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Inten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백성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성예종 (성공인생경영연구소) ;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투고 : 2023.07.28
  • 심사 : 2023.09.20
  • 발행 : 2023.09.30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민간 및 고용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의표집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총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167부이며 SPS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변수들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석 분석과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직무요구, 조직체계, 직장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직무자율성결여, 조직체계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직무요인과는 완전매개를 조직체계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직업상담사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job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for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in private and employment centers in Korea. This study applied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and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e maximum analysis was 167 copi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 analysi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of vocational counselors, job demands, organizational systems, and workplace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job demand, lack of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syst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s complete mediation with job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tress, with the organizational system.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job stress of vocational counselors is a factor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suggestions to reduce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due to stress of vocational counselor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범(2015).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노동인권인식을 통해 직무만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대학원.
  2. 강한철(2014). 컨택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대학원.
  3. 곽선화, 이은령(2011). 직장 가정 갈등과 업무 재량권, 직무 만족,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여성학연구, 21(3), 65-100. https://doi.org/10.22772/PNUJWS.21.3.201110.65
  4. 김규화(2019).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협성대학교대학원.
  5. 김미경(2020). 재가복지센터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 및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세한대학교 경영대학원.
  6. 김민규(2021). 직업상담사의 전문직업성과 임파워먼트, 슈퍼비전, 자기성찰 및 경력개발지원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7. 김유선(2018). 직업상담사의 이직의도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8. 김일범(2012).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9. 노경재(2003). 공공직업안정기관 직업상담원이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유형 및 대처행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0. 류인찬(2020). 상담자의 소명과 직무만족 관련변인의 구조모형 검증,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11. 문미숙(2020).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원장의 진정리더십 조절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대학원.
  12. 박경늠(2012). 청소년 상담지원센터 상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국제대학교대학원.
  13. 박용오(200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4. 박재희(2009). 호텔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소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8(2), 137-154.
  15. 박혜윤(2006). 관광 서비스 기업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4(1), 59-77.
  16. 백승영(2019).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0(4), 1325-1340
  17. 변은숙(2009).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18. 류해룡(2017). 양로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대학원.
  19. 서유정, 권기환(2021). 뷰티산업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신뢰, 이직의도와의 관계. 중소기업융합학회, 11(7), 223-231.
  20. 서은영, 김금미(2013). 직업상담자의 조직공정성지각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4(3), 1623-1645.
  21. 양대현(2019).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직무소진,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22. 오재동(2015). 지방 공무원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배태성과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대학원.
  23. 오재동, 최상한(2017), 지방공무원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1), 1-28. https://doi.org/10.21026/JLGS.2017.29.1.1
  24. 유숙자(1999).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 직무스트레스의 역할요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대학원.
  25. 유정흔(2013). 직장인 스트레스 분석:고용센터 근무 공무원 중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6. 이금라(2010). 지방의회의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회와 도쿄도의회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27. 이미영(2017). 감정노동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콜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9), 519-532. https://doi.org/10.14400/JDC.2017.15.9.519
  28. 이승로(2005). 경호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29. 이승준(2014). 노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한국자치행정학회지, 28(1), 305-326.
  30. 이지민(2016). 직업상담사의 소명의식과내재적 직무만족 간의 관계: 조직방해인식을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대학원.
  31. 이혜련, 김봉환(2004), 직업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6(4), 597-611.
  32. 임경연(2021). 소방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대학원.
  33. 임정주(2004). 직업상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34. 정국현(2011).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35. 정소연(2015).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대학원.
  36. 정현주, 이제경(2022), 고용서비스 분야 직업상담사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직업교육학회, 41(3) 57-85.
  37. 조한수(2021). 요양보호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칼빈대학교대학원.
  38. 조효재(2015). 학습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소진,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39. 최민석(2016). 직무소진과 작업 열의가 직무스트레스 관련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직무요구-자원모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대학원.
  40. 최미미 민현주 차희정(2020), 고용서비스 종사자의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33(3): 159-190.
  41. 천정훈(2020). 소방공무원 감정노동에 따른 이직의도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산업과학 대학원.
  42. 황태희(2019).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이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43. Iverson, R. D. (1993),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44.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a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297-1343.
  45. Martin, T. N.. & Hunt J. G(1980), Social Influence and Intent to Laeve: A Path-analytic Process Model, Personal Psychology, 33, 505-528.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0.tb00480.x
  46. McGrath, J. E. (1976). Stres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s.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d by Dunnette, M.D.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351-1395.
  47. Parker, D. F. & T. A. DeCotiis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60-177.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48. Porter, L. W., & Steers, R. M. (1973).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2), 151-176. https://doi.org/10.1037/h0034829
  49. Teet, R. P.. & Meyer, J. P(1993),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i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al Psychology, 46(2), 262.
  50. Spector, P. E., Dwyer, D. j., & Jex, S. M. (1987). Relations of job stressor to affective,health, and performance outcomes: A comparison of multiple data sour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3(1): 11.
  51. Hendrix, W. H., Ovall, N. K., and Trocle, R. g. (1985). Behavioral Psychology Consequences of Stress its Antecedent Facto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0(1), 188-201. https://doi.org/10.1037/0021-9010.70.1.188
  52. Wagner & Hollenbeck. (2005). Organizational Behavior: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5th ed., Mason. Ohio: South-Western: 13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