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Human Bone Excavated in Sabi Period of Baekje from Eungpyeong-ri, Buyeo

부여 응평리 출토 백제 사비기 인골 보존처리 및 과학적 분석

  • KIM, Mijeong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Yunseop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 Eunm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Su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MOON, Minseong (Mastor Korea)
  • 김미정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 이윤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 조은민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박수진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문민성 ((주)마스터코리아)
  • Received : 2021.12.30
  • Accepted : 2022.02.08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The stone chamber tomb in Eungpyeong-ri, Buyeo, is a joint tomb that contains the bodies of two individual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ied pers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chamber tomb. Based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relics, and the excavated human bon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tomb was built during the Sabi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and that the buried individuals were most probably residents of high stature or government officials. To study the excavated bones, the remains were carefully collected and conservation was carried out. Before collecting samples from the human bones for the analytical research, the results of near-infrared analysis were used to collect the samples for the isotope analysis and DNA analysis. The most important issue when handling the excavation site was the reinforcing ag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agent used. In situations like this, Paraloid B-72 is the most suitable agent. When the shape of human bones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soil, conservation was performed using X-ray and CT imaging data. The same chemical used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site was used to complete a minimum level of conservation to the surface areas where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e reinforcement areas, and bonded areas were carried out. The collagen yield from the sample obtained at selected position was 3.8% to 6.1%.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able isotopes of carbon and nitrogen found in the extracted collagen showed that the stable isotope ratios came out to δ13C -18.3‰±0.1‰, -19.0‰±0.1‰ for EBW and δ15N 10.7‰±0.5‰, 10.6‰±0.1‰ for EBE. It is believed the two individuals consumed small amounts of minor cereals, mainly from C3 plants, and protein was obtained from eating terrestrial animals. What's more, the deviations in data obtained from the two individuals were so small that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individuals ate similar foods. Considering the preservation state of the sample, amplifying DNA for the DNA analysis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since the amount of surviving DNA was so deficient. For DNA analysi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could be derived by applying improved extraction method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this research, any association between scientific analysis(DNA and stable isotope ratio)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was difficult to establish.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utilization of near-infrared analysis for gathering samples from human bones.

부여 응평리 석실묘는 두 개체를 합장한 형태로 피장자 간의 상관관계 및 석실묘의 성격에 대해 조사하였다. 부여 응평리 석실묘는 지리적 입지·공반유물·출토인골을 통해 백제 사비기에 위계가 있는 도성민 혹은 지방관료로 추정할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골 특성에 적합한 수습 및 보존처리와 함께 과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현장에서 출토되는 인골 수습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과학적 분석용 시료를 제외한 잔존 뼈들에 대한 강화제의 종류와 농도이다. 부여 응평리 인골의 경우 paraloid B-72를 사용하였으며 현장에서 강화 처리 시 사용했던 약품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표면의 이물질 제거·강화·접합 등 최소한의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토양의 영향으로 인골의 외부 형태 식별이 어려운 경우 X-ray와 CT촬영 자료를 활용하였다. 안정동위원소와 DNA분석을 수행하기 앞서 근적외선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시료 채취 부위를 선정하였다. 인골의 콜라겐을 이용하는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의 경우 콜라겐의 수율이 3.8~6.1%로 나타났으며 안정동위원소비는 EBW, EBE 개체 각각 δ13C -18.3‰±0.1‰, -19.0‰±0.1‰이고, δ15N 10.7‰±0.5‰, 10.6‰±0.1‰로 확인되었다. 두 개체는 C3 식물을 위주로 약간의 잡곡류를 함께 섭취했고, 단백질은 육상 동물로부터 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두 개체의 데이터 편차가 근소하여 유사한 식이를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DNA 분석의 경우 증폭이 불가능하여 결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이는 시료의 보존상태 등을 연관 지어 보았을 때 DNA가 극미량으로 잔존하여 증폭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 응평리 유적 석실묘에서 출토된 인골의 경우 안정동위원소분석 및 DNA 분석과 근적외선 분석의 연관성은 도출하기 어려웠으며 뼈의 보존상태 평가를 위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NRICH-2105-AS6F)와 국립문화재연구소(NRICH-2105-A53F-1, NRICH-2105-A52F-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문화재청, 2015, 「문화재수리 입찰 및 계약제도 개선방안 마련 연구」.
  2. 강소영, 김윤지, 조은민, 김수훈, 2016,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아산 명암리 피장자의 식생활 복원」, 「문화재」제49권4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38~51.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4.38
  3. 강소영, 권은실, 문은정, 조은민, 서민석, 김윤지, 지상현, 2010, 「조선시대 인골에 대한 생화학적 분석의 유용성: 서천군 옥남리 회곽묘 출토 인골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제26권 1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95~107.
  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9, 「익산쌍릉- 대왕릉 출토 인골 종합학술연구보고서」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1, 「부여 응평리 석실묘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p.59; pp.93~96.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옛 사람 뼈를 만나다」, pp.7~12.
  7. 김규한, 2010, 「동위원소 지구과학」, 시그마프레스, pp.188~189.
  8. 김수훈, 조은민, 김윤지, 최현구, 강소영, 2018, 「분자유전학적 접근을 통한 조선시대 사람뼈의 분석-부산 화명동 조선시대 분묘군 출토 사람뼈를 대상으로-」, 「보존과학회지」 제27권 1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1~10.
  9. 김윤지, 김수훈, 권은실, 조은민, 강소영, 2014, 「부여 큰독골 유적 출토 인골 조직 및 외부 토양의 세균 군집의 비교연구」, 「문화재지」제47권4호, pp.92~105.
  10. 朴淳發, 2017, 「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 「百濟硏究」第66輯,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p.33.
  11. 박지훈, 2015, 「지형분석과 GIS분석을 이용한 충남'공주 송산리 고분군'입지 연구」, 「백제문화」제52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p.337.
  12. 배기동, 2014, 「한국 옛 사람뼈 자료에 대한 생물고고학적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제27권1호, pp.1~10.
  13. 山本孝文, 2005, 「百濟 泗沘都城의 官僚와 居住空間」, 「古代 都市와 王權」,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07~113.
  14. 山本孝文, 2006, 「百濟 泗沘期 石室墳의 階層性과 政治制度」, 「韓國考古學報」47輯, 韓國考古學會, p.129.
  15. 서현주, 2020, 「백제 사비기 호서지역 고분과 매장의례」, 「先史와 古代」第64號, 韓國古代學會, pp.164~165.
  16. 서현주, 이솔언, 2021, 「백제 사비도성 일대 고분의 분포양상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제114호, 한국상고사학회, p.238.
  17. 신경진, 유지은, 정욱희, 박명진, 이환영, 강승철, 이호, 조상호, 김종열, 2004, 「미량의 분해된 DNA 시료의 간편 정량과 DNA 프로필 분석」, 「대한법의학회지」제28호, p.48.
  18. 신지영, 강다영, 2012, 「발굴현장에서 고인골 분석 연구실까지」, 「제5부 안정동위원소로 그리는 과거 식생활」, 국립문화재연구소.
  19. 신지영, 강다영, 김상현, 정의도, 2013,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식생활 양상」, 「분석과학」제26권6호, pp.387~394. https://doi.org/10.5806/AST.2013.26.6.387
  20. 신지영, 이준정, 2014, 「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호남고고학보」제48호, pp.127~153.
  21. 신지영, 최현구, 2019, 「쌍릉 피장자의 식생활」, 「익산 쌍릉 대왕릉 출토 인골 종합학술연구보고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pp.73~77.
  22. 이규식, 정용재, 한성희, 이명희, 한면수, 최동호, 1999, 「출토 인골의 유전자 분석-나주 복암리 3호분 옹관 인골을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제20집, pp.5~20.
  23. 이정민, 박영환, 윤혜성, 함철희, 권혁남, 2015, 「나주 복암리 고분군 출토 소뼈의 수습 및 보존처리」, 「보존과학연구」제36집, pp.74~85.
  24. 장재원, 2021, 「百濟 泗沘都城의 範圍」, 「湖西考古學」제48집, 호서고고학회, p.179.
  25. 조지현, 김미정, 이가영, 박지은, 2021, 「부여 응평리 석실묘 출토유물 보존처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74.
  26. 한송이, 김윤지, 황경숙, 2006, 「16S rDNA-ARDRA법을 이용한 소나무림과 상수리나무림 토양 내 VBNC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비교」, 「한국미생물학회지」42권 2호.
  27. Ambrose, S. H., Norr, L., 1993,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s of the carbon isotope ratios of whole diet and dietary protein to those of bone collagen and carbonate', Prehistoric Human Bone-Archaeology at the Molecular Level, Springer, pp.1~37.
  28. Beaumont, W., Beverly, R., Southon, J., Taylor, R. E., 2010, 'Bone preparation at the KCCAMS laboratory',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B: Beam Interactions with Materials and Atoms 268(7-8), pp.906~909.
  29. Brown, T. A., Nelson, D. E., Vogel, J. S., Southon, J. R., 1988, 'Improved collagen extraction by modified Longin method', Radiocarbon 30(2), pp.171~177. https://doi.org/10.1017/S0033822200044118
  30. Diana C. sordillo, Laura A. sordillo, Peter P. Sordillo, Lingyan Shi, Robert R. Alfano, 2017, Short wavelength infrared optical windows for evaluation of benign and malignant tissues, Fig. 1), Journal of Biomedical optics 22(4), pp.1~7.
  31. DeNiro, M. J., Hastorf, C., 1985, 'Alteration of 15N/14N and 13C/12C ratios of plant matter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diagenesis: Studies utilizing archaeological specimens from Peru',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9, pp.97~115. https://doi.org/10.1016/0016-7037(85)90194-2
  32. Jelena Muncan, Roumiana Tsenkova, 2019 Aquaphotomics-From Innovative Knowledge to Integrative Platform in Science and Technology Table 1, Molecules 24(15), pp.2~26.
  33. Klinken, G. J., 1999, 'Bone collagen quality indicators for palaeodietary and radiocarbon measurement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6, pp.687~695. https://doi.org/10.1006/jasc.1998.0385
  34. Ramsey C. B., Higham, T., Bowles, A., Hedges, R., 2004, 'Improvements to the pretreatment of bone at oxford', Radiocarbon 46(1), pp.155~163. https://doi.org/10.1017/S0033822200039473
  35. Saukko P, Knight B. Knight's forensic pathology. 3rd ed. London: Edward Arnold; 2004. pp.7~66.
  36. Schoeninger, M. J., DeNiro, M. J., 1984, 'Nitrogen and carbon isotope composition of bone collagen from marine and terrestrial animal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8, pp.625~639. https://doi.org/10.1016/0016-7037(84)90091-7
  37. Sealy, J., Johnson, M., Richards, M., Nehlich, O., 2014,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extracting bone collagen for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analysis: comparing whole bone demineralization with gelatinization and ultrafiltration',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7, pp.64~69. https://doi.org/10.1016/j.jas.2014.04.011
  38. Lugli. F., Sciutto. G., Oliveri. P., Malegori. C., Prati. S., Gatti .L., Silvestrini .S., Romandini .M., Catelli .E., Casale .M., Talamo .S., Iacumin .P., Benazzi .S., Mazzeo .R., 2021 "Near-infrared hyperspectral imaging(NIR-HSI) and normalized difference image(NDI) data processing: An advanced method to map collagen in archaeological bones." Talanta 226, pp.1~7.
  39. Mannucci, A., Sullivan, K.M., Lvanov, P.L., Gill, P., 1994, Forensic application of a rapid and quantitative DNA sex test by amplification of the X-Y homologous gene amelogenin. International Journal of Legal Medicine 106(4): pp.190~193. https://doi.org/10.1007/BF01371335
  40. Yonsei DNA Profiling Group, 2021, Monoplex PCR sets for degraded DNA.
  41. http://forensic.yonsei.ac.kr(Dec,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