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보여지는 노령화 사회의 단면: 대화 방식과 사용 언어의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Reflection of Aging Society in Online Communities: An Exploratory Study on Changes in Conversation Style and Language Usage

  • 이정 (한국외국어대학교 GBT학부) ;
  • 한진영 (중앙대학교 교양대학) ;
  • 함주연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Jung Lee (Division of GB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 Jinyoung Han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Juyeon Ham (College of Business,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23.07.22
  • 심사 : 2023.11.28
  • 발행 : 2023.12.31

초록

1990년대 말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용기간이 사반세기를 넘어가면서, 사용자층의 평균 연령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자 연령이 높아지면서 말투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탐색한다. 이를 위해 신규회원의 가입이 9년 전 중지되었으나 기존 회원만으로 2023년 현재까지 여전히 활발하게 운영 중인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총 11년간의 게시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연령층이 높아짐에 따른 평균 댓글수의 증가, 의문문의 감소, 명령지시어의 감소 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서 노화로 인한 외로움의 증가, 호기심과 자신감의 하락 등을 제시하였다.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는 이전까지는 각 개인들이 감내하던 외로움과 고독감이 1인 가구의 증가라는 사회적 현상과 더불어 고독사와 은둔형 외톨이의 증가라는 사회적 문제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한민국 사회 변화의 한 단면을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의 게시물 분석을 통해 보여주면서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이러한 문제들이 논의되어야 할지 생각해본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and the increasing use of online communities for over 20 years, the age range of users has also been rising. This study explores the linguistic changes that have occurred as the user age in online communities has increased. To do this,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an online community that has been actively operating, despite new member registrations being closed nine years ago. By comparing the posts over an 11-year period from 2012 to 2022,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average comments, a decrease in interrogative sentences, and a decrease in imperative statements were observed. The study also proposed loneliness due to aging and a decline in curiosity and confidence as potential causes of these changes. In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entering an aging society unprecedentedly fast on a global scale,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s evolved loneliness from a personal issue to a social problem, manifested in an increase in solitary deaths and reclusive individual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one aspect of these social phenomena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from a large online community.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23학년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 (Grant No: 72271027).

참고문헌

  1. 곽창렬. (2023, April 6), 극한의 가성비 추구 '체리 슈머'가 늘어난다.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2/12/15/WPGGYEW3SREXDP2BOSOOKPJUME/
  2. 금희조. (2011).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5), 7-48.
  3. 김만권. (2021, May 10), 외로움이 민주주의를 위협한다. 한겨레신문.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94471.html
  4. 김미희. (2010). 부정 의문문의 확인 용법에 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5. 김봉섭, 박시현. (2014). 페이스북 이용자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2(1), 117-143.
  6. 김상훈, 박계영, 박현정. (2007). 정보탐색과 구매 단계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선택의 영향요인. 유통 연구, 12(3), 69-90.
  7. 김원진. (2022, Aug 23), 지난해 '1인 가구' 비율 처음으로 40% 넘어서. 경향신문.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8231228001
  8. 노가빈, 이소민, 김제희. (2021). 청년 은둔형 외톨이의 경험과 발생원인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3(2), 57-81.
  9. 박병언, & 임규건. (2015). 일반영향요인과 댓글 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 (Youtube) 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21(3), 19-36. https://doi.org/10.13088/JIIS.2015.21.3.19
  10. 반기웅. (2023, Feb 22) 혼인 역대 '최저'에 합계 출산율은 0.7명대...바닥이 안보인다. 경향신문. https://m.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302221551011
  11. 배정환, 손지은, & 송민. (2013).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 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19(3), 141-156. https://doi.org/10.13088/JIIS.2013.19.3.141
  12. 보건복지부, (2022),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 발표,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4084
  13. 서유미. (2023, March 7). 전국 '은둔형 외톨이' 24만명 추산"..정부 첫 실태조사.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307500184
  14. 안준희, 임경춘, 이윤정, 김경식. (2011).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7), 406-417. https://doi.org/10.5392/JKCA.2011.11.7.406
  15. 엄사랑, 신혜리, 김영선. (2021). 중.고령자의 온라인 사회관계 서비스 활용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3).
  16. 유용상, 정민화, 이승민, & 송민. (2023). KOMUChat: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지능정보연구, 29(2), 219-240. https://doi.org/10.13088/JIIS.2023.29.2.219
  17. 유용식, 손호중. (2012).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235-244.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35
  18. 의문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3,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215
  19. 이경탁, 노미진, 권미옥, 이희욱. (2013). SNS 사용자의 외로움,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 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3(2), 19-39.
  20. 이국용. (2010). 가상커뮤니티에서의 구성원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경영과학 회지, 35(1), 19-45.
  21. 이금룡, 홍성태, 이윤경. (2004).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년층의 인터넷 사용 행태: 미래 노인계층의 인터넷 활성화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4, 215-237.
  22. 이도형, 손은정. (2013). 사회적 기술, 사회적 지지 및 외로움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5), 3105-3123. https://doi.org/10.15703/kjc.14.5.201310.3105
  23. 이상림. (2012).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전망과 정책적 함의. 한국인구학, 35(2), 1-28.
  24. 이은지. (2022, Oct 13), MZ세대 남녀 '동상이몽' 심화...멀어지는 결혼.출산,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831770
  25. 이지연. (2012). 노령이용자의 정보 및 소셜 컴퓨팅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1), 375-393.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75
  26. 인스파일러, (2023, May) [주민등록인구 월 종합] 연령대별 인구 비율, https://insfiler.com/detail/rt_pop_kr_month-0002#:~:text=2023%EB%85%84%2005%EC%9B%94%EC%97%90,%EC%9D%98%20%EB%B9%84%EC%9C%A8%EB%8F%84%20%EC%B0%B8%EA%B3%A0%ED%95%B4%20%EB%B3%B4%EC%84%B8%EC%9A%94
  27. 장인봉. (2016). 신문 사설 제목의 대화주의적 분석. 수사학, 25, 195-219.
  28. 장휘숙, 김나연. (2011). 노년기 고독과 성격변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4(2), 1-19.
  29. 전상남, 신학진. (2011).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1(4), 925-938.
  30. 정성우, 표내숙. (2009). 체조선수들이 인식하는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2), 99-111.
  31. 최장원. (2021). 코로나 시대 노인의 정보활용 능력이 사회활동 참여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2), 2353-2368. 
  32. Barreto, M., Victor, C., Hammond, C., Eccles, A., Richins, M. T., & Qualter, P. (2021). Loneliness around the world: Age, g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in loneli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9, 110066.
  33. Chu, L., Tsai, J. L., & Fung, H. H. (2021). Association between age and intellectual curiosity: the mediating roles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importance of curiosity. European Journal of Ageing, 18(1), 45-53.
  34. Fang, J., Chen, L., Wang, X., & George, B. (2018). Not all posts are treated equal: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post replying behavior in an online travel community. Information & Management, 55(7), 890-900.
  35. Fees, B. S., Martin, P., & Poon, L. W. (1999). A model of loneliness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4(4), P231-P239. https://doi.org/10.1093/geronb/54B.4.P231
  36. Hanton, S., & Connaughton, D. (2002). Perceived control of anxiety and its relationship to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3(1), 87-97. https://doi.org/10.1080/02701367.2002.10608995
  37. Hawkley, L. C., Buecker, S., Kaiser, T., & Luhmann, M. (2022). Loneliness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Explaining age differences in loneli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46(1), 39-49. https://doi.org/10.1177/0165025420971048
  38. Hunsaker, A., & Hargittai, E. (2018). A review of Internet use among older adults. New media & society, 20(10), 3937-3954. https://doi.org/10.1177/1461444818787348
  39. Lelkes, O. (2013). Happier and less isolated: Internet use in old age. Journal of Poverty and Social Justice, 21(1), 33-46. https://doi.org/10.1332/175982713X664047
  40. Luhmann, M., & Hawkley, L. C. (2016). Age differences in loneliness from late adolescence to oldest old age. Developmental psychology, 52(6), 943.
  41. Mueller-Coyne, J., Voss, C., & Turner, K. (2022). The impact of loneliness on the six dimensions of online disinhibi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Reports, 5, 100169.
  42. Mun, I. B., & Lee, S. (2022).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parental loneliness on adolescents' online game addiction: The mediating roles of adolescents' social skill deficits and lonelin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36, 107375.
  43. Nimrod, G. (2020). Changes in internet use when coping with stress: older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8(10), 1020-1024. https://doi.org/10.1016/j.jagp.2020.07.010
  44. Ryu, S.I., Cho, B., Chang, S.J., Ko, H., Yi, Y.M., Noh, E.Y., Cho, H.R. and Park, Y.H. (2021). Factors related to self-confidence to live alon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geriatrics, 21, 1-12. https://doi.org/10.1186/s12877-021-02214-w
  45. Sakaki, M., Yagi, A., & Murayama, K. (2018). Curiosity in old age: A possible key to achieving adaptive aging.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88, 106-116. https://doi.org/10.1016/j.neubiorev.2018.03.007
  46. Schmitt, F. F., & Lahroodi, R. (2008). The epistemic value of curiosity. Educational theory, 58(2), 125-148. https://doi.org/10.1111/j.1741-5446.2008.00281.x
  47. Stahl, J. E., Belisle, S. S., & Zhao, W. (2020). Medical Qigong for mobility and balance self-confidence in older adults. Frontiers in medicine, 7, 422.
  48. Swirsky, L. T., Shulman, A., & Spaniol, J. (2021). The interaction of curiosity and reward on long-term memory in younger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36(5), 584.
  49. Victor, C. R., & Yang, K. (2012). The prevalence of loneliness among adults: a case study of the United Kingdom. The Journal of psychology, 146(1-2), 85-104. https://doi.org/10.1080/00223980.2011.613875
  50. Zulkosky, K. D. (2012). Simulation use in the classroom: Impact on knowledge acquisition,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8(1), e25-e33. https://doi.org/10.1016/j.ecns.2010.06.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