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탈탄산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골재와 시멘트페이스트 분리의 최적 마쇄 조건 분석

Optimal Abrasion Conditions for Separating Aggregate and Cement paste for Using Waste Concrete Fine Powder as Decarbonization Raw Material

  • 투고 : 2023.11.16
  • 심사 : 2023.12.01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클링커 제조에 사용되는 탄산염 광물인 석회석(CaCO3)을 이산화탄소(CO2)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탈탄산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저감하고자 하는 연구로 다양한 산업부산물 중 폐콘크리트에 부착되어 있는 시멘트페이스트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폐콘크리트는 골재에 시멘트페이스트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일반적인 파·분쇄 방법으로는 효율적으로 분리하지 못하며 원골재 손상없이 시멘트페이스트만을 벗겨내기 위하여 박리·마쇄방법이 유효하다. 박리·마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박리·마쇄시간, 피분쇄물 종류, 피분쇄물양으로 선정하고 실험계획법을 통해 시멘트 크링커 원료로서 탈탄산된 CaO를 함유한 폐콘크리트 미분말 제조를 위한 최적 마쇄 실험 결과, 박리·마쇄시간 7분, 피분쇄물 종류 8mm, 피분쇄물양 0.6이 폐콘크리트 미분말 생산하는데 최적조건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생산성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할 때 피분쇄물의 크기가 크고 양을 많이 할 경우 박리·마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reduce CO2 generated during manufacturing by replacing limestone (CaCO3), a carbonate mineral used to produce cement clinker, with a decarbonated raw material to which CO2 is not bound. The raw material for decarbonization was cement paste attached to waste concrete, among various industrial by-products. Waste concrete has cement paste adhered to the aggregate, which cannot be separated efficiently by general crushing and grinding methods. Peeling and grinding methods effectively remove only the cement paste without damaging the original aggregate. The abrasion time, steel ball type, and steel ball ratio were selected as effective factors for Abrasion. An optimal abras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duce waste concrete fine powder containing decarbonated CaO as a cement clinker raw material through an experimental design method.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ing waste concrete fine powder were an abrasion time of 7 minutes, a steel ball size for pulverization of 8 mm, and a steel ball ratio for pulverization of 0.6.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2년도 산업통상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 관리원-시멘트원료(석회석)대체 순환자원 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로 관계 기관에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RS-2022-00155067).

참고문헌

  1. 기획재정부(2020),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발표 :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세종. 
  2. 김남조(2020), "한국판 뉴딜과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정책 논문집」, 81: 22~32. 
  3. 김상효.황준필(2013), "시멘트 생산과정에 따른 CaO 함량과 CO2의 발생량",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5(4): 365~370.  https://doi.org/10.4334/JKCI.2013.25.4.365
  4. 김진만.김하석.박선규(2008a), "저속습식 마쇄방법과 황산수를 이용한 고품질 순환잔골재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5): 109~116. 
  5. 김진만.김하석.박선규.김봉주.곽은구(2008b), "황산수를 사용한 저속 습식 마쇄법에 의한 순환잔골재의 최적 마쇄조건",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0(5): 557~563.  https://doi.org/10.4334/JKCI.2008.20.5.557
  6. 김진만.배성철(2021), "시멘트-콘크리트 그린뉴딜위원회",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33(3): 87~90.  https://doi.org/10.15358/0935-0381-2021-6-87
  7. 박성현(2016), 「현대 실험 계획법」, 서울: 민영사. 
  8. 박준서.안승일.박상효.조진경.여운호(2016), "건설폐기물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재활용의 실태분석 및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2): 97~104. 
  9. 이승헌.구자술(2019), "시멘트계 재료의 CO2 고정화에 의한 온실가스 저감",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8(4): 10~14. 
  10. 조윤구.김준형.현대양(2012), "자원순환형 건설재료인 제철 슬래그의 대량 활용 기술",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12(4): 6~11. 
  11. 최원영.이세현.김성환(2017), "파쇄 방법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 비교 연구",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 논문집」, 5(2): 121~129. 
  12. Yoda, K., M. Harada and F. Sakuramoto (2003), Field Application and Advantage of Concrete Recycled In-situ Recycling Systems, London: Thomas Telford Sreviceses Ltd, 437~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