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표면균열무해화 기법에 의한 SKD61의 신뢰성 향상

Improving Reliability of SKD61 Using Nondamaging Technology

  • 이금화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 구경희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 김재훈 (부경대학교, 재료공학과) ;
  • 윤서현 (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 ;
  • 권영국 (부경대학교, 재료공학과) ;
  • 남기우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Lee, Gum-Hwa (Dept. of Marine Design Convergence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Gu, Kyoung-Hee (Dept. of Marine Design Convergence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Hoon (Dep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Yun, Seo-Hyun (Dept. of Die Mold System, Changwon Campus of Korea Polytechinics) ;
  • Kwon, Yung-Kug (Dep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Nam, Ki-Woo (Dept. of Marine Design Convergence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2.08.24
  • 심사 : 2022.09.06
  • 발행 : 2022.10.31

초록

Using the fatigue limit (△σunsm) and residual stress (σr) of the UNSM smooth specimen, the harmless maximum crack depth (αhml) according to the crack aspect ratio (As) was evaluated. αhml evaluated the reli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crack depth (αNDI1, αNDI2) detectable by nondestructive inspection(NDI) and the crack depth (α25, α50) that reduces the fatigue limit by 25% and 50%. All αhml was determined by the crack depth. The αhml of 80N UNSM with high σr and high △σunsm was found to be large. σr in the depth direction had a much effect on αhml. Since αhml50(As=0.6-0.1) and αhml25, α25 and α50(some range) can sec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Since αhml50 (As=1. 0-0. 6), it cannot be made harmless by UNSM. So safety and reliability cannot be secured. αNDI1 and αNDI2 are larger than α25, α25 cannot be detected by NDI. αNDI1 and αNDI2 are smaller than α50, α25 can detected by NDI.

키워드

1. 서론

최근 고강도강(HSS)의 사용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높은 경제성을 위하여 경량화하고 있다[1-3]. 그러나 고강도강은 균열이 존재하지 않으면 강도가 우수하지만, 미세한 균열이라도 존재하면 강도는 감소한다[4].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압축잔류응력을 도입함으로써 구조물의 피로 강도 향상을 연구하고 있다[5-7]. 또한 미세 균열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하여, 인공 슬릿부에 피닝하여 균열무해화 기법을 개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8-12]. 또 다른 연구자들은 표면 개질 방법인 초음파 나노 결정 표면 개질 (Ultrasonic Nano- Crystal Surface Modification; UNSM) 기술을 이 용하여, 고강도강(SCM435, SKD61)의 압축 잔류응력을 도입하고, 피로 강도 개선을 연구하였다 [13,14]. 그러나 균열무해화 기법을 사용한 UNSM 시험편의 연구는 수행하지 않아, UNSM 잔류응력을 사용한 균열무해화의 해석적인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구강 SKD61의 Non- UNSM 평활재의 피로한도( ) 및 하한계응력확  대계수( )를 사용하여 미소 균열 크기에 따  르는 피로한도( )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 UNSM 평활재의 피로한도( ) 및 잔류응력( )   을 사용하여 균열 형상비(As)에 따르는 균열무해화 크기( )를 평가하였다. 또한 비파괴검사(NDI)로  검출 가능한 최소 균열 크기(, ), 피로한도를 25%와 50% 감소시키는 균열 크기( ,  )   및 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

2. 평가 재료 및 시험편

2.1 평가 시험편

평가 재료는 열간 금형용 합금강으로 부르는공구강 SKD61이다. 평가 형상 시험편은 Fig. 1과같이 판폭 2W=100 mm, 두께 t=10 mm로 응력비 R=0로 굽힘응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평가 시험편은 균열 깊이(a), 균열 길이(2c)의 반타원 표면균열을 가정하였다. 균열형상비(As=a/c)는 1.0, 0.6, 0.3 및 0.1로 4가지로 설정하였다. A 및C는 각각 균열최심깊이와 균열최표면을 나타낸다.

SOOOB6_2022_v25n5_791_f0001.png 이미지

Fig. 1 Schematic of a finite plate containing a semicircular crack

2.2 잔류 응력 분포

Fig. 2는 UNSM에 의한 압축잔류응력 분포를 나타낸다. UNSM의 압축잔류응력은 문헌[13]에서 인용하였다. UNSM은 주파수 20 kHz이고, 시험편에 가해지는 정하중을 각각 40N , 60 N 및 80 N의 3종류이다. 40 N UNSM, 60 N UNSM 및 80 N UNSM의 표면 압축잔류응력( )은 각각 rsmax –807.5, -1172.4 및 –1410.6MPa이다. 그러나 40 N UNSM의 최대 압축 잔류응력은 약 0.11 mm 깊이에서 –859.2 MPa이고, 60 N UNSM 및 80 N UNSM은 표면이다. Non-UNSM 평활시험편의 피로한도( )는 719 MPa이고, UNSM 평활시험  편의 피로한도( )는 각각 779, 800 및 848  MPa이다. 긴 균열의 하한계응력확대계수   는 11.6 로 하였다[15].

SOOOB6_2022_v25n5_791_f0002.png 이미지

Fig. 2 Distribution of compression residual stress by changing of UNSM load

2.3  의 평가 및 결함 검출 확률 

응력비 R의 굽힘응력을 받는 유한판의 반타원표면균열  의 균열 길이 의존성은 식(1)로 평  가한다[9].

\(\Delta K _ { t h } = 2 \beta \Delta \sigma _ { w } \sqrt { \frac { a } { \pi } } \operatorname { cos } ^ { - 1 } [ \{ \frac { \pi } { 8 \beta ^ { 2 } a } ( \frac { \Delta K _ { t h ( l ) } } { \Delta \sigma _ { w } } ) ^ { 2 } + 1 \} ^ { - 1 } ]\)       (1)

또, 피로한도는 식(2)로 평가한다[9].

\(\Delta K _ { t h } = \Delta \sigma _ { w c } \sqrt { \pi a }\)       (2)

여기서 는 평활시험편의 피로한도, 은긴 균열의 하한계응력확대계수, 는 반타원 균열 깊이다. 형상보정계수 는 Newman-Raju 식[16] 에서 얻어지는 균열최심점(A점) 및 균열최표면(C 점)의 값이다.

응력확대계수 범위()는 식(3)으로 나타낸다.

\(\Delta K _ { T r } = \Delta K _ { a p } + K _ { r }\)       (3)

여기서 ∆는 작용응력으로 Newman-Raju

식[16]으로 평가한 응력확대계수, 은 API- RP579[17]에서 4차 다항식으로 얻어지는 잔류응력분포를 사용한다.

시험편의  조건은 식(4)로 나타낸다.

\(\Delta K _ { T r } = \Delta K _ { t h ( s }\)       (4)

는 A점과 C점을 비교하여, 작은 균열 크기를 사용한다. 그 점을 Fig. 3과 4에 나타내었다.

은 2c=0.6 mm, a=0.3 mm의 반원 균열 면적, 균열 깊이  이다. 한편, 60% 검출확률  의 피로균열 치수를 2c=1.4 mm, a=0.25 mm의반원 균열면적  , 균열 깊이  이다. 초음   파탐상법의 균열면적은 에코 강도에 의존한다. 반타원균열의 면적(S)는 이고, 균열형상비(As)가 달라도, 반타원 균열 면적S가 같으면, 균열검출확률은 같다. 그래서 NDI로 검출 가능한 최대 균열 깊이 와 의 관계는 식(5)로 나타  낸다[18].

\(S _ { N D I } = \pi a _ { N D I } ^ { 2 } / 2 A _ { s }\)       (5)

3. 결과 및 고찰

3.1  의 평가 

Fig. 3과 4는 균열 깊이에 따르는 과  의 관계를 나타낸다. (a)(b)(c)(d)는 각각 As=1.0, 0.6, 0.3 및 0.1의 결과이다. 여기서  는 Non-  UNSM 평활시험편의 피로한도( ) 719 MPa을  식(1)에 대입하여 평가하였다.  은 Newman-  Raju 식[16]에 의한  와 API-RP579[17]의 압  축잔류응력 식에 의한  의 합이다. 여기서    에 사용한 작용응력은 UNSM 평활시험편의 피로 한도( )를 사용하였다. 즉, 40 N UNSM, 60  N UNSM 및 80 N UNSM는 각각 779, 800 및 848 MPa을 사용하였다. 또한,  의 평가는 Fig. 2  에 나타낸 40 N UNSM, 60 N UNSM 및 80 N UNSM의 잔류응력을 API-RP579[17]에 의한 4차 다항식을 각각 사용하였다.

SOOOB6_2022_v25n5_791_f0003.png 이미지

Fig. 3 Evaluation of  by UNSM for Point A. (a) As=1.0, (b) As=0.6, (c) As=0.3, (d) As=0.1

SOOOB6_2022_v25n5_791_f0004.png 이미지

Fig. 4 Evaluation of  by UNSM for Point C. (a) As=1.0, (b) As=0.6, (c) As=0.3, (d) As=0.1

Fig. 3과 4는 각각 A점 및 C점의 결과이다. Fig. 3과 4에서 A점 및 C점의  는 모두   에 대하여,  와  의 교차점 ●을    나타내었다. 그러나 C점의 교차점은 A점보다 크게나타나서  결정 조건인 식(4)에 의하여, UNSM  시험편의  은 모두 A점에서 결정되었다. 

은 80N UNSM (=848 MPa)이 가장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40 N UNSM (  =779 MPa)의  은 As=1.0-0.3 범위에서 60 N  UNSM ( =800 MPa)보다 크다. 이것은 40  N UNSM의 잔류응력이 60 N UNSM의 것보다더 깊게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즉 표면의 잔류응력 크기보다, 깊이 방향의 잔류응력이  에 더 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큰  을 얻기 위해서는 표면의 잔류응력 크기보다  깊이 방향을 더욱 깊게 도입할 필요가 있다.

3.2 표면균열무해화 기술의 SKD61 안전성 및 신뢰성

Fig. 5는 Non-UNSM 평활시험편의 피로한도가 25% 또는 50% 감소하는 균열 깊이(  ),     및 NDI에서 검출 가능한 균열 깊이(  )   를 나타내었다. (a)(b)(c)는 각각 40 N UNSM, 60 N UNSM 및 80 N UNSM의 결과이다. As가 작아짐에 따라서  및  은 감소하였다. 피로한도   25% 및 50% 감소하는 피로균열  는 무해화 가 

능 균열 크기 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UNSM 으로 무해화 가능하다. 그러나  은 As=1.0-0.6  범위에서  보다 위쪽에 있어 UNSM으로 무해  화 불가능하지만, As=0.6-0.1 범위에서  보다  아래쪽에 있어 UNSM으로 무해화 가능하다. NDI 의 균열 검출 능력(  )은 피로한도 25%   피로균열 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NDI로 의 균열을 검출할 수 없지만, 피로한도 50% 감소하는 피로균열  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비파괴검  사로  의 균열은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 불가능한 균열은 더욱 고정도인 NDI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SOOOB6_2022_v25n5_791_f0005.png 이미지

Fig. 5 As dependence on , ,  and  . (a) 40 N UNSM, (b) 60 N UNSM,  (c) 80 N UNSM

4. 결론

본 연구는 SKD61강의 , ,  및 3종류의 UNSM 하중에 의한 잔류응력 분포를 사용하여,  의 As 의존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  은 (  )와 (  )의 관계에서 신뢰      성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UNSM 시험편의 은 모두 깊이()에서 결정되었다. 압축 잔류응력 분포는  에  영향을 미치지만, 압축 잔류응력이 크고,  가 큰 80N UNSM의  이 크게 나   타났다.

(2) 한편 UNSM 60 N의 잔류응력보다 더 깊게 도입된 UNSM 40 N의  은 As=1.0–0.3  범위에서 더 크다. 표면의 잔류응력 크기보 다, 깊이 방향의 잔류응력이  에 더 큰  영향을 미치므로. 표면의 잔류응력 크기보다 두께 방향으로 더욱 깊게 도입할 필요가 있다.

(3) > 및 As=0.6-0.1 범위에서 > 이므로  및 일부 범위의  는 강의 안   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As=1.0-0.6 범위에서  < 이므로, UNSM   으로 무해화 불가능하여, 강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4) ()>이므로 NDI로 의 균열을 검출할 수 없지만, , <이므로 NDI로  의 균열은 검출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X. Song, G. Sun, Q. Li, "Sensitivity analysis and reliability based design optimization for high-strength steel tailor welded thin-walled structures under crashworthiness," Thin-Walled Structures, vol. 109, pp. 132-142, (2016). https://doi.org/10.1016/j.tws.2016.09.003
  2. N. Schillo, A. Taras, M. Feldmannc, 2018,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local buckling of plates for mild and high strength steel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 142, pp. 86-98, (2018). https://doi.org/10.1016/j.jcsr.2017.12.001
  3. G. Y. Kim, I. K. Kwon, J. W. Park, "Study of prediction of mechanical joining strength of blow motor case joi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ol. 20, No. 1, pp. 81-87, (2022). https://doi.org/10.21289/KSIC.2017.20.1.081
  4. K. M. Mahmoud, "Fracture strength f or a high strength steel bridge cable wire with a surface crack," Theoretical and Applied Fracture Mechanics, vol. 48, pp. 152-160, (2007). https://doi.org/10.1016/j.tafmec.2007.05.006
  5. M. A. S. Torres, H. J. C. Voorwald, "An evaluation of shot peening, residual stress and stress relaxation on the fatigue life of AISI 4340 steel,"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vol. 24, pp. 877-886, (2002). https://doi.org/10.1016/S0142-1123(01)00205-5
  6. K. Oguri, "Fatigue life enhancement of aluminum alloy for aircraft by Fine Particle Shot Peening (FPSP),"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211, pp. 1395-1399, (2011). https://doi.org/10.1016/j.jmatprotec.2011.03.011
  7. K. Mikova, S. Bagherifard, O. Bokuvka, M. Guagliano, L. Trsko, "Fatigue behavior of X70 microalloyed steel after severe shot pee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vol. 55, pp. 33-42, (2013). https://doi.org/10.1016/j.ijfatigue.2013.04.021
  8. R. Fueki, K. Takahashi, "Prediction of Fatigue Limit Improvement in Needle Peened Welded Joints Containing Crack-like De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uctural Integrity, vol. 9, pp. 50-64, (2018). https://doi.org/10.1108/IJSI-03-2017-0019
  9. K. Ando, R. Fueki, K. W. Nam, K. Matsui, and K. Takahashi, "A study on the unification of the threshold stress intensity factor for micro crack growth," Japan Society of Spring Engineers, vol. 64, pp. 39-44, (2019).
  10. K. Ando, M. H. Kim, K. W. Nam, "Analysis on peculiar fatigue fracture behaviour of shot peened metal using new threshold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equation," Fatigue & Fracture of Engineering Materials & Structures, vol. 44, Issue 2, pp. 306-316, (2021). https://doi.org/10.1111/ffe.13356
  11. W. G. Lee, K. H. Gu, C. S. Kim, K. W. Nam, "Reliability Improvement of Offshore Structural Steel F690 using Surface Crack Nondamaging Technology,"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35, No. 5, pp. 327-335, (2021). https://doi.org/10.26748/KSOE.2021.022
  12. S. H. Yun, K. W. Nam, "Failure Analysis and Counter measures of SCM435 High-Tension Bolt of Three-Step Injection Mo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ol. 23, No. 4, pp. 531-539, (2020). https://doi.org/10.21289/KSIC.2020.23.4.531
  13. C. M. Suh, M. H. Lee, and Y. S. Pyun, "Fatigue characteristics of SKD-61 by ul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cation technnology under static load var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Physics B, vol. 24, pp. 2645-2650, (2010). https://doi.org/10.1142/S0217979210065404
  14. O. Unal, F. Husem, E. Maleki, I. Karademir, Y. Ef e, T. Das, "Ef f ects of static load on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erformance of AISI 1050 medium carbon steel subjected to ul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catio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vol. 832, Article No. 142489, (2022).
  15. https://www.hitachi-metals.co.jp/product/steel/characteristics/03.html
  16. J. C. Newman Jr., and I. S. Raju, "An Empirical Stress-Intensity Factor Equation for the Surface Crack," 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vol. 15, pp. 185-192, (1981). https://doi.org/10.1016/0013-7944(81)90116-8
  17.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recommended practice 579 fitness for servi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pp. C3-C10, (2000).
  18. J. H. Kim, S. H. Yun, K. W. Nam, "Peculiar Fatigue Fracture Behavior of Ul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ed SCM43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ol. 25, No. 2, pp. 241-247,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