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YouTube Video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Korean Dance Videos

유튜브(YouTube) 영상 콘텐츠 분석: 국내 무용 영상을 중심으로

  • Suejung Cha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 Jihae Suh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채수정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학과) ;
  • 서지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23.10.17
  • Accepted : 2023.10.27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phones and advancements in internet technology have notably shifted content consumption habits toward video. This research aims to dissect the nature of videos posted on YouTube, the global video-sharing platfor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roduced and preferred content. For this study, dance was chosen as a specific subject from a variety of video categories. Data on YouTube videos associated with the term "dance" was compiled over three years, from 2019 to 2021. The investigation revealed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ypes of dance videos frequently uploaded to YouTube and those that receive a high number of view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s a viewer preference for vlogs that provide insights into the daily lives of dance students, as well as for purpose-driven videos, such as those highlighting dance exam preparations or school dance events. Notably, the vlogs that attract the most attention are typically created by dance students at the college or secondary school level, rather than by professionals. Although the study was focused on dance, its methodologies can be applied to different subjects. These insigh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recommendation system that aids content creators in effectively targeting their productions.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사람들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을 크게 바꾸었다. 최근 우리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콘텐츠는 단연 동영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 콘텐츠 분석을 통해 글로벌 동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에 어떤 영상들이 제작되고 소비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상 주제 중 무용을 주제로 선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총 3년간 유튜브에 업로드된 영상 중 무용이라는 키워드와 관련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분석 결과 현재 유튜브에 많이 업로드되는 무용 영상의 종류와 높은 조회수를 보이는 무용 영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에 따르면 사람들이 주로 관심을 갖는 무용 영상은 브이로그처럼 무용 전공자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거나, 입시 따라하기나 초중고교 무용발표회처럼 영상 시청의 목적성이 분명한 경우였다. 특히 높은 조회수를 보이는 브이로그는 현직 전문 무용수보다는 무용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나 중고등학생이 제작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이라는 주제를 예시로 삼았지만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은 다른 주제에도 사용가능하며 이를 통해 콘텐츠 생산자 입장의 추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경, 양선욱, 권지윤, 양성병. (2022). 유튜브 데이터를 활용한 20 대 대선 여론분석. 지능정보연구, 28(3), 161-183. https://doi.org/10.13088/JIIS.2022.28.3.161
  2. 권유진, 최민석, 조윤호. (2022). 부가 정보를 활용한 비전 트랜스포머 기반의 추천시스템. 지능정보연구, 28(3), 119-137. https://doi.org/10.13088/JIIS.2022.28.3.119
  3. 김광현. (2021). 1인 미디어 무용 콘텐츠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박사학위논문.
  4. 김연화, 윤수미. (2019). 1 인 미디어 (YouTube) 무용 콘텐츠를 활용한 관객 유치 및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구독자 심층 인터뷰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37(2), 73-96. https://doi.org/10.15726/JKD.2019.37.2.004
  5. 박병언, 임규건. (2015). 일반영향요인과 댓글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 (Youtube) 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21(3), 19-36. https://doi.org/10.13088/JIIS.2015.21.3.19
  6. 박서영. (2011).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용공연의 매체미학적 특성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2, 19-41.
  7. 변현진 (2018). 유튜브 콘텐츠의 제작.이용 환경특성과 인기 채널 분석 및 함의점 고찰. 조형미디어학, 21(4), 227-239.
  8. 설진아. (2021). 인기 유튜브 채널의 장르 유형과 채널 인기 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19(1), 49-86.
  9. 성윤아 (2020). 한일 인기 유튜브 콘텐츠의 특징: 운영 주체와 콘텐츠 분야별 데이터 비교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2), 167-174. https://doi.org/10.15207/JKCS.2020.11.2.167
  10. 정새봄. 원도연. 장영진. (2016). 무용영상콘텐츠의 정보서비스 이용에 대한 상호작용성 인식과 이용지속의도에 관한 연구-유튜브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5(3), 349-363.
  11. 정승환, 정민주, 최믿음. (2022). 유튜브 K-pop 콘텐츠의 재목적화 유형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9(3), 97-136.
  12. 주은신, & 정유미. (2022). 키워드 분석과 토픽 모델링 방법을 활용한 지역 신문 유튜브 콘텐츠 특징 연구: < TV 매일신문>< 국제신문><부산일보><영남일보> 채널사례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6(1), 114-148.
  13. 최사라, 이상용. (2022). 유튜브 먹방과 온라인 배달 주문: 영향력 분석과 예측 모형. 지능정보연구, 28(4), 119-133. https://doi.org/10.13088/JIIS.2022.28.4.119
  14. 홍미성, 김가은. (2020). '라이브 스트리밍 (live streaming)' 무용공연의 서비스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20(3), 25-36.  https://doi.org/10.26743/KAOD.2020.20.3.003
  15. G. Chatzopoulou, C. Sheng and M. Faloutsos. (2010). A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Popularity in YouTube. Proceedings of the 2010 INFOCOM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Workshops, 1-6. doi: 10.1109/INFCOMW.2010.5466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