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Word Problems in the Domain of 'Numbers and Operations' of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Nominalization'

명사화의 관점에서 수와 연산 영역의 교과서 문장제 분석

  • Received : 2022.09.26
  • Accepted : 2022.10.24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Nominalization is one of the grammatical metaphors, and it is the representation of verbal meaning through noun equivalent phrases. In mathematical word problems, texts using nominalization have both the advantage of clarifying the object to be noted in the mathematization stage, and the disadvantage of complicating sentence structure,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entences and hindering the experience of the full steps in mathematical mode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rd problems in th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nominalization, a linguistic element, and to derive implications in relation to students' difficulties during solving the word problems. To this end, the types of nominalization of 341 word problems from the content domain of 'Numbers and Operations' of elementary math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four aspects: grade-band group, main class and unit assessment, specialized class, and mathematical expression required word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id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s were derived.

명사화는 문법적 은유 중 하나로, 동적 표현을 명사 상당 어구를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수학 문장제에서 명사화를 사용한 문장 표현은 수학화 단계에서 주목해야 할 대상을 분명하게 한다는 장점과 일상적 표현과 달리 문장의 이해를 어렵게 하고 온전한 수학적 모델링 단계의 경험을 저해한다는 단점을 모두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시 학생들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문장제 해결과 관련하여, 언어학적 요소인 명사화의 관점에서 교과서 문장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에 포함된 연산 관련 문장제 341개의 명사화 유형을 학년군별, 차시 활동과 단원 평가, 특화 차시별, 수식화에 대한 명시적인 요구 문장제의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수학 문장제의 언어적 표현과 관련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지, 백석윤(2020).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 정의 및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의 문장 복잡성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4(2), 231-257.
  2. 강화나, 백석윤(2009). 수학 문장제의 문장 구조에 따른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반응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63-80.
  3. 교육부(2020a). 수학 1-2. (주)비상.
  4. 교육부(2020b). 수학 2-1. (주)비상.
  5. 교육부(2020c). 수학 4-1. (주)비상.
  6. 교육부(2020d). 수학 4-2. (주)비상.
  7. 교육부(2020e). 수학 5-1. (주)비상.
  8. 교육부(2020f). 수학 6-2. (주)비상.
  9. 교육부(2020g).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주)비상.
  10. 교육부(2020h).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주)비상.
  11. 교육부(2020i).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주)비상.
  12. 국립국어원(2022). 우리말샘. https://opendic.korean.go.kr/main.
  13. 맹승호, 이관희(2022).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초등과학교육, 41(1), 30-43.
  14. 소지영(2016). 명사화 의미 기능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소지영, 주세형(2017). 과학 교과서의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본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 탐색. 국어교육연구, 39, 119-158.
  16. 소지영, 주세형(2021). 중등 과학 교과서에서의 정의문 기능 연구: 국어과 설명하기 성취기준의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하여. 국어교육, 172, 43-75.
  17. 이관희, 장혜원(2021). '명사화'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장제의 계열성 분석: '비와 비율' 단원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31(1), 17-34.
  18. 전수경, 조정수(2015).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4), 525-547.
  19. 정려란(2018). 국어 문법적 은유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접근. 한국어문교육, 26, 97-126. https://doi.org/10.24008/klle.2018..26.004
  20. 조진수(2018). 문법적 은유를 활용한 수학 문장제 텍스트의 이해 과정 연구. 텍스트언어학, 45, 279-306. https://doi.org/10.22832/TXTLNG.2018.45..012
  21. 주세형(2015). 주제발표 1: 융복합 시대 국어 문법교육학의 역할-내용 전문가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1), 21-41.
  22. Carpenter, T. P., & Moser, J. M. (1984). The acquisi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concepts in grades one through three. J 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3), 179-202. https://doi.org/10.2307/748348
  23. Daroczy, G., Meurers, D., Heller, J., Wolska, M., & Nurk, H. C. (2020). The interaction of linguistic and arithmetic factors affects adult performance on arithmetic word problems. Cognitive Processing, 21(1), 105-125. https://doi.org/10.1007/s10339-019-00948-5
  24. Egan, D. E., & Greeno, J. G. (1973). Acquiring cognitive structure by discovery and rul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4(1), 85-97. https://doi.org/10.1037/h0034064
  25. Halliday, M. A. (1998). Language and knowledge: the 'Unpacking' of text. In D. Allison, L. Wee, B. Zhiming, & S. A. Abraham (Eds.), Text in Education and Society (pp. 157-178). World Scientific.
  26. Merriam-Webster (2022). Dictionary.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word%problem
  27. Mueller, B. M. (2015). Analysis of nominaliz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sis of Master, Hamline University].
  28. O'Halloran, K. L. (2005). Mathematical discourse - Language, symbolism and visual images. Continuum.
  29. O'Halloran, K. L. (2010). The semantic hyperspace: accumulating mathematical knowledge across semiotic resources and modalities. In Christie, F. & Maton, K. (Eds). Disciplinarity: Functional linguistic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pp. 217-236). Continuum.
  30. Polya, G. (1973).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Radford, L. (2012).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from a cultural semiotic perspective: The theory of objectification.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박재희, 조경희, 조형미, 오국환, 곽문영 공역(2016). 사회기호학적 관점의 수학 교수 학습: 대상화 이론. 경문사.
  32. Scheller, M., de Lara Bonotto, D., de Freitas Madruga, Z. E., & Chamoso-Sanchez, J. M. (2020). The scientific language of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activity. Zetetike, 28,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