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천 선진리비석 측천문자의 명문 재해석 - 측천문자의 한반도 전래 및 수용 문제에 대해 -

A Reinterpretation of Sacheon Seonjin-ri Stone Monument's Chinese Characters of Empress Wu(則天文字) - On the Issue of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of Empress Wu to the Korean Peninsula -

  • 신동성 (베이징 제2외국어대학교 아시아학원)
  • Shin, Dong-Sung (Dept. of Asian Studies, Beijing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 투고 : 2022.08.20
  • 심사 : 2022.09.25
  • 발행 : 2022.09.30

초록

2003년 경상남도 사천시 선진리 251번지 및 256-1번지에서 측천문자가 새겨진 신라시대 비문이 발견된 이후, 경남문화재연구원과 곽승훈, 김창겸 등 국내연구자들이 비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비문에 등장하는 측천문자의 기원과 이두식 표현의 해석 대해서는 이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비석이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중반에 신라 임금이 진주·사천 일대에서 순시 및 불교 활동에 참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으로, 비문의 주인공은 남부 지방을 순시한 적 있는 성덕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인명으로 해석되어 온 "상요언(上了言)"의 경우 료(了)와 같은 조사가 인명에 사용되지 않는 원칙을 고려할 경우, 인명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동사와 조사로 구성된 이두식 표기로 해석하야 한다고 본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같은 종교서적은 아니지만, 측천문자가 사용된 이유는 화엄종 사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신라 왕실이 측천무후 시대의 불경을 접하게 된 것이 화엄종의 발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측천문자를 익히고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discovery of the inscriptions engrav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of Empress Wu(則天文字)" at 251 and 256-1, Seonjin-ri, Sacheon-si, Gyeongsangnam-do in 2003, researchers from the G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Kwak Seung-Hoon, and Kim Chang-Gyeom have attempted to read and interpret the inscriptions. However, there are still different theories as to the origin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Empress Wu" appearing in the inscriptions and the use of Idu(吏讀)-type notation.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is inscription was erected by the king of Silla in the late 7th and mid-8th centuries to commemorate his participation in the Sacheon and Jinju patrols and Buddhist activities, and it is revealed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e inscription is likely to be King Seongdeok who has visited southern countr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上了言",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 human nam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Idu-type notation or a 變體漢文 because of the use of the proposition 了,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haracter that means the end of a specific act. Although it is not a religious text like 『Mugujeonggwangdaedaranigyeong (The Great Dharani Sutra)』, the reason why the "Chinese characters of Empress Wu(則天文字)" was used is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Huayan school, the royal family of Silla came into contact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of the period of the Empress Wu,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rise of the Huayan school in the Middle Ages, and it appears to have learned and used in this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려]김부식 저, 「삼국사기」, 제8권, 신라본기 제8권, 성덕왕 10년조, [중국] 지린대학출판사 2015년 9월 제1판, p. 114.
  2. [고려]김부식 저, 「삼국사기」, 제8권, 신라본기 제8권, 성덕왕 17년조, [중국] 지린대학출판사 2015년 9월 제1판, p. 115.
  3. [고려]김부식 저, 「삼국사기」, 제9권, 신라본기 제9권, 혜공왕 6년조, [중국] 지린대학출판사 2015년 9월 제1판, p. 129.
  4. [고려]김부식 저, 「삼국사기」, 제9권, 신라본기 제9권, 선덕왕 3년조, [중국] 지린대학출판사 2015년 9월 제1판, p. 131.
  5. [남조.양나라] 유협 저, [중국] 周振甫 번역, 「「문심조룡」 금역」, 제12편, 명잠,11.4, [중국] 中華書局 1986년 12월 제1판, p. 106.
  6. [남조.양나라] 유협 저, [중국] 周振甫 번역, 「「문심조룡」 금역」,제12편, 명잠,11.5, [중국] 中華書局 1986년 12월 제1판, p. 107.
  7. [고려]김부식 저, 「삼국사기」, 제9권,신라본기 제8권, 혜공왕 6년조, [중국] 지린대학출판사 2015년 9월 제1판, P.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