. 이를 통해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내고 영속적인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2.5.2 기업 사회적 책임 이론

CSR이 학문적으로 등장한 것은 1950년대 초반이며 이때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CSR은 진화, 발전해오고 있다. 1950년~1960년대에는 경영자가 사회와의 관계를 위하여 자발적이고 자선적인 활동으로써 사회에 도움을 주는 활동이라는 의미의 사회적 스튜어드(social steward)의 개념으로 보았다[15]. 초기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2000년대부터는 유럽이, 최근에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CSR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6]. CSR개념을 정의한 Bowen은 ‘CSR을 비즈니스맨의 의무’로 정의하였는데 그, 이후 1953년 제조회사인 A. P. Smith 社가 프린스턴 대학교에 기부를 함으로써 CSR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7, 18]. 1970년대 이후에는 이윤추구를 넘어서 다양한 기업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여 기업의 사회적 성과(Corporate Social Performance)이론을 정립한 Carroll[8]과 CSR의 대표적인 이론인 이해관계자이론을 정립한 Freeman[19]이 대표적인 학자들이었다(인하대). 1980년대를 전후해 기업의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과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시작했고[20] 단기적으로는 CSR이 손실을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사회발전과 경제적 풍요를 가져옴으로써 기업 또는 주주 모두에게 이로움을 제공해 줄 것이라고 하였다[20]. 한편, 1980~1990년대에는 Freeman[19]의 이해관계자이론(stakeholder theory)에 따라 기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생존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CSR활동이 필요하다는 견해와 CSR을 조직 전략의 일부로 활용함으로써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전략적 CSR 관점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21].

2.5.3 공유 가치 창출 이론

Porter & Kramer[22]의 "Creating Shared Value"에서는 기업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CSV(Creating Shared Value)란 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생산하는 기업만이 새로운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다는 Porter & Kramer[22]가 주창한 개념으로, 기업의 자원봉사활동이나 기부 등의 자선활동과 같은 기존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을 넘어, 기업이 사회적 문제나 욕구를 기업의 영역, 즉, 사업, 경영의 영역으로 확대시킨 개념이다. 즉,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이윤창출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환경, 자연재해, 기후변화, 교육 등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는 현실에서, 기업의 적극적인 사회적 역할의 기대가 분출되면서 나타난 개념으로 볼 수 있다[23]. 따라서 CSV이론은 사회적 문제 해결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ESG의 사회적 및 경제적 측면과 유사하다.

III. 사례연구

3.1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3.1.1 연구대상기업

본 연구의 대상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과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와 같은 제품의 대규모 생산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삼성바이로로직스는 세계적인 제약사로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며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중시하며,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ESG 관련 기준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실행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는 등 ESG에 앞장서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속가능 경영과 ESG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 그리고 경영을 추구하는 다른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3.1.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사전에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발간한 지속가능경영 리포트를 토대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고, 보완하기 위해 삼성바오로직스의 환경, 사회부분의 담당자 및 ESG관련 담당자의 협조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9월 부터 11월까지 방문 및 E-mail 질의 응답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 삼성바이오로직스 환경안전 및 설비담당자, ESG담당자들과의 미팅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ESG경영 전략에 대해서 회사에서 발행한 지속가능경영 리포트 및 발표자료들을 기반으로 궁금한 점이나 확인할 사항을 점검하였고, ESG경영전략 및 ESG실천사항에 대해 전반적인 의견을 청취할 수 있었다. 이후 E-mail을 통해 연구를 위해 필요한 자료와 내용을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3.2 삼성바이오로직스 사례연구

3.2.1 ESG 관리체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회사의 경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ESG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른 지향점을 설정하기위해 ESG 관리 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19].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는 2021년 2월 26일 신설되었으며, 환경/안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고객가치, 주주가치, 지배구조 등 환경(E), 사회책임(S), 투명경영(G) 관련 ESG 전반의 주요 정책을 심의·결정하고 있다[24].

“당사는 2023년 ESG 전담 관리 조직인 ESG그룹을 신설하여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의 전반적으로 관장하고 있습니다. 이 ESG그룹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를 전반적인 기획수립, 전사과제 설정, 대외 대응 및 평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실제 실행에 있어서는 Working그룹이라고 하여 실행 팀들과의 Co-work를 통해 세부과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 ESG 관련실무자 A 인터뷰 中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ESG관리 체계의 정점인 이사회와 경영진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먼저 이사회를 살펴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사회는 ESG 전략, 투자, 보고서, 평가 등 전사 ESG 대응 관련 사안 전반에 대한 관리 감독을 수행하고 있으며[19] 이 이사회에서 분기1회 개최하고 있는 ESG위원회에서는 ESG 관련 이슈를 점검하고 전사 ESG 추진을 점검하여 목표 달성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19]. <그림1>은 ESG관련 역할과 책임을 정리하고 있으며 인터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DGTSA8_2023_v19n4_17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삼성바이오로직스 역할과 책임[24]

“회사 경영진 또한 ESG 추진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ESG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실행에 있어서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CFO부문에 2023년 ESG그룹을 편입시켜 CFO가 ESG 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조직 내 각 부문과 부서별로 ESG활동을 실행하게 하고, 이를 평가와 보상에 반영하면서 조직 구성원에게 이행 동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ESG 관련 실무자 B 인터뷰 中 -

3.2.2 ESG추진전략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이하 CDMO)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대표기업으로, 제품의 개발부터 생산 및 유통까지 모든 과정에서 ESG를 체화하고 있다. 그 결과 2050년 넷제로 목표 선언 및 RE100에 가입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및 거버넌스 투명성 제고 등을 달성했다[24]. <그림2>는 ESG추진 전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터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DGTSA8_2023_v19n4_17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ESG 추진전략[24]

“우리 회사는 Driven. For A Sustainable Life입니다. 이 비전하에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ESG경영전략으로 2030 Sustainable Target을 수립하였고, 각 분야별 핵심 가치 및 상세 전략 과제를 구성하여 실행에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 ESG 관련 실무자 C 인터뷰 中 -

3.2.3 ESG 주요 핵심 추진전략 소개

3.2.3.1 환경

3.2.3.1.1 탄소중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CDMO 달성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저탄소 친환경 사업장 운영을 통한 지속가능한 CDMO를 달성하기 위해 지난 2021년 글로벌 표준인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과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을 인증 받았고, 2022년 탄소중립 선언 및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을 하고 RE100에 가입하였다.

“회사에는 2023년 RE100의 목표를 전년 대비 3.0(%)향상 된 11.7(%)로 설정하였으며 2030년까지 사용 전력의 3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2년에는 4개 부문 11개 과제를 이행하여 에너지 32.8(TJ)(Ton Joule, 이하 TJ)을 절감하고 대체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보였으며 2023년에는 직전년도는 약 3배에 달하는 100.9(TJ)의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16개의 과제를 이행하고 있는 중입니다.”

- 설비안전환경담당 관련 실무자 A 인터뷰 中 -

“대표적인 이행 과제로는 태양광 설비 및 외부 난방열 인프라 도입이 있으며 새롭게 건설되는 5공장에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주차장 부지 조성 등과 같은 친환경 설계를 접목시켜 에너지 절감에 대폭 기여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설비안전환경담당 관련 실무자 B 인터뷰 中 -

나아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50년까지 공급망 Net zero 전략을 위한 수단 중 하나인 ‘지속 가능 공급망’계획을 수립하여 공급사가 탄소중립에 동참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으며 ‘22년 12월 핵심 공급 파트너사와 ESG파트너십(MOU)을 체결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24].

3.2.3.1.2. 자원 사용 효율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자원 사용 효율화를 위한 3R : 사용량 최소화(reduce), 재활용 확대(recycle), 재이용 활동(reuse)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 공장에서는 wastewater recovery system을 도입하여 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에 대해 용수 사용량을 최소화하도록 설계에 반영하여 자원 사용 효율화를 기대하고 있다[24]. 인터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 회사는 기존 공장은 저녹스 버너를 초저녹스 버너로 순차적으로 교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간 질소산화물 28,399(kg)이 저감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수된 재이용수50(%)를 정수시설에 공급하고 나머지 50(%)는 냉각탑에 공급하여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물 재이용량을 관리 지표로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재이용(reuse)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순환이용률 80.02(%)라는 목표치인 74.55(%)보다 5.47(%)초과 달성하는 성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오염물질 배출원을 상시 감출하는 TMS(Telemonitoring Systems)시스템을 운영하여 환경오염 사고를 발생을 최소화하였습니다.”

- 설비안전환경 담당 관련 실무자 C 인터뷰 中 -

3.2.3.2 사회

3.2.3.2.1 사회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협력사 1차 평가 대상 확대)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운영하기 위해 기업 경영에서 High Impact & High Risk의 영향이 될 수 있는 핵심 협력사를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수한 협력사를 선발하여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등 협력사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ESG평가와 리스크를 중점으로 두고 있습니다.”

- HR 관련 실무자 A 인터뷰 中 -

3.2.3.2.2 사회. DE&I(Diversity, Equity & Inclusion, 이하 DE&I)(인권영향평가 실시, 공급망 다양성 도입)

여성가족부로부터 ‘가족친화기업인증’을 2015년 처음 획득한 이후 2023년까지 8년째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조직문화를 지속적으로 개선/개발하고자 SCI(Samsung Culture Index)라는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관리하고 있다.

“2022년에는 2020년 대비 SCI(Samsung Culture Index)는 3.1p나 상승한 결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기업 내부적 조직문화 개선에는 신입사원이 경영진의 멘토가 되는 Reverse Mentoring과 대표이사가 사전에 준비하는 내용이 아닌 즉석에서 바로 질의 응답하는 Real talk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회사에서는 기업 외부적으로는 삼성그룹의 사회 공헌 활동인 ‘함께 가요 미래로! Enabling People’에 더불어 ‘Bio Volunteer Program’를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천을 하기 위해서 회사는 ‘장애인 인식 개선’, ‘성희롱 예방’, ‘직장 내 괴롭힘 방지’, ‘상호 존중 문화’등과 같은 노동 인권 관련 교육을 온/오프라인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임직원의 대다수가 이수하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HR 관련 실무자 B 인터뷰 中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장학지원 및 멘토링 프로그램인 Bio Dream Plus, 바이오산업에 대한 교육/실습기회를 제공하는 Bio Academy for Yourth, 지역사회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Bio Happnymore, 소외계층 환우들을 위한 의료비 지원 시스템인 Bio healthcare과 같은 사회적 공헌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기업의 2022년의 기부금 총액은 25.2억원에 달할 만큼 사회분야에 큰 관심을 갖고 사회적 문제 해결해 힘쓰고 있다[24].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인권헌장’을 제정, 2022년 창립기념일에는 ‘상호존중 문화식’을 선포하였으며 세계인권선언과 같은 국제협약을 존중하고 있다.

3.2.3.2.3 바이오 인력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의 ‘K-바이오 랩 허브’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먼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02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 현지 생산 교육을 지원하는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되어 중·저소득 국가의 백신 자급화를 위해 백신과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교육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24, 25].

“우리 회사는 COVID-19 팬데믹을 통해 절실히 체감한 바이오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21년 06월 인하대학교와 계약학과 신설에 관한 산·학협약식을 체결하였으며, 인천 재능대학교와 채용 연계형 산학 인턴십을 통해 4년간 총 28명의 합격자를 배출하는 등 바이오 인재 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 HR 관련 실무자 C 인터뷰 中

3.2.3.3 지배구조

3.2.3.3.1 거버넌스 투명성제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 체제를 바탕으로 투명성, 효율성, 안전성이 확보된 지배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사회 내 사외이사를 반수 이상으로 구성(이사회 구성원 7명 중 사외이사 4명)하여 경영진과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사회 내 위원회인 감사위원회와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자발적으로 설립하고 구성원을 모두 사외이사로 선임하여 지배구조에서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다[24].

“당사는 2022년 전사 모든 단위 업무 3,084개를 대상으로 부패 리스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리스크 25건을 식별하는 등의 컴플라이언스 실사를 완료, ISO 37001 부패경영방지시스템(Anti-Bribery Management Systems)인증을 취득함으로써 부패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부패 리스크 발생 방지를 위한 사전예방 활동으로 매년 전 직원을 대상으로 ‘영업비밀 보호’, ‘직장 내 괴롭힘 방지’, ‘성희롱 예방’, ‘부정 예방’, ‘주식 불공정거래 예방’ 교육을 통해 컴플라이언스 문화 형성 및 임직원의 준법 의식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 ESG 관련 실무자 인터뷰 C 中 -

3.2.3.3.2 비즈니스 리스크 관리 강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8년부터 국제 인증기관 BSI(British Standard Institution)로부터 매년 ISO22301(사업 연속성 관리 시스템)인증을 받고 있다. BCMS(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사업 연속성 관리 시스템)사무국을 운영하고 있으며 ERM(Enterprise Risk Management, 전사리스크관리) 체계에 따라 운영 리스크 뿐 만 아니라 사업, 재무, 지속가능경영 및 기타 리스크까지 전사 모든 영역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다[24]. 이러한 내용은 <그림3>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추진전략 이행현황으로 요약될 수 있다.

DGTSA8_2023_v19n4_179_f0003.png 이미지

<그림 3> ESG 추진전략 이행현황[24]

“우리 회사는 체계적인 리스크 식별, 관리, 경감 등의 활동을 KPI로 수립하였으며 이를 경영진, 실무진의 MBO에 반영시켜 비즈니스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 ESG 관련 실무담당자 D 인터뷰 中 -

3.3. 성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한국ESG기준원(KCGS)의 ESG 평가에서 통합 A+ 등급을 획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환경영역과 사회영역에서 A등급, 지배구조에서 A+등급을 획득하여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지난 2022년 통합 A등급에서 한 단계 상승하였다. 평가 대상 1,049개 상장사 중에서 A+ 등급을 획득한 기업은 19개로 상위 1.8%에 해당되며, 국내 바이오제약 섹터 내 통합 A+등급은 최고 등급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유일하다[26].

이러한 결과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경영전략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CEO 존림은 “제품의 개발부터 생산, 유통까지 비즈니스 전 과정에서 ESG를 우선순위에 두고 실천해 나갈 것"이라며 "바이오제약 업계뿐 아니라 국내 산업계에서 ESG 선도 기업으로 자리 매김하겠다"고[26] 밝혀 ESG 경영전략을 지속할 뜻을 천명하였다.

Ⅳ. 결론 및 제언

4.1 결론 및 시사점

ESG는 현재를 살아가는 경영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화두이다. 이러한 ESG를 경영에 잘 반영하고, 이를 체계화한 ESG경영전략의 수립 및 실천은 지속가능한 기업을 만들고, 영속적인 기업을 꿈꾸는 경영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27]. 그래서 많은 기업들이 ESG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기업경영에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최대의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경영전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순히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발간된 기존의 리포트를 요약하는 것이 아닌, 삼성바이오로직스 ESG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상 ESG적용 연구들은 많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카테고리별로 대강의 사례를 수집하여 열거하는 연구가 많지만, 본 논문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례를 깊게 살펴보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ESG경영전략을 고도화 하였다. 그 결과 총자산 16.6조원, 국내 제약기업 최초로 매출3조원을 달성하였다. 또한 국내기업 최초로 테라 카르타 실을 수상하였고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편입 등 다양한 ESG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경영전략을 보면, 첫번째 환경(E)의 경우 지속가능한 지구를 목표로 탄소중립 달성과 자원사용 효율화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탄소중립 달성추진을 위해 2022년 RE100 가입을 완료하였고 2023년 SBT, TNFD를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 및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3년 기준 온실가스 감축과제를 12건 이행하고 있으며 온실가스를 23년 8.9(%), 30년까지 32(%)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경우도 23년도 11.7(%)를 전환하였고, 30년까지 30(%) 전환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사용에 효율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용수재활용, 폐기물 재활용, 친환경 제품생산 및 구매 등을 통해 자원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인천송도에 슈퍼 플랜드 4공장이 신규로 오픈했는데 이 공장의 경우 건설단계부터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고 친환경 냉매를 적용한 친환경 바이오의약품 공장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환경정책에 대해 CEO인 존 림은 CEO레터를 통해 삼성바이로직스의 환경전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범지구적으로 심각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50년탄소 중립 목표에 따라 2030년까지 직접 배출량 32%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생산기지로서 기존 시설을 보수하고 친환경 공장을 증설하는 등 친환경 사업장 구축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또한 공급사 및 파트너사와 연대를 강화해 가치사슬 전 측면에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당사는 공동협력체 구성을 통해 2030년까지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의 36%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24]. 이렇듯 삼성바이로로직스의 환경전략은 Step bt Step을 통해 그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두 번째는 사회(S)를 살펴보면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와 DE&I, 즉 다양성관리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22년도에 핵심 협력사에 대해 ESG진단을 실시했으며 23년도에는 전체 1차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성 측면에서는 인권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22년 인권경영체제를 수립 완료하였고, 23년에는 인권영향평가를 통해 잠재적인 리스크를 제거하거하기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평가 대상을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재직하는 임직원 뿐 만 아니라 자회사, 협력사에도 확대 적용하였다. 이 뿐만이 아니라, 일상적인 CSR활동은 꾸준히 진행하는 듯 사회(S)측면에서도 중점추진과제와 일상 과제를 구분하여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 지배구조(G)에서는 거버넌스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사업의 리스크를 관리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한 중점과제는 이사회/감사위원회의 감독 기능강화, 준법경영체계강화, ERM구축 및 운영으로 대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ESG를 단순히 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영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일로 인식하고 ESG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다양한 자료 및 인터뷰등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ESG에 대한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ESG를 보다 쉽게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길로 이끌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삼성바이오로직스처럼 업(業)의 본질과 그리고 갖고 있는 자원과 역량을 토대로 ESG 경영전략을 훌륭하게 펼칠 때 경영성과는 물론 존경받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결과 지속가능하면서도 영속적인 기업으로 우리 사회에 존속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이면서도 체계적인 ESG경영전략을 위해서는 먼저 ESG경영전략을 설계하고, 빨리 ESG전략을 실행하고, 자주 ESG경영전략을 점검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되기를 희망한다.

4.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대상으로 한 ESG경영 전략 연구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의 차별점도 존재하지만, 연구의 제약과 한계점이 분명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ESG경영전략은 기업의 규모나 기업이 속한 사업영역, 그리고 CEO의 인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다른 사업영역이나 동일 사업에서 다른 ESG전략을 사용하는 기업과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많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담당자들과의 이메일과 미팅으로 이루어졌지만, ESG경영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주요 관계자들과의 미팅이 보다 많이 필요하다. 또한 삼성바이로직스 내부 관계자 뿐 만 아니라 외부관계자의 입장에서도 본 연구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이니 만큼 해외 ESG전략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향후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ESG경영전략의 성공요인을 찾아내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ESG경영에서 훌륭한 연구가 될 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References

  1. 이재영, "탄소감축 목표 높이지 않으면 2100년 지구온도 2.8도 상승," 매일경제, https://stock.mk.co.kr/news/view/70349, 2023.03.20.
  2. 김광기, "[ESG공시 의무화] 핵심은 '사업보고서'와 통합...회계업계가 박수치는 이유," ESG경제, 2023.07.06.,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8
  3. 김성건,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ESG경영 -LX하우시스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2023, pp.121-133. https://doi.org/10.17662/KSDIM.2023.19.2.121
  4. Stefan Ambec., Paul Lanoie., "Does It Pay to Be Green? A Systematic Overview,"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Vol.22, No.4, 2008, pp.45-62. https://doi.org/10.5465/amp.2008.35590353
  5. Henri Servaes., Ane Tamayo., "The Impact of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irm Value," The Role of Customer Awareness, Vol.59, No.5, 2013, pp.1045-1061. https://doi.org/10.1287/mnsc.1120.1630
  6. Paul Gompers., Joy Ishii., Andrew Metrick., "Coporate Governance and Equity Price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118, No.1, 2003, pp.107-156. https://doi.org/10.1162/00335530360535162
  7. Gunnar Friede., Timo Busch., "ESG and financial performance:aggregated evidence from more than 2000 empirical studies," Journal of Sustainable Finance & Inverstment, Vol.5, No.4, 2015, pp.210-233. https://doi.org/10.1080/20430795.2015.1118917
  8. 김정훈.최준규.홍기빈.이다겸.박서연, "사회 혁신 분야의 사회적 가치 중심 정책 전환을 위한 연구,"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2022, pp. 1-158.
  9. Robert G.Eccles., Ioannis Ioannou., George Serafeim., "The Impact of Coporate Sustainability on Organizational Processes and Performance," Management Science, Vol.60, No.11, 2014, pp.2381-2617. https://doi.org/10.1287/mnsc.2014.1984
  10. 김재명, ESG 혁명이 온다1, 2021, 한스미디어
  11. 김선엽, "ESG 지속가능 경영활동과 기업의 지속가능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12. 이정기.이재혁,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현황 및 발전방향: ESG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전략경영연구, 제23권, 제2호, 2020, pp.65-92. https://doi.org/10.17786/JSM.2020.23.2.004
  13. Archie B. Carroll.,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porat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 No.4, 1979, pp.497-505. https://doi.org/10.5465/amr.1979.4498296
  14. John Elkington., The Triple Bottom Line,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21st Century Business, 1997.
  15. William C.Frederock.,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eep Roots, Flourishing Growth, Promising Future," The Oxford Handbook of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p.522-531.
  16. Archie B. Carroll., "A History of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cepts and Practices," The Oxford Handbook of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p.19-46.
  17. Bert S. Prunty, Jr., "Love and the Business Coporation," Virginia Law Review, Vol.46, No.3, 1960, pp.467-476. https://doi.org/10.2307/1070518
  18. Duygu Turker., "Meauring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Scale Development Study,"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85, 2009, pp.411-427. https://doi.org/10.1007/s10551-008-9780-6
  19. R. Edward Freeman, "Strategic management : a stakeholder approach," Pitman, Boston, 1984.
  20. Arthur ELkins., "Toward A Positive Theory of Coporate Social Involv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 No.1, 1997, pp.128-133. https://doi.org/10.5465/amr.1977.4409184
  21. Min-Dong Paul Lee., "A review of the theori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ts evolutionary path and the road ahead,"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1, 2008, pp.53-73. https://doi.org/10.1111/j.1468-2370.2007.00226.x
  22. Michael E. Porter., Mark R. Kramer.,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Vol.89, No.1, 2011, pp.4-7.
  23. 천혜정., 김시월., 이동일., 이지현.,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기업의 역할 변화와 소비자 참여," 소비자학연구, 제25권, 제3호, pp.1-19.
  24. 삼성바이오로직스 2023 ESG Report, 2023.
  25. 이형우, "인하대.삼성바이오, 바이오인재 양성 산학협력 협약," 인천투데이,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328, 2021.0617
  26. 송연주, 삼성바이오로직스, ESG 통합A+등급 획득...1단계 상승, NEWSIS, 2023.10.30.
  27. 정병호.주형근, "ESG 경영을 위한 지능형 기술을 수용하는 조직개발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2023, pp.77-89. https://doi.org/10.17662/KSDIM.2023.19.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