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bjectives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for establish of the U.V.E.C.(Understand, Value, Enjoy, Create) Cultural Property Education

U.V.E.C.(Understand, Value, Enjoy, Create) 문화재교육 정립을 위한 문화재교육 목표 연구

  • PARK Sanghye (Institute for History Textbooks Research, Dongguk University)
  • 박상혜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 Received : 2022.06.29
  • Accepted : 2022.11.03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o date, cultural property education has seen rapid quantitative growth due to national and personal needs. However, qualitative growth is lacking. The objectives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have not been established, and therefore, even its identity is not clear. The most pressing issue at present in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s to first se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current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dentify the problems, and set new objectives to meet significant national and personal needs in terms of education. The problems with the objectives of current cultural property education are that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education do not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objectives clearly and that the objectives do not contain much actual content of the education. Also, the objectives of the education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dynamic competencies and interests of the learners and do not satisfy the changes of the times. To solve these problems, new cultural property education, called 'U.V.E.C.,' was offerred. U.V.E.C. education is aimed at understanding cultural properties, recognizing their value, and enjoying them, and at creating culture. The objectives of U.V.E.C. cultural property education were set such that they can be modified flexibly in a learner-centric way with clear and practical format and contents. Based on this direction, stepwise objectives were set including overall objectives, detailed objectives, and practice objectives, and objective cases of each step were proposed. Considering the generality of the education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roperties, the U.V.E.C. education objectives took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behavioral objectives, clearness in statements, the objectives of problem solving, the initiative of learners and openness for expression outcomes. The U.V.E.C. objectives are clear and specific so that teachers can enhance their pedagogical efficiency and learners are able to develop interesting and diversified competenc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U.V.E.C. objectives will significantly affect objective setting for education on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widely. Further systemic and specific studies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U.V.E.C. education would help to change the overall education on cultural properties and position the field as a new academic area.

그동안 문화재교육은 국가의 요구와 개인의 필요로 인해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문화재교육의 질적 성장은 그에 뒤따르지 못했다. 문화재교육은 목표조차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못하였고, 그 결과 문화재교육은 그 정체성마저 흔들렸다. 지금의 문화재교육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먼저 문화재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행 문화재교육의 목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낸 후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면서 국가의 요구와 개인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문화재교육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현행 문화재교육 목표의 문제점은 문화재교육 관련자들이 교육목표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화재교육 목표가 교육의 실제 내용을 제대로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또 문화재교육의 목표가 학습자의 다양한 역량과 흥미를 고려하고 있지 못하며, 시대 변화와도 맞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U.V.E.C. 문화재교육'이란 새로운 문화재교육을 제시하였다. U.V.E.C. 문화재교육은 문화재를 이해(Understand)하고, 문화재의 가치를 인식(Value)하고, 문화재를 향유(Enjoy)하고, 문화를 창조(Create)하는 교육이다. U.V.E.C. 문화재교육의 목표는 명확하고 실천적인 형식과 내용으로, 학습자 중심으로, 변용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런 방향을 바탕으로 총괄목표, 세부목표, 실천목표라는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문화재교육 목표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였다. U.V.E.C. 문화재교육 목표는 교육으로서의 일반성과 문화재를 내용으로 하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행동목표의 영역 다양성과 진술 명확성, 문제해결목표와 표현결과의 학습자 주도성과 개방성을 모두 포함하였다. U.V.E.C. 문화재교육 목표는 교수자에게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주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게 하고, 학습자에게는 흥미로우면서도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U.V.E.C. 문화재교육 목표는 이제까지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는 문화재교육의 목표 설정에도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 이후에 U.V.E.C. 문화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문화재교육 전반이 변화될 것이며 문화재교육은 새로운 학문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주, 2020, 「역사교육과 문화재교육, '민족'을 위한 연합에서 '민족의 탈각' 역사와 문화재의 구분으로」, 「역사교육연구」 37(173), pp.202~203.
  2. 김은정, 2018, 「아이즈너 이론의 주요 개념에 나타난 질적, 예술적 특성」, 「교육논총」 55(2), pp.1~21.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4. 교육부, 2018,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별책 7](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일부개정), p.97.
  5. 김용구, 2018, 「문화유산교육의 전개과정과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부상」, 「문화재」 55(2). pp.154~169.
  6. 노경민, 2021, 「국제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6(5), pp.1~28. https://doi.org/10.15815/KJCAES.2021.16.5.1
  7. 노철연, 2012, 「교육과정의 예술적 측면: 아이즈너의 교육과정이론 일 고찰」, 「교육과정연구」 30(4), pp.33~34.
  8. 「문화재보호법」, 제1조.
  9. 「문화재보호법」, 제1조2항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10. 「문화재보호법」, 제2조2항.
  11. 문화재청, 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 북」.
  12. 문화재청.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7, 「청소년과 함께하는 세계유산」 한국어판.
  13. 문화재청.현대리서치연구소, 2018, 「2018년 문화유산 향유 및 인식 실태조사 보고서」, p.14.
  14. 문화재청, 2020,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사전컨설팅 운영 보고서」, p.16.
  15. 문화재청.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21, 「문화재교육 실태조사」, pp.205~208.
  16. 문화재청, 2021,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문화재 행정」, p.90.
  17.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 전문인력 양성 활성화 방안 연구」.
  18.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 강사를 위한 교수법 가이드」.
  19. 문화재청, 2021년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시범운영 최종 결과 발표 | 공지사항 상세 -문화재청(cha.go.kr)(접속일: 2021.12.07)
  20.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21. 성태제 외 12인, 2021,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p.365.
  22. 안대현.홍후조, 2021, 「문화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문화재」 54(3). pp.150~167. https://doi.org/10.22755/KJCHS.2021.54.3.150
  23. 유네스코, 1972,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24. 장호수, 2014, 「새로 고쳐 쓴 문화재학 이론과 방법」, 백산자료원, pp.12~14.
  25. 채미영.김경철, 2016, 「Eisner의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분석」, 「유아교육연구」 36(4).
  26. 한건수.감다원, 2021,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의 현황과 방향 제언」, 「문화재」 54(4), pp.134~153.
  27. 한국문화재재단, 2016, 「2016년 문화유산 공교육 활성화 방안」, p.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