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cuation of the National Treasures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Activiti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전쟁기 문화재 부산 소개(疏開)와 국립박물관의 부산 활동 연구

  • Received : 2022.02.28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Securing a safe place to keep its collections in Busan, the interim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uld fulfill its mission to protect the national treasures. Right before Seoul was recaptured by the Communist forces, the museum managed to evacuate its collections to Busan in December of 1950. Until the armistice in 1953, a Korean government warehouse in Busan had to function as a temporary museum building. Protecting the national treasures in this small build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to maintain its role as a national museum and contribute in revitalizing cultural functions of Busan, the interim capital. The efforts led to hope for reconstructing the museum.

1950년 12월 국립박물관이 국립박물관과 덕수궁미술관의 중요 소장품을 부산으로 소개할 수 있었던 것은 김재원 관장의 기민한 조치로 미군의 차량과 철도 등 가용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국립박물관은 소장품 수호 임무를 수행하면서, 임시수도 부산에서 박물관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전쟁 중에 국립박물관이 진행한 학술강연회와 연구발표회는 전쟁 중인 한국의 임시수도에서 학술 연구와 대중 강연이 재개되었음을 알려준다. 국립박물관은 이러한 소식을 언론을 통해 홍보함으로써 전쟁 중에도 국립박물관이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음을 시민들에게 알렸다. 1953년 국립박물관이 개최한 <현대미술작가초대전>과 <이조회화전>은 국립박물관 기능을 정상화함으로써, "피란민의 도시" 부산에 "문화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사업들은 전쟁으로 위축되어 있던 국립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국내의 인식을 제고하고, 나아가 국립박물관을 재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미국 등 외국 외교사절과 공공재단 등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60년」, 2006.
  2. 국립중앙박물관.(사)한국박물관협회, 「한국 박물관 100년사」, 사회평론, 2009.
  3. 국립중앙박물관, 「6.25 전쟁과 국립박물관, 지키고 이어가다」, 2020.
  4. 김리나, 「한국전쟁 시기 문화재 피난사」, 「미술자료」 86, 2014.
  5. 김원용, 「나의 인생, 나의 학문」, 학고재, 1996.
  6. 김재원, 「여당수필집」, 탐구당, 1973.
  7. 김재원, 「나의 인생관- 동서를 넘나들며」, 휘문출판사, 1979.
  8. 김재원, 「경복궁야화」, 탐구당, 1991.
  9. 김재원, 「박물관과 한평생」, 탐구당, 1992.
  10. 김재원 외, 「박물관에 살다」, 동아일보사, 2009.
  11. 대한민국 국회, 「제20회 국회정기회의 속기록」, 1955.
  12. 문교부, 「문화재 미국 전시 보고서」, 1960.
  13. 부산광역시 중구, 「우리의 삶터 중구, 부산을 담다」, 부산 중구지 증보판 상권, 2018, pp.392~395.
  14. 부산광역시청 시민공원추진단 편,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부산광역시청 시민공원추진단, 2013.
  15. 여당김재원박사기념사업회 편, 「박물관의 초석을 놓다」, 디자인노리, 2017.
  16. 이경성, 「어느 미술관장의 회상」, 시공사, 1998.
  17. 이난영, 「박물관 창고지기」, 통천문화사, 2005.
  18. 이충렬, 「혜곡 최순우, 한국미의 순례자」, 김영사, 2012.
  19. 임시수도기념관, 「기억의 소환 광복동을 말하다」, 2018.
  20.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5: 1950년 6.25 전쟁의 발발과 국립박물관', 「박물관신문」 제571호, 2019. 3.
  21.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6: 9.28 수복과 국립박물관', 「박물관신문」 제572호, 2019. 4.
  22.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7: 9.28 수복 이후의 국립박물관과 부산 반출 작전', 「박물관신문」 제573호, 2019. 5.
  23.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8: 임시수도 부산과 국립박물관 임시 청사', 「박물관신문」 제574호, 2019. 6.
  24.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9: 문화재 미국 소개 계획', 「박물관신문」 제575호, 2019. 7.
  25.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20: 국립박물관의 광복동 시대', 「박물관신문」 제576호, 2019. 8.
  26. 장상훈, 「김재원 국립박물관 초대 관장 영문 편지 1·2」, 국립중앙박물관, 2019.
  27. 장상훈, '6.25 전쟁 시 국립박물관의 문화유산 수호', 「6.25전쟁과 문화유산 보존」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고궁박물관, 2020.
  28. 정무정, '1950년대 미국에 소개된 한국미술', 「한국근대미술사학」 14, 2005.
  29. 정무정, '한국전쟁과 국보해외소개(疏開/紹介) 그리고 록펠러재단', 「한국근현대미술사학」 40, 2020.
  30. 조은정, '한국전쟁과 지방화단-부산, 제주,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38, 2010.
  31. 차철욱, 「피란시절 부산의 문화」, 부산광역시 중구 편, 해암, 2006.
  32. 최순우, 「최순우전집」, 學古齋, 1992.
  33. 최열, '해방공간에서의 민족과 순수: 신사실파 탄생', 「유영국저널」 5, 유영국미술문화재단, 2008.
  34. 크네즈, 유진 I.(박경.김진명 역), 「한 이방인의 한국사랑」, 국립중앙박물관, 1997.
  35. Jang, Sang-hoon, A Representation of Nationhood in the Museum, London: Routledge, 2020.
  36. Jang, Sang-hoon, "Cultural Diplomacy,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Museum: South Korea's First Overseas Exhibition in the US, 1957 to 1959", Museum and Society 14(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