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과학관 전시표본의 정보는 아날로그 전시형태로 관람자에게 디오라마 배경으로 채집자, 지역, 채집날짜, 표본 소장처등 자연사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4차혁명 컨텐츠에 부합하는 디지털형태의 디오라마 전시와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관람자에게 표본의 흥미와 재미를 부여하는 디지털 전시 디오라마 형태가 필요하다. 연구 방법으로 기존 표본상자의 정보를 탈피하고 병풍형태의 배경에 일월오봉도 생태계 환경을 구성하여 시지각 배열의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한다. 해, 달의 상징성을 빛의효과등으로 연출하여 몰입도를 극대화하였고, 파도출렁임, 두루미, 사슴, 모시나비, 잉어등을 삽입 및 데페이즈망 기법을 적용하여 프로젝션 맵핑형태의 디지털 자연사 디오라마를 연출하였다. 전시효과의 퍼포먼스 극대화와 자연사 나비 표본을 결합한 정보전달의 동적인 역할을 활용하였다. 초단초점 렌즈를 활용하여 병풍스크린을 제작 및 일월오봉도 모션그래픽을 자연사콘텐츠로 재해석하여 생동감있는 프로젝션맵핑을 제작하였다. 기존 일월오봉도의 왕권의 상징인 의미를 자연사 콘텐츠와 결합하여 자연사의 사실적 정보와 QR코드 콘텐츠를 제작하여 국민들을 위한 자연사 미디어아트 전시를 디지털형태의 디오라마를 제작하였다. 데페이즈망 기법의 배경효과와 자연사 콘텐츠의 역동적인 모션으로 접목하여 프로젝션 맵핑기술로 제작하였다. 디지털 디오라마의 퍼포먼스 전시를 환경, 오브제형태, 낮과 밤을 조절하여 전통적인 표본 전시기법을 표본전시의 디오라마 프로젝션 맵핑 퍼포먼스로 제작하여 관람자에게 몰입도를 극대화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일월오봉도 개념
전통 궁중회화 중 화려한 채색으로 그려진 장식화는 궁중 내부를 치장하는 장식적 기능 외에도 국가와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기능을 지닌다. 일월오봉도는 조선 왕실 회화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주제의 그림으로서 왕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하는 동시에 왕조가 영구히 지속되리라는 뜻을 나타낸다. 화면의 구성은 해와 달 그리고 다섯 봉우리의 산, 적송과 물결로 되어있다.[1]
2. 자연사 미디어아트 사례
그림 1. 제주도 아르떼뮤지엄, WHALE
Fig. 1. JEJU Arte Museum WHALE
제주도 아르떼뮤지엄에서 연출하는 프로젝션맵핑의 아나몰픽기법의 고래영상 작품이다.[2] 어두운공간의 벽을 활용한 다이나믹한 파도와 역동적인 고래는 춤을 추듯 화려한 동작을 보여주면서 관객을 압도하고 초현실적인 느낌을 전달한다.[3]
그림 2. 제주도 아르떼뮤지엄, Jungle
Fig. 2. JEJU Arte Museum Jungle
제주도 아르떼리움에서 연출하는 정글 프로젝션맵핑 작품이다. 숲사이로 큰동물이 지나가면서 자연의 느낌을 전달하면서 감성적인 작품이다. 반짝이는 생명체와 빛을 밝히는 정글이 신비의 경험을 전달한다.
그림 3.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실감영상관
Fig. 3. National Museum of Korea. Immersive Digital Gallery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실감영상관에서 왕의행차 백성과 함께하다 미디어아트를 연출한 영상이다. 꽃과 자연 춤을추는 사람이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착시기법을 연상한다.[4]
III. 연구 내용
표 1. QR 자연사정보
Table 1. QR Natural history
QR코드를 통해 자연사 정보를 볼수 있고, 두루미, 모시나비,사슴,잉어등 각 카테고리별로 생김새, 서식지, 특징, 의미를 보여준다. 이미지, 멀티미디어 영상등을 통해 자연사 정보의 자세한 관람이 가능하다.[5]
표 2. 자연사 정보 이미지
Table 2. Natural information image
각 생물정보에 나타나는 이미지이다.[6]
그림 4. 레졸룸 프로그램
Fig. 4. Resolume program
레졸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병풍스크린에 일월오봉도 영상을 맵핑진행하였다. 각 4폭면의 모서리와 엣지부분을 스캔하여 각면적을 배열하였다. 단초점렌즈를 스크린 앞에 배치하여 해상도와 사운드시스템을 극대화하여 관람객에게 일월오봉도 자연사미디어아트와 자연사 정보를 전달하였다. 스크린 좌우측에 작가소개와 오른쪽에 QR마크를 제작하여 판넬에 삽입 및 배치하여 작품의 몰입도를 높혔다.[7]
표 3. 일월오봉도 미디어아트 전시영상
Table 3. Media art exhibition video
제작한 일월오봉도의 진행순이다. 낮과 밤이 존재하며 해와 달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표 4. 일월오봉도 작품특징
Table 4. characteristics of a work
일월오봉도 영상콘텐츠를 제작하여 생동감있는 배경 디오라마를 제작하였다. 두루미, 모시나비, 사슴등을 살아있는 자연사콘텐츠를 연출하여 역동적인 영상을 구현하였고, 낮과 밤이 존재하는 컨셉으로 고요한 일월오봉도의 밤의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연출하였다 달과 해의 이펙트 효과를 연결하여 왕의상징인 에너지를 이펙트효과로 연출하였다.[8]
표 5. 일월오봉도 Digital Foloding Screen
Table 5. Digital Folding Screen
낮과 밤의 분위기를 미디어아트로 연출하여 QR마크를 제작하였다. 국민들을 위한 자연사 서비스컨텐츠로 QR마크 정보를 통해 자연사정보와 일월오봉도 작품정보를 결합하여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제작하였다.[9]
그림 5. 레졸룸 프로그램
Fig. 5. Resolume program
QR마크 정보를 인식하여 일월오봉도 모바일페이지 레이아웃을 구성하였다. Main페이지에 작품주제와 전시 기간 작가소개를 배열하였고 작품정보, 오브제정보, 오시는길을 1depth를 구성하여 정보를 설계하였다. 오브제정보의 2depth는 일월오봉도 미디어아트 작품에 출현하는 자연사 콘텐츠정보를 교육적콘텐츠로 구성하였다. 두루미, 모시나비, 사슴, 잉어등을 통해 관람객은 일월오봉도 작품과, 자연사 미디어아트 정보를 결합하여 작품의 서브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고자 하였다.[10]
또한 아리랑TV 뉴스센터, 연합뉴스, MBN, YTN등 보도자료 17군데 이상 방송 및 매스컴에 일월오봉도 미디어아트작품이 보도자료 및 방송으로 소개되었다.[11]
그림 6. 3D 일월오봉도
Fig. 6. 3D Ilwolobongdo
일월오봉도 3D작업을 제작하여, 동물의 캐릭터는 3D 모델링과 유리질감을 부여하였고, 왕권의 상징인 해와 달은 C4D 모그라피 이펙트를 사용하여 파티클효과를 통해 상징성을 부여하였다. 전시디오라마 컨셉을 중심으로 일월오봉도 3D테마파크를 구성하였다.
표 6. 일월오봉도 사용기술
Table 6. Ilwolobongdo used technique
표 7. 일월오봉도 2D 디스플레이 사용기술
Table 7. Ilwolobongdo 2D Display technique
표 8. 일월오봉도 3D 프로젝션맵핑 사용기술
Table 8. Ilwolobongdo 3D Projection mapping technique
그림 7. 프로젝션 맵핑 레이어 기술
Fig. 7. 3D Projection mapping layer technique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활용하여 레이어 방식의 병풍 스크린을 디바이스로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프로젝션을 사용한 맵핑방식이다. 기존 한 개의 스크린과의 차별성을 바탕으로 제작이 되었다.
IV. 결론
왕권의 상징인 일월오봉도 병풍그림을 자연사정보를 활용하여 일월오봉도 자연사 미디어아트[12]로 구현하였다. 고사양 초단초점프로젝트와 4면의 흰색병풍스크린을 제작하여 프로젝션 맵핑기술[13]로 투영하였다. 자연사정보는 두루미, 모시나비, 사슴, 잉어등을 삽입하고, 파도의 물결등 잔잔한 애니메이션을 연결하여 관람객에게 일월오봉도를 재해석한 자연사미디어아트를 구현하였다 또한 자연사미디어아트 정보[14]를 QR마크로 인식하여 모바일페이지에서 작품정보와 작품소개, 자연사정보를 인식하여 관람객에게 자유롭게 작품정보를 관람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아날로그 박제표본전시를 디지털디오라마 전시로 구성하여 새로운 운영모델을 연구하였다. 3D 모델링, 모그라피 3D파티클, 3D애니메이션, 3D맵핑등을 제작하여 기존 2D일월오봉도와의 차별성을 바탕으로 3D 레이어방식의 프로젝션맵핑 기술을 접목하였다.
References
- DOI: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7233&c id=46660&categoryId=46660
- N. J. Kwon, J. H. Ah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onvergence Program using Anamorphic Optical Illusion Art"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ociety, Vol. 34, No. 2, pp. 224-237, 2015. DOI: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2.224
- DOI: https://artemuseum.com/
- DOI: https://www.youtube.com/watch?v=7JMztiLb_zI&t=45s
- DOI: https://www.science.go.kr/board?menuId=MENU00670&siteId=SITE00002
- DOI: https://www.naver.com
- Y. H. Lee. "A Study on Expression of Motion Graphic with Gestalt theory" Journal of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Vol. 11, No. 1, pp. 246. 2010. DOI: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ART99677555
- H. J. Lee, J. H. Choe. "An Implement On Environment Responsive Smart Phone Launcher UI Using AR Camera"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 20, No. 4, pp. 425, 2019. DOI: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700229
- . S. Luo, Y. K. Oh, "Analysis of Smart Package Design Elements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6, No. 1, pp. 164, 2020. DO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9772
- H. K. Cho, S. H. Kim, "A Study Contents Design for Enhancing Engagement and Engagement of Augmented R ality Application Us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4, No. 2, pp. 669, 2018. DO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56846
- J. I. Lee, "The Effect of Surrealistic Expression on User Experience in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ol. 17, No. 4, pp. 201, 2019. DOI: http://dx.doi.org/10.18852/bdak.2019.17.4.197
- E. Y. Park, "A Study on Motion Infographics at Public Institutions for Effective Provision of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3, No. 4, pp. 450, 2017. DO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8169
- H. J. Son,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Marine organism specimens -Focused on Marine organism gallery in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 9, No. 2 pp. 86, 2014. DOI: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250606
- Chan Ik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ew Media Art Using Virtual Real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1 pp. 97-102, 2020. DOI: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006354026503&SITE=CLICK
- Hyeonju Lee, Sunjin Yu, "Production Technique of Realistic Contents based on Interactive Media" The Journal of KIIT, Vol. 18, No. 12, pp. 121-129, 2020. DOI: https://doi.org/10.14801/jkiit.2020.18.12.121
- Sung Ju Jung, Tae Hee Lee,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ontent Applied to 3D Digital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2, No. 2 pp. 188-198, 2021. DOI: https://doi.org/10.5762/KAIS.2021.22.2.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