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VID-19 발생 전·후의 사회적·경제적 활력 변화 연구 -서울시 상권을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Changes in Urban Vitality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e Case of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 박성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송재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환경계획연구소)
  • 투고 : 2022.08.31
  • 심사 : 2022.09.16
  • 발행 : 2022.09.30

초록

2019년 12월 시작된 COVID-19는 도시 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도시 상권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활력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상권을 대상으로 COVID-19 발생 전과 후의 사회적, 경제적 활력 변화를 분석하고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이용하여 활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유형별로 상권 활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활력보다 경제적 활력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COVID-19로 인한 도시 활력 변화는 주거지 비율이 높을수록 부정적 영향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통시장의 경우 코로나 이후 유동인구는 감소하였으나, 다른 상권 유형과는 달리 신용카드 매출은 소폭 증가하였다. 넷째, 팬데믹 기간 동안 지하철 접근성은 서울시 상권 지역에서 사회적 활력 및 경제적 활력 감소를 개선하는 데에 긍정적 역할을 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자가용 접근성이 사회, 경제적 활력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생활권 내의 보행 및 비동력 수단이 접근 가능한 다양한 상권의 조성과 활성화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COVID-19 has had a detrimental effect on urban vibrancy, particularly in urban commercial districts. Against this backdrop,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vitality in Seoul's commercial area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an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for the changes in vitality us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key findings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an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the vitality of commercial districts by type revealed that the decline in economic vitality was greater than the decline in social vitality. Second, the greater the residential ratio, the less harmful the impact of COVID-19 on urban vibrancy. Third, unlike other types of commercial districts, traditional markets had a minor increase in credit card sales even though the floating population fel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urth, the accessibility of the subway did not play a positive role in reversing the decline in social and economic vitality caused by the pandemic in the commercial district of Seoul; rather, the accessibility of private automobile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social and economic vita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commercial areas accessible by non-motorized modes in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are becoming crucial in the post pandemic er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민정.류성민, 2021,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성적 연구-국내 전통 시장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21(4), 157-177.
  2. 김영롱, 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 측정과 도시공간 유형 분류",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1-77.
  3. 김영롱.윤메솔.이혜령, 2021, "빅데이터를 이용한 코로나시대 수도권 유동인구 네트워크 분석",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1-73.
  4. 김제선,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고객만족이 전통시장의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5), 817-832.
  5. 김진만.기동환.이수기, 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통행 수단 선택 변화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3), 113.
  6. 김현철.이승일, 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 117-134. https://doi.org/10.23129/SEOULS.20.1.201903.117
  7. 문형주.장창호, 2021, 포스트 코로나 19시대 서울시 상권 지원, 관리 방안,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좋은 서울, 21-3.
  8. 박기쁨.조예성.김재홍.최혜봉, 2021, "코로나 시국의 시의성을 반영한 상권 분석 서비스: 서초구를 중심으로",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487-491.
  9. 박철희.남지인.장아영, 2021, "COVID-19로 인해 변화된 사람들의 행태가 외식업종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골목상권과 발달상권을 대상으로-", 통계청 논문공모 우수논문집, 19, 169-194
  10. 서울시, 2021a,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 https://data.seoul.go.kr
  11. 서울시, 2021b,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 홈페이지, https://golmok.seoul.go.kr/.
  12. 유현지, 2021, "코로나19와 서울시 골목상권의 매출액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3), 45-76.
  13. 윤상용, 2019, "지역상권 특성이 자영업자 폐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 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2(3), 21-39. https://doi.org/10.22778/JCI.2019.42.3.21
  14. 이경재.추상호.김기용.정준영, 2021, "대중교통 이용특성과 코로나 19 감염 위험 인식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39(5), 643-661.
  15. 정시윤.전병운, 2020, "공간 빅데이터와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시 활력 평가: 대구시를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4), 217-233. https://doi.org/10.11108/KAGIS.2020.23.4.217
  16. 조월.이수기, 2021, "서울시 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과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56(7), 87-102.
  17. 하정원.김선재.이수기, 2021, "COVID-19 확산과 서울시 소상공 매출의 시공간 변화 특성 분석: 시공간 큐브모형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6(2), 218-234.
  18. Brenner, N., Peck, J., and Theodore, N., 2010, After neoliberalization?. Globalizations, 7(3), 327-345. https://doi.org/10.1080/14747731003669669
  19. Bromley, R. D., and Thomas, C. J., 2002, Food shopping and town centre vitality: exploring the link.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12(2), 109-130. https://doi.org/10.1080/09593960210127682
  20. Carlson, C. J., Albery, G.F., Merow, C. et al., 2022, Climate change increases cross-species viral transmission risk. Nature 607, 555-562. https://doi.org/10.1038/s41586-022-04788-w
  21. Huang, B., Zhou, Y., Li, Z., Song, Y., Cai, J., and Tu, W., 2020, Evaluating and characterizing urban vibrancy using spatial big data: Shanghai as a case study. Environment and Planning 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47(9), 1543-1559.
  22. Kang, C., Fan, D., and Jiao, H., 2021, Validating activity, time, and space diversity as essential components of urban vita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48(5), 1180-1197. https://doi.org/10.1177/2399808320919771
  23. Kim, Y. L., 2018, Seoul's Wi-Fi hotspots: Wi-Fi access points as an indicator of urban vitality.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72, 13-24.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18.06.004
  24. Lee, K. O., and Lee, H., 2021, Public responses to COVID-19 case disclosure and their spatial implication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62(3), 732-756.
  25. Liu, S., Zhang, L., Long, Y., Long, Y., and Xu, M., 2020, A new urban vitality analysis and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human activity modeling using multi-source big data.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9(11), 617. https://doi.org/10.3390/ijgi9110617
  26. Longtin, M. J., and Mitchell, M. D., 2021, Requiem for the American CBD: The Impact of COVID-19 and a Dispersed Workforce. Journal of Geography and Geology, 13(2).
  27. Ramani, A., and Bloom, N., 2021, The Donut effect of COVID-19 on cities (No. w28876).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8. Vatavali F, Gareiou Z, Kehagia F, Zervas E., 2020, Impact of COVID-19 on Urban Everyday Life in Greec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the Active Population. Sustainability, 12(22), 9410. https://doi.org/10.3390/su12229410
  29. Xu, G., Xiu, T., Li, X., Liang, X., and Jiao, L., 2021, Lockdown induced night-time light dynamics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 global mega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02, 102421. https://doi.org/10.1016/j.jag.2021.102421
  30. Zheng, C., Song, Y., He, Q., and Shen, F., 2018, Spatially explicit assessment on urban vitality: Case studies in Chicago and Wuha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40, 296-306. https://doi.org/10.1016/j.scs.2018.04.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