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aeometric Significant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Comb-Pattern Pottery from the Daejuk-ri Shell Midden, Seosan, Korea

서산 대죽리 패총 출토 빗살무늬토기의 제작특성과 고고과학적 의미

  • AN Deogim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안덕임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2.06.23
  • Accepted : 2022.11.01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e Neolithic shell midden in Daejuk-ri, Seosan, is distributed on the gentle slope of a low hill close to the west coast. The bedrock of the area consists mainly of schist with various mafic minerals, but shows a partial gneiss pattern. The site consists of loamy topsoil and clay loam subsoil, and the degree of siallization is relatively low. Although the pottery excavated from the shell midden shares mostly similar features, a variety of shapes and patterns coexist. The surface colors, thickness and physical properties are slightly different. The pottery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types (IA, IB and II)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body clay, the temper and the existence of a black core. Types IA and IB are colorless mineral pottery with a non-black or black core respectively. TypeII is colored mineral pottery with a non-black core. Type I pottery also contains non-plastic colored minerals, but type II contains a large amount of biotite, chlorite, talc, amphibole, diopside and tremolite, which include a large amount of Mg and Fe. The studied pottery contains a small amount of organic matter. Considering the grain size and relatively poor sorting and roundness of the non-plastic particles, the pottery appears to be made by adding coarse non-plastic tempers for special purposes to the untreated weathered soil around the site. The three types of pottery seem to have been incompletely fired in general. While type IB has the lowest degree of oxidation, typeII shows the highest degree of redness and oxida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se differences depend on the firing temperature and the ratio of non-plastic particles. Through a synthesis of the minerals, geochemical data and thermal histor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ing temperature ranged from 600 to 700℃. The pottery types of the Daejuk-ri Shell Midden have slightly different production conditions, mineral composi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but have undergone similar production processes with basically the same clay materials. The clay is almost identical to the composition of the bedrock and weathered soil distributed in the Daejuk-ri area. Currently, there is an industrial complex in the area, so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soil and geological distribution of the site. Howev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area around the site was self-sufficient for the clay and temper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Neolithic pottery.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roup that left the shell midden in Daejuk-ri lived near the site, visited the site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shellfish, and discarded the broken pottery along with shells.

서산 대죽리 패총은 해안선과 접하는 낮은 구릉의 경사지에 분포하며, 기반암은 유색광물이 많은 편암이 주류를 이루나 부분적으로 편마암상을 보인다. 유적은 양토질 표토와 식양질 심토로 구성되며 점토화도는 낮다. 패총 출토 빗살무늬토기의 산출상태는 거의 유사하나 여러 형태와 문양이 공존하며 색과 두께 및 기초물성은 조금씩 다르다. 이들은 태토구성, 비짐의 종류와 함량 및 흑심의 유무에 따라 세 유형으로 세분된다. IA형과 IB형은 각각 무흑심 및 유흑심 무색광물형이며, II형은 유흑심 유색광물형 토기이다. 모든 토기는 비가소성 유색광물을 포함하나, II형은 Mg과 Fe의 함량이 높은 흑운모, 녹니석, 활석, 투각섬석, 투휘석 및 각섬석을 다량 함유한다. 모든 토기는 유기물을 포함하며 광물입자의 입도와 분급 및 원마도가 불량한 것으로 보아, 유적 일대의 풍화토를 수급하여 특별한 수비과정 없이 태토로 사용하고, 특수한 용도를 위해 약간의 정선을 거친 비가소성 비짐을 첨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불완전 소성을 경험하였고, IB형은 산화도가 낮았으며 II형은 적색도와 산화 정도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소성 온도와 비가소성 입자의 함량비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광물 및 지구화학적 분석과 열이력 등을 종합하여 소성 조건을 해석하면 600~700℃의 범위를 보였다. 대죽리 패총의 빗살무늬토기는 조금씩 다른 산출상태와 광물조성을 가지며 물리적 성질도 약간 다르나, 근본적으로 같은 태토를 바탕으로 유사한 제작과정을 거친 것이다. 이는 대죽리 일대에 분포하는 기반암 및 풍화토의 조성과 거의 동일하다. 현재 대죽리에는 산업단지가 들어서 유적의 태토와 지질분포를 확인하기 어려우나, 신석기시대 토기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는 주변에서 자급자족했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대죽리 패총을 남긴 집단은 유적 인근에 거주하며 패류 채집과 가공을 목적으로 유적을 방문하고, 패각과 함께 부서진 토기를 폐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봉, 1972, 「한국의 활석광산」, 국립지질조사소 지질광상조사연구보고, 14, pp.5~121.
  2. 김동학.황재하, 1982, 「대산이곡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p.1~27.
  3. 김란희.이찬희, 2012, 「고토양의 소성실험에 따른 재료과학적 특성변화와 토기의 제작환경 해석: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보존과학회지」 28(3), pp.193~204.
  4. 김란희.이선명.장소영.이찬희, 2009, 「기흥 농서리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p.255~271.
  5. 김란희.이찬희.신숙정, 2017, 「영종도 중산동 신석기시대 토기의 재료학적 분류와 물리적 특성」, 「문화재」 50(4), pp.122~147. https://doi.org/10.22755/KJCHS.2017.50.4.122
  6. 김수경.이찬희, 2015, 「활석비짐 무문토기의 고고과학적 특성: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보존과학회지」 31(2), pp.159~173.
  7. 김수경.장성윤.이찬희, 2020, 「고성 문암리 출토 신석기 토기의 재질특성과 소성조건」, 「자원환경지질」 53(2), pp.197~212. https://doi.org/10.9719/EEG.2020.53.2.197
  8. 김희찬, 1996, 「빗살무늬토기의 소성에 대한 실험적 분석」, 「고문화」 49, pp.9~34.
  9. 대산읍, 2012, 「대산읍지」, p.1,200.
  10. 동삼동패총전시관, 2004, 「신석기시대의 토기문화」, pp.1~29.
  11. 서산시편찬위원회, 1998, 「서산시지」 1, p.380.
  12. 소상영, 이승원, 이종안, 안성민, 박종부, 최광훈, 2007, 「신석기시대 토기 제작과정의 실험적 연구 -토기 소성흔을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3, pp.3~41.
  13. 손치무, 1971, 「동아의 선캠브리아계의 층서에 관하여」, 「광산지질」 4, pp.19~32.
  14. 신동복.이인성, 2000, 「풍전활석광상의 모암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기원암에 대한 증거」, 「지질학회지」 36, pp.235~248.
  15. 신숙정, 1984, 「상노대도 조갯더미 유적의 토기연구」, 「백산학보」 28, pp.211~272.
  16. 안덕임.임혜연, 2001, 「대죽리 유적」, 한서대학교박물관. p.167.
  17. 안재호, 2006,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윤근택.황진연.오지호.이효민, 2010, 「충남 보령지역의 폐석면 광산에서 산출하는 투각섬석 석면의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23, pp.73~84.
  19. 이찬희.김란희.신숙정, 2018, 「영종도 중산동 신석기시대 토기의 광물 및 화학조성과 제작특성 해석」, 「문화재」 51(1), pp.4~31. https://doi.org/10.22755/KJCHS.2018.51.1.4
  20.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2010,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문화재」 43(3), pp.4~25. https://doi.org/10.22755/KJCHS.2010.43.3.4
  21. 이찬희.조지현.김지영, 2016, 「조선시대 예산 목리유적 회격묘의 재질 및 제작특성과 석회의 산지 해석」, 「보존과학회지」 32(4), pp.471~490.
  22. 이찬희.진홍주.최지수.나건주, 2016, 「한반도 중서부 출토 일부 고대 세라믹 유물의 제작기술 해석: 예비 연구」, 「보존과학회지」 32(2), pp.273~291.
  23. 임학종.유혜선.장성윤, 2000, 「신석기시대 주칠토기의 과학적 분석」, 「고고학지」 11, pp.39~63.
  24. 장성윤.이찬희, 2010, 「백제 와전재료로서 정동리 고토양의 광물 및 지구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43(6), pp.543~553.
  25. 장성윤.이찬희, 2013, 「송산리 고분군 벽돌의 생산과 수급」, 「한국상고사학보」 82, pp.27~53.
  26. 장성윤.이찬희, 2014, 「고대 벽돌의 소성온도 해석을 위한 광물학적 연구: 송산리 고분군 벽돌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30(4), pp.395~407.
  27. 장태우.이상용, 1982, 「서산, 모항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p.1~30.
  28. 정혜민.신주도.김유미.박재봉.노열, 2014,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 자연발생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47(5), pp.467~477. https://doi.org/10.9719/EEG.2014.47.5.467
  29. 조대연, 2014, 「신석기시대 제주도 토기의 남해안지역 유통 양상에 대한 연구 -자연과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83, pp.31~51.
  30. 최몽룡.신숙정, 1998, 「토기분석법」, 「고고학연구방법론 -자연과학의 활용」, 서울대학교 출판부, pp.61~129.
  31. 최몽룡.신숙정, 1988,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토기의 과학분석에 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 pp.1~35.
  32. 농촌진흥청, 「흙토람」, http://soil.rad.go.kr.
  33. Chen, T., 2008, 'A Raman spectroscopic study of heat-treated nephrite', Phase Transitions, 81, pp.205~216. https://doi.org/10.1080/01411590701514367
  34. Iwamatsu, E., Ali, S.A., Biswas, M.E., Ahmed, S., Hamid, S.H., Sanada, Y. and Yoneda, T., 1998, 'Thiophene hydrodesulfurization over cobalt oxide loaded smectite clay minerals', Proceedings of the 216th ACS National Meeting, Division of Fuel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Boston, USA, 43, pp.543~546.
  35. Jo, Y.H. and Lee, C.H., 2018,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technique for the rammed earth wall of the 13th Korean fortress in Ganghw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77, pp.617~631. https://doi.org/10.1007/s12665-018-7792-9
  36. Lee, C.H., Kim, J. and Lee, M.S., 2010,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1), pp.31~44. https://doi.org/10.1111/j.1475-4754.2009.00460.x
  37.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p.1007~1032.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38.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pp.230~349.
  39. Santos, H.S. and Yada, K., 1988, 'Thermal transformation of talc as studied by electron optical methods', Clays and Clay Minerals, 36, pp.289~297. https://doi.org/10.1346/CCMN.1988.0360401
  40. Taylor, S.R. and Mc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Oxford: Blackwell.
  41. Valanciene, V., Siauciunas, R. and Baltusnikaite, J., 2010, 'The influence of mineralogical composition on the colour of clay body',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30, pp.1609~1617. https://doi.org/10.1016/j.jeurceramsoc.2010.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