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in Home Care workers

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 황순애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
  • 김진경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임해영 (예명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 Received : 2022.07.07
  • Accepted : 2022.08.12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overcoming of burnout of visiting caregivers by conducting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b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visiting caregiver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ntext in which visiting caregivers experienced relationships with the elderly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their family carers for long-term care benefit service, and the dispatched home elderly welfare center. As a result, a total of 12 high-level categories were derived, Which were 'I fell into a suspicious person', 'Fallen self-esteem', 'Visiting caregiver activity I don't want to do anymore', 'Oppressed being', 'In a violent situation Exposure', 'Devaluated care worker', 'Work that is difficult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occupation', 'Labor where the boundaries of work are not clear', 'Disappointment with family guardians', 'Social awareness and effort that is not easy to improve', 'Poor treatment of dispatching agencies' and 'Distrust of dispatching ag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수행을 통해 이들의 소진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유용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방문요양 요양보호사들이 65세 이상 장기요양급여 서비스 대상 노인 및 그 가족보호자와, 파견하는 재가노인복지센터와의 관계경험 안에서 어떠한 맥락을 경험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상위범주는 총 12개로, '의심받는 존재로 전락한 나', '추락한 자존감', '더 하고 싶지 않은 방문요양보호사 활동', '억압된 존재', '폭력적 상황에 노출', '가치절하된 돌봄 노동자', '전문 직종으로 인정받기 어려운 일', '일의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는 노동', '노인가족에 대한 실망', '개선되기 쉽지 않는 사회적 인식과 노력', '파견기관의 열악한 처우', '파견기관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및 논의점을 바탕으로, 방문요양보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거나 감소하기 위한 제언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임량, 젠더 관점에서 본 재가 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 윤아랑, 정남운,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2호, pp.231-256, 2011.
  3. 정형학,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 보건복지부, "2019년도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 교재", 2020.
  5. 이연숙, 박경일, "재가방문 요양보호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37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370
  6. 김동주, 김나현, 도광조,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소진을 예측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인문사회21, 제10권, 제4호, p.28, 2019.
  7. 서울시어르신돌봄종사자종합지원센터, 2022.
  8. 김영춘,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590-602,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590
  9. 강창범, "요양보호사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4권, pp.193-209, 2011.
  10. 최경진, 유금란,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와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제73권, 제4호, pp.55-86, 2018.
  11. 이진열, 서보준,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아시아학술문화원, 제9권, 제4호, pp.275-286, 2018.
  12. 신미정, 송인자, "요양보호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제10권, 제9호, pp.312-321, 2019.
  13. B. Kim, L. Liu, H. Ishikawa, and S. H. Park,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job autonomy,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Hawaii", Educational Gerontology, Vol.45, No.1, 2019.
  14. 국민건강보험공단, 2020년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 2021.
  15.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용어사전, 2022.
  16. 강은나, 이윤경, 임정미, 주보혜, 2019년도 장기요양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7. 이윤진, "돌봄서비스 종사자 고용안정성 강화 -보육 교사와 요양보호사의 근로 환경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제20권, 제1호, pp.149-177, 2018.
  18. 김홍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9. 김수연,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0. B. K. Gleason and D. S. Jopp, "Burnout after patient death: challenges for direct care worker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54, No.3, pp.317-325, 2017.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7.06.006
  21. L. Funk, D. Spencer, and R. Herron "Making sense of violence and victimization in health care work: the emotional labour of 'not taking it personally,"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Vo.l.27, No.1, pp.94-110, 2021. https://doi.org/10.1177/0269758020953760
  22. 홍정영,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3. 장민경, 노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4. 이연숙, 박경일, "요양보호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369-38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369
  25. C. L. Kemp, M. M Ball, M. M. Perkins, C. Hollingworth, and M. J. Lepore, "'I Got Along With Most of Them': Direct Care Workers'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Families in Assisted Living," The Gerontologist, Vol.49, No.2, pp.224-235, 2009. https://doi.org/10.1093/geront/gnp025
  26. C. Natasha and M. Gabrielle, "Recognition at Last: Care Work and the Equal Remuneration Case,"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Vol.54, No.3, 2012.
  27. 김민정, 김윤정, "방문요양보호사의 노인돌봄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제6권, 제2호, pp.159-194, 2012.
  28. 서종희, 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경험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9. 전용호,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치매노인과 요양보호사의 관계와 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제43호, pp.129-171, 2017.
  30. S. H. Lopez, "Emotional labor and organized emotional care: Conceptualizing nursing home care work," Work and Occupations, Vol.33, No.2, pp.133-160, 2006. https://doi.org/10.1177/0730888405284567
  31. E. Akgun-Citak, S. Attepe-Ozden, and A. Vaskelyte "Challenges and needs of informal caregivers in elderly care: Qualitative research in four European countries, the TRACE project,"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87, 2020.
  32. R. E. Stak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33.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2018.
  34.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35.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15.
  36.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37. 박홍주,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경험을 통해 본 돌봄 노동의 의미구성과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8. J. C. Tronto, "Beyond gender difference to a theory of care: Feminis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In An Ethics of Care: Feminis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Routledge, pp.240-257, 1993.
  39. 허남재, 석재은, "재가 장기요양 돌봄노동의 특성과 돌봄관계에 대한 시민권적 접근," 한국노인복지학회, 제63권, pp.279-307, 2014.
  40. 김송이,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pp.103-136, 2012.
  41. 임화영,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pp.65-80, 2012.
  42. 석재은, "재가장기요양에서 경력직 요양보호사 역할 모형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73권, 제2호, pp.107-140, 2018.
  43. 김광선, "독일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장기요양보호 인력 선진화 방안: 독일 수발인력 직종체 계와 양성교육제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적질학회, 제4권, 제1호, pp.55-84, 2020.
  44. 이금정, 상담사례로 본 요양노동 실태 및 개선방안, 서울시 어르신돌봄종사자종합지원센터, 2018.
  45. 경기도사회서비스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