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Value and Sustainability of Archaeological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고유산 교육의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

  • KIM, Eunkyung (Dept. of Cultural Anthropology, Yeungnam University)
  • 김은경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Received : 2022.01.24
  • Accepted : 2022.05.13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With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chaeological heritage education has entered a new phase. This article responds to the trends in the post-COVID-19 era, seeking ways to develop archaeological heritage education and sustainable strategies necess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gram of archaeological heritage education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ust cultivate creative talent, solve problems, and improve self-efficacy. It should also draw attention to archaeological heritage maker education. Such maker education should be delivered based on constructivism and be designed by setting specific learning goal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ge-specific characteristics. Moreover, various ICT-based contents applying VR, AR, cloud, and drone imaging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and, above all, ontact digital education(real-time virtual learning) should seek ways to revitalize communities capabl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such ancient heritage content needs to add AI functions that consider learners' interests, learning abilities, and learning purposes while producing various convergent content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collage." Online archaeological heritage content education should be delivered following prior learning or with supplementary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motivation or field learning to access the real thing in the future. Ultimately, archaeological ontact education will be delivered using cutting-edge technologies that reflect the current trends. In conjunction with this,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for constructive learning that enables discovery and question-exploration.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 상황과 4차 산업혁명시대를 경험하게 되면서 고고유산 교육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비대면', '비접촉'이 일상이 된 현 상황과 각종 디지털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직접 경험하고, 조작적 체험이 주를 이루는 고고유산 교육은 여러모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글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트렌드에 부응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고고유산 교육의 발전 방안과 지속가능한 전략을 모색해 본 것이다. 고고유산 교육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역량은 물론 개인들의 정서적 만족감과 행복감을 고취시키는데 매우 적합한 교육 형태이다. 그중에서도 현 시대의 맥락을 반영한 창의적 인재양성 및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형태로 고고유산 메이커교육이 주목된다. 이러한 메이커교육은 구성주의를 기반한 교육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연령별 특징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학습목표 및 효과를 설정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고고유산 역시 VR, AR, 클라우드, 드론 영상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ICT 활용 콘텐츠들이 개발 및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온택트로 진행되는 고고유산 디지털 교육은 비대면이라는 상황 속에서도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온택트 교육은 교육이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하므로 문화적 문해를 성장시키기 위한 목적이 추가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고유산 콘텐츠 개발은 온택트 교육에 최적화된 학술성을 담지한 스토리자원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문화콜라주'의 입장에서 다양한 융합적 콘텐츠를 제작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능력, 학습 목적을 고려한 AI기능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고고유산 콘텐츠 교육은 추후 실물을 접할 수 있는 동기부여나 현장학습을 고려한 선행학습, 보완학습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결국 고고유산 온택트 교육은 현재의 트렌드에 부응하는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진행되겠지만, 그와 연동하여 발견의 학습, 질문-탐구형 학습 모두가 가능한 구성주의학습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주, 2012,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역사교육논집」 49, 역사교육학회, pp.268~269.
  2. 김동윤, 2017, 「문화재 발굴현장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영남문화재연구원 「어린이발굴학교」 운영사례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28, 한국문화유산협회.
  3. 김미영, 2015,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적 인간 고찰」, 「사회복지경영연구」 2,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pp.28, 38.
  4. 김은경, 2019,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돌돌탐험대'와 '고고학 체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35, 한국문화유산협회, pp.45~46.
  5. 김은경, 2021, 「지역 고고유산 체험 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전략」,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pp.108, 121, 229.
  6. 김은경, 2021, 「성주지역 고고유산 콘텐츠의 교육적 활용과 지역재생」, 「성주 성산동 고분군 조사100년과 새로운 시작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성주군.
  7. 김준식, 2020,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현상과 활성화 방안」, 「고문화」 9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122.
  8. 김진호, 2017, 「중등 교육에 고고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가?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학술대회」, 한국고고학회, p.107.
  9. 김태령, 한선관, 2021,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 SW기반 메이커교육의 효과성 비교: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흥미도의 관점에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 한국정보교육학회, p.571.
  10.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연구 결과보고서」.
  11. 문화재청, 2020, 「2020년 지역문화유산교육 운영 지침」.
  12. 문화재청,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유산 미래 정책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13. 신주하,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문화유산 활용 콘텐츠 사례 연구 - 서울특별시 노원구, 충청남도 보령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8~89, p.96.
  14. 安亨基, 2017, 「考古學과 ICT 融合活用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97.
  15. 이기정, 2020, 「교구재를 활용한 언택트 교육프로그램 사례」, 「박물관교육연구」 23, 한국박물관교육학회, pp.40~42.
  16. 이수경.김선영.이헌종. 2017, 「한국 전통문화요소 기와를 활용한 컬포츠 교육 방안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6,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p.78.
  17. 이숙영, 2020,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생애주기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2. 한국체육교육학회, p.11.
  18. 이지연.성은모.이지은.임규연.한승연, 2020,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 한국교육공학회, pp.677~678.
  19. 이지혜.김정화, 2018,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분석 및 방향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 한국콘텐츠학회, p.44.
  20. 이재민, 2019, 「마을 공동체 만들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1. 이창식, 2020, 「4차 산업혁명시대 인문학의 전망」, 「지역문화연구」 19,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pp.34~38.
  22. 이치헌, 2014, 「문화유산콘텐츠의 기획 방법론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4,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pp.223~226.
  23. 이헌종.류호철, 2017, 「고고문화유산의 컬포츠 활용과 그 의미」, 「지방사와 지방문화」 20, 역사문화학회.
  24. 이현아, 2019, 「참여적 박물관을 지향하는 국내 박물관 메이커 교육 현황 조사 및 발전 방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
  25. 이현민,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박물관에서의 메이커 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12, 한국문화교육학회.
  26. 이현정, 2021,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가치창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
  27. 임보아.김은경, 2018,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초등교육연구」 22,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pp.51, 66.
  28. 정순이.김민정,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7,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p.187.
  29. 조우택.최성락. 2014, 「고고학의 대중화에 관한 試論 - 대중 인식과 소통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報」 90, p.196.
  30. 조해진, 2019, 「지역문화유산의 콘텐츠제작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릉대도호부관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 한국디자인문화학회, p.499.
  31. 채경진,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문화재 행정 추진방안」, 「문화예술지식정보시스템-문화재돋보기」 9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4.
  32. 최희수, 2016,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역사적 상상력의 제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84, 한국고대사학회, p.210.
  33. 탁지현,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교육 향유 쟁점」, 「韓國舞踊敎育學會誌」 31, 한국무용교육학회, p.58.
  34.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유산 미래 정책 방안 연구」, 문화재청.
  35. 허의행.안형기, 2012, 「매장문화재정보 관리와 활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획 및 제작 연구」, 「야외고고학」 15, 한국문화유산협회.
  36. 허의행, 2016, 「유구실측의 3D도면화 적용과 활용방안 연구」, 「야외고고학」 27, 한국문화유산협회.
  37. 허의행, 2018, 「시뮬레이션(Simulation) 기법을 이용한 주거지 내부 출토 토기의 파손 양상 연구」, 「야외고고학」 33, 한국문화유산협회.
  38. ETRI 경제사회연구실, 2021, 「코로나 이후 글로벌 트렌드 - 완전한 디지털 사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화융합연구소 기술정책연구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