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sumer Eco-friendly Behavior Utiliz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 Focus Group Study

포토보이스(Photovoice) 기법을 활용한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에 대한 연구 : Focus Group Study

  • Lee, Il-ha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이일한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23.12.02
  • Accepted : 2023.12.20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the Photovoi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method, we aim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barriers, and eco-friendly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By employ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we sought to share the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on eco-friendly behaviors, explore the motivations and manifestations of these behaviors, and reflect on their significance. The ultimate goal was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fostering eco-friendly behaviors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visual narratives and refle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overarching theme of the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individually select and explore three specific sub-themes: 'My Concept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Barriers in My Life,' and 'My Eco-friendly Behaviors.' Participants engaged in the process of capturing photographs from their daily lives related to each theme,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perspectives through the selected images. Subsequently, they shared and discussed their insights, activel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others in th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participants assigned meaning to the photographs they selected by directly capturing aspects related to the environment, such as 'waste,' 'discomfort,' 'fine dust=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ifference.' Secondly, participants attributed meaning to the selected photographs related to environmental barriers, associating them with concepts like 'invisibility,' 'apathy,' 'social stigma,' 'inefficiency,' and 'compulsion.' Lastly, participants ascribed significance to photographs selected in the context of eco-friendly behaviors, with themes like 'recycling,' 'energy conservation,' 'reuse,' and 'reducing the use of disposable item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confirmation of the V-A-B (Values-Attitudes-Behavior) model was established. It was observed that consumers structure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s. The study also identified clear impediments in consumers' daily lives hindering the practice of eco-friendly behaviors. In light of this,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need for strategies to address the discomfort or inconvenience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er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or solutions are necessary to alleviate barriers and promote a more seamless integration of eco-friendly practices into consumers' daily routin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이 인지하는 환경, 환경장벽, 친환경 행동의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시각으로 바라본 친환경행동의 동인과 행동의 모습을 공유하고 그에 관한 의미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친환경행동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이라는 대 주제 하에 참여자들이 직접 선정하여 다루게 된 3가지 하위 주제는 '내가 생각하는 환경이란', '나에게 환경장벽이란', 그리고 '나의 친환경 행동이란' 등으로 주제별 참여자가 일상생활 중 직접 촬영하여 선별한 사진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을 청취하여 공유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환경에 대하여 '낭비', '불편함', '미세먼지=환경오염', '위선태도' 등으로 직접 촬영하여 선정한 사진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환경장벽에 대하여 '비가시성', '무관심', '사회적시선', '비효율성', '강제성' 등으로 선택된 사진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친환경행동에 대하여 '리사이클', '에너지절약', '재사용'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으로 선택된 사진을 의미화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V-A-B모델의 확인과 소비자는 개인이 가진 가치와 태도, 그리고 행동이 위계관계를 구성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친환경 행동을 실천하는데 방해 요인이 분명 존재하고 있으며, 친환경적 소비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불편함 혹은 비편리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연구의 시사점를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A8038172)

References

  1. 강문실, 김윤숙(2023). 소비가치와 친환경 구매행동간 환경관심도의 조절효과. 글로벌경영학회지, 20(5), 25-50.
  2. 강현경, 조혜경(2021). 소비가치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2), 562-57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562
  3. 고주희, 나종연(2021). 로컬푸드 소비자의 구매동기와 유형화 연구. 소비자학연구, 32(6), 73-99.
  4. 김경미, 계선자(2010). 대학생의 환경친화적 소비의식과 자원절약행동에 관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4(4), 173-191.
  5. 김경오, 이규일 (2013). 은퇴한 여자운동선수들의 사회적 장벽과 대안 모색: 포토보이스.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6(3), 25-52. https://doi.org/10.22173/JKSSS.2013.26.3.25
  6. 김민성, 이새미, 구동우(2015). 호텔식음료부서 종사원의 직무동기가 환경에 대한 관심에 의한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1(1), 7-20. https://doi.org/10.22509/KFSA.2015.11.1.001
  7. 김수옥(2012). 친환경 제품 구매자의 환경 가치, 신념 그 리고 개인적 규범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VBN이론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시아, 이성재, 정익중(2019). 범죄경험이 있는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71(4), 127-151. https://doi.org/10.20970/KASW.2019.71.4.005
  9. 김용숙(2014).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2(3), 371-382. https://doi.org/10.29049/RJCC.2014.22.3.371
  10. 김진희, 김영순, 김지영(2015). 질적연구여행. 경기도; 북코리아.
  11. 남상준, 김대성, 김두련, 이상복, 한세일(1999). 환경교육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2. 박은주(2004). 중등학생들의 친환경적 행동 변인 연구:광양, 순천지역 학생들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종철, 최현정(2019). 호텔기업 소비가치, 브랜드 이미지,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 및 구매의도간의 구조적관계, 호텔경영학연구, 28(7), 57-70. https://doi.org/10.24992/KJHT.2019.10.28.07.57.
  14. 박재환, 이일한(2018). 청년들의 사회적경제 인식 분석을 통한 청년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포토보이스 방법론 활용. 벤처창업연구, 13(4), 83-98. https://doi.org/10.16972/APJBVE.13.4.201808.83
  15. 박진채, 정순희 (2019).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 수준에 대한 기초 연구-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연구, 15(1), 81-103.
  16. 박진채, 정순희(2021).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소비문화연구, 24(3), 75-94. https://doi.org/10.31324/JRS.2021.03.29.1.75
  17. 배세하(2021). 친환경 제품 구매는 착한 마음으로 충분하지 않다: 이타적/이기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36, 71-97.
  18. 배순영, 송유진(2017). 소비자의 환경성 관심도가 환경성표시 인식 및 환경성 고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3(3), 25-43.
  19. 서여주, 임은정, 김현정(2015). 소비자의 라이프스 타일(VALS)이 친환경 소비태도-의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6(1), 29-51. https://doi.org/10.15723/JCPS.46.1.201504.29
  20. 서청희, 김경미(2017). 자살로 부모를 잃은 청소년의 애도 과정에 관한 연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청소년학연구, 24(9), 55-83.
  21. 손상희, 김경자, 나종연, 최신애(2010). 녹색소비역량의 구성체계와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3), 95-119.
  22. 신정우, 홍아름(2017). 친환경소비 장애 요인 분석. 글로벌경영학호지, 14, 135-149.
  23. 안수경(2016). 의복 처분행동의 결정요인과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40(5), 879-893.
  24. 안윤정, 오현주(2017). 대학생의 직업윤리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473-502.
  25. 이경미(2016).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건강관심도와 환경관심도가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형태의 조절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일한, 한주희(2009). 그린소비자의 자기관 및 환 경몰입과 환경교육. 직업교육연구, 28(4), 133- 156.
  27. 임윤서(2018). 대학생의 시선을 통해 본 청년 세대의 불안경험: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탐색적 연구. 민주주의와인권, 18(1), 105-152.
  28. 정주원, 조소연(2015). 청소년의 환경체험활동경험, 환경의식 그리고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관 계. 한국환경과학회지, 24(3), 329-337.
  29. 정주원, 조소연(2019). 고등학생의 환경관심과 주 관적 규범이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친환경 제품.서비스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환경교육, 32(4), 475-487. https://doi.org/10.17965/KJEE.2019.32.4.475
  30. 정주원, 조소연(2021). 코로나19 전후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환경보호비용 지불의사의 상호작용 효과. 환경교육, 34(2), 210-227. https://doi.org/10.17965/KJEE.2021.34.2.210
  31. 제일매거진(2021.06.28.). 지금은 친환경이 아닌 필환경 시대. https://magazine.cheil.com/49383
  32. 조소연.정주원(2022), 환경관심도, 이타적.이기적 동기, 환경교육경험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35(2), 111-124.
  33. 주우진, 임미자, 송미령 (2017). 전기차 구매의사 영향요인에 대한 문헌 리뷰 및 실증분석: 소비자 심리적 특성 변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8(6), 97-127.
  34. 최사라, 정은성, 이선화, 이태수(2022). 기후변화에 대한 관광객의 위험지각, 소비가치, 친환경 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관광연구학회, 36(8), 23-36.
  35. 하매.박진채.정순희 (2019). 친환경 소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및 친환경 소비행동의 사회적 일반화인식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연구, 15(3), 127-149.
  36. 허경옥(2009). 구매행동유형에 따른 에너지절약 태 도와 절약행동 분석. 가족자원경영과정책, 13(3), 17-30.
  37. 허종호, 안나, 임효창(2006). 녹색소비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지, 6(2), 145-165.
  38. Hardman, S., Eric, S., & Robert, S. W.(2016). Comparing High-End and Low-End Early Adopters of Battery Electric Vehicl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88(June), 40-57. https://doi.org/10.1016/j.tra.2016.03.010
  39. Hines, J. M., Hungerford, H. R., & Tomera, A. N.(1987). Analysis and Synthesis of Research on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 Meta- Analysi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8(2), 1-8.
  40. Homer, P. M., & Kahle, L. R.(1988). A Structural Equation test of the Value-Attitude-Behavior Hierarc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1), 638-646. https://doi.org/10.1037/0022-3514.54.4.638
  41. Goh, S. K., & Balaji, M. S.(2016). Linking Green Skepticism to Green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31, 629-638. https://doi.org/10.1016/j.jclepro.2016.04.122
  42. Kollmuss, A., & Agyeman, J.(2002). Mind the Gap: Why 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 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39-260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45401
  43. Padgett, D. K.(200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London: Sage.
  44. Ramos-Real, F., Ramírez Díaz, A., Marrero, G., & Perez, Y.(2018). Willingness to pay for electric vehicles in Island regions: The case of Tene-rife (Canary Island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98, 140-149. https://doi.org/10.1016/j.rser.2018.09.014
  45. Rettie, R., Burchell. K., & Riley, D.(2012). Normalizing green behaviours: A new approach to sustainability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8(3-4), 420-444. https://doi.org/10.1080/0267257X.2012.658840
  46. Sang, Y. N., & Bekhet, H. A.(2015). Modelling electric vehicle usage intentions: An empirical study in Malaysia. Journal of Cleaner Pro- duction, 92, 75-83. https://doi.org/10.1016/j.jclepro.2014.12.045
  47. Stern, P. C.(2000). New environmental theories: Toward a coherent theory of environmentally significant behavior. Journal of Social Issues 56, 407-424 https://doi.org/10.1111/0022-4537.00175
  48. Suki, N. M.(2016). Consumer Environmental Concern and Green Product Purchase in Malaysia: Structural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32, 204-214. https://doi.org/10.1016/j.jclepro.2015.09.087
  49. Tezer, Ali & Onur Bodur, H.(2020). The Greenconsumption Effect: How Using Green Products Improves Consumption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7(1), 25-39. https://doi.org/10.1093/jcr/ucz045
  50. Tripathi, A., & Singh, M. P. (2016), Determinants of sustainable/green consumption: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Management, 19(3), 316- 358. https://doi.org/10.1504/IJETM.2016.082258
  51. Zelezny, L. C., & Schultz, P. W. (2000). Promoting environmentalism. Journal of Social Issues, 56(3), 365-371. https://doi.org/10.1111/0022-4537.00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