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Weathering Aspects of Sculpture Stone Around the World Cultural Heritage Joseon Dynasty Royal Tombs - Focused on the East Nine Royal Tombs -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석조문화재의 재질특성 및 풍화양상 연구 - 구리 동구릉을 중심으로 -

  • CHO Haj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AE Seunga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ONG Jinuk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
  • LEE Myeong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Taejo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조하진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 채승아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 송진욱 (궁능유적본부 궁능서비스기획과 ) ;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Received : 2022.09.23
  • Accepted : 2022.11.07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e East Nine Royal Tombs is a representative place in the Royal Tombs of Joseon (a World Heritage Site). It consists of 1,289 stone artifacts including 979 related stone structures, 310 stone statues, and objects. Most of the stone structures in the East Nine Royal Tombs are composed of biotite granite, but some tombs are composed of light red granite. As a result of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the average data from Geonwolleung to Mongneung, excluding Hyeolleung, were similar, so it is estimated that stones were obtained from the same quarry. In the case of Sungneung, Sureung, and Gyeongneung, the range of susceptibility measurement is widely distributed. It assumed that the newly produced stones were mixed in the moving and construction process. Also, stones might be gathered from different quarries. As a result of a conservation status investigation, both the mound member and the ridge stone had the highest damage rate due to peeling and granular decomposition according to surface weathering. In the case of surface discoloration, yellowing and soils were found in the burial mound members. Yellowing, blackening, and soil were identified in the ridge stone structures. Bio-degradation is the major factor of deterioration of the East Nine Royal Tombs and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tombs were detected as grades 4 to 5. It seems that it is easy for the environment of the royal tombs to form soil for the microorganisms and fine conditions for continuous moisture. In the case of structures, they are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damage rating for each tomb, the overall condition is good, but the Geonwolleung Royal Tomb and Hyeolleung Tomb, which were created in the early period, had relatively high weathering ratings. Stone objects in East Nine Royal Tombs have lost many pieces and gateway members due to surface deterioration. Also, secondary damage is ongoing. Each damage factor of the stone artifacts of the East Nine Royal Tombs combines to cause various and continuous dama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gular conservation status data of the stone artifacts for efficient management after processing as well as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royal tombs, and specific management manuals and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ervation status of stone structures in the East Nine Royal Tombs, a World Heritage Site,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them to provide priority and necessity for conservation processing. We look forward to establishing a pla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ast Nine Royal Tombs with this database in the future.

동구릉은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의 대표적인 곳으로, 봉분과 관계된 석조물 979점과 능과 봉분 주위에 석물, 석인상, 석수 등 310점으로 총 1,289점(일부 능의 지대석 제외)이 배치되어 있다. 동구릉 내 석조물은 대부분 흑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일부 능에서는 담홍색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암대자율 측정결과 천장한 현릉(왕후)을 제외한 건원릉부터 목릉까지 범위 및 평균값이 유사하여, 동일한 채석지에서 산출된 돌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숭릉, 수릉, 경릉의 경우 대자율 범위가 넓게 분포하는데, 조성 당시 석조물과 능을 옮기는 과정에서 새롭게 제작된 석조물이 섞이거나, 채석산지가 다른 석재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보존상태 조사결과 봉분부재와 능상 석조물 모두 표면풍화 중 박리박락과 입상분해에 의한 손상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표면변색의 경우 봉분부재는 황색과 토사, 능상 석조물은 황색, 흑색, 토사 등 복합적인 변색이 확인된다. 생물영향은 동구릉 내 손상양상 중 주된 요인으로 상대적으로 4~5등급 점유율이 높게 확인되었다. 이는 왕릉의 환경이 생물이 정착할 수 있는 토양형성이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수분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이 갖춰져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구조상태의 경우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각 능별 종합훼손등급을 산출한 결과 전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이른 시기에 조성된 건원릉과 현릉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풍화등급을 보였다. 동구릉 내 석조물은 표면풍화로 인해 부재 조각이나 문양 등 상당부분이 손실되었으며 2차 손상이 진행 중이다. 또한 각각의 손상요인이 단독적으로 발생하기보다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손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왕릉 석조물의 보존처리뿐만 아니라 처리 이후에도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석조물의 정기적 보존현황관리와 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구체적인 관리 매뉴얼과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 이번 연구는 세계문화유산 동구릉 내 석조물의 보존현황을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보존처리의 우선순위 및 필요성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향후 동구릉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조선왕릉 종합학술보고서IV」.
  2. 김은선, 2014, 「조선 왕릉 石獸 연구」, 「미술사학연구」 283/284 통합권, pp.55~82.
  3. 김이순, 2009, 「세종대왕 '구 영릉(舊 英陵)'석물 연구」, 「한국학」 32, pp.150~190.
  4. 김이순, 2018, 「조선왕릉 石人의 척도 규범 연구」, 「미술사학연구」 298, pp.99~125. https://doi.org/10.31065/AHAK.298.298.201806.004
  5. 김진명.최태월.이용선, 2020, 「조선시대 왕릉 석인상(문인석, 무인석)의 크기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5, pp.27~32. https://doi.org/10.21186/IPR.2020.5.2.027
  6.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5, 「조선왕릉 석조문화재 보존상태 조사보고서I」, pp.6~10.
  7. 이창환, 2014, 「세계문화유산 신의정원 조선왕릉」, 한숲.
  8. 장경희, 2007, 「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 연구-王陵 丁字閣과 石儀物의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25, pp.119~202.
  9. 전나나, 2011, 「朝鮮王陵 石人像 硏究」, 「동양미술사학」 12, pp.65~102.
  10.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1~2005, 「석조문화재 보존 관리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11. 한성희.안희균, 1990, 「석조문화재의 생물학적 손상요인과 보존정책」, 「문화재」 23, pp.155~163.
  12. Brown E.T., 1981,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 ISRM Suggested Methods」, 「Pergamon Press」.
  13. ICOMOS, 2014, 「ILLUSTRATED GLOSSARY ON STONE DETERIORATION PATTERNS」, pp.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