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related to Resilienc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s-19 Patient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극복력 관련 요인

  • Received : 2022.07.08
  • Accepted : 2022.08.18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is study was aim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social isolati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s-19 (COVID-19)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resilience. Data were carried out from March 7 to May 5, 2021, an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wer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ion of isolation and the economic status of 'medium' were identified as related factors for resili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systematic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COVID-19 patients including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through families and health care providers, reducing social isolation through non-face-to-face counseling,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diseases, and providing economic support.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불확실성, 사회적 고립감, 사회적 지지와 극복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극복력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21년 3월 7일부터 5월 5일까지 수집되었고, 200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IBM SPSS Statistic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고립감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격리에 대한 설명에 만족한 경우, 경제상태가 '중'인 경우 극복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극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과 의료인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고, 비대면 상담 등을 통해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며, 질병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과 경제적 지원이 포함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1&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2. 양미라, 김해숙, "팬데믹 상황(COVID-19)에서 사회적 지지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 신뢰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309-319, 202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11.309
  3. 박혜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와 자가격리자의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 제60권, 제1호, pp.11-18, 2021.
  4. M. E. P. Seligman M. and Csikszentmihalyi,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5-14,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5. K. M. Connor and J. R. Davidson,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Vol.18, No.2, pp.76-82, 2003. https://doi.org/10.1002/da.10113
  6. 차경숙, 김경희, "암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sian Oncology Nursing, 제12권, 제2호, pp.139-146, 2012. https://doi.org/10.5388/aon.2012.12.2.139
  7. F. Hao, W. Tam, X. Hu, W. Tan, L. Jiang, X. Jiang, L. Zhang, X. Zhao, Y. Zou, Y. Hu, X. Luo, R. S. McIntyre, T. Quek, B. X. Tran, Z. Zhang, H. Q. Pham, C. S. H. Ho, and R. C. M. Ho,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the neuropsychiatric sequelae of acutelyill COVID-19 inpatients in isolation facilities," Translational Psychiatry, Vol.10, No.355, pp.1-14, 2020. https://doi.org/10.1038/s41398-019-0665-5
  8. M. H.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20, No.4, pp.225-232, 1988. https://doi.org/10.1111/j.1547-5069.1988.tb00082.x
  9. 양남영, 김명자, "질병과 관련된 불확실성에 대한개념분석," 노인간호학회지, 제4호, 제2호, pp.187-194, 2002.
  10. C. R. Victor, S. J. Scambler, A. N. Bowling and J. Bond,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oneliness in later life: a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Ageing and Society, Vol.25, No.6, pp.357-375, 2005. https://doi.org/10.1017/S0144686X04003332
  11. W. D. S. Killgore, E. C. Taylor, S. A. Cloonan, and N. S. Dailey, "Psychological resilience during the COVID-19 lockdown," Psychiatry Research, Vol.291, No.113216, 2020.
  12. B. H. Kaplan, J. C. Cassel, and S. Gore,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Vol.15, No.5, pp.47-58, 1977. https://doi.org/10.1097/00005650-197705001-00006
  13. 김유진, 이혜미, 이승연, "불면증 환자의 스트레스, 심리적 강인성,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제24권, 제3호, pp.137-150, 2016.
  14. 김경숙, 최은숙, "재가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2권, 제2호, pp.717-731, 2010.
  15. 이종경, 윤지영, "뇌졸중 입원환자의 극복력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30권, 제4호, pp.385-393, 2018.
  16. L. B. Gasink, K. Singer, N. O. Fishman, W. C. Holmes, M. G. Weiner, W. B. Bilker, and E. Lautenbach, "Contact isolation for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ized patients; is patient satisfaction affected?,"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Vol.29, pp.275-298, 2008. https://doi.org/10.1086/527508
  17. 강수진, 이윤정, "뇌졸중 환자의 극복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위이행의 관련성," 가정간호학회지, 제28권, 제1호, pp.36-48, 2021. https://doi.org/10.22705/JKASHCN.2021.28.1.36
  18. 정미, 윤경순, "혈액 투석 환자의 불확실성, 극복력,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자가간호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7호, 제3호, pp.268-277, 2020.
  19. 김미자, 다제내성균 감염으로 격리된 환자의 정신건강 구조모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정재원, 김문정, 이미현, 도혜경,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기능 상태와 사회심리적 적응,"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58-66, 2005.
  21. 오현숙, 노인의 특성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2. 공혜숙,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장기요양시설 성인병 환자의 무력감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3, 2012.
  23. 김옥수,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24. H. S. Baek, K. U. Lee, E. J. Joo, M. Y. Lee, K. and S. Ch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Vol.7, No.2, pp. 109-115, 2010. https://doi.org/10.4306/pi.2010.7.2.109
  25. 양인애, 김희정, 장연수, 강영애, "격리 입원환자의 불확실성, 우울과 불안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28권, 제3호, pp.216-225, 2019.
  26. 이성미, 조유향, 폐결핵 환자의 건강신념,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 수행과 관계, 계명간호과학, 제19권, 제2호, pp.39-48, 2015.
  27. 이정아, 김민주, "폐암 환자의 불확실성과 디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48-156, 2018.
  28. 손정민, 자조집단에 참여한 유방암 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과 사회비교동기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9. 김영만, 정혜정, 오의금, "위장관 암 환자의 극복력과 사회적 지지가 수술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9권, 제4호, pp.432-440, 2017.
  30. A. B. Salah, B. N. DeAngelis, M. al'Absi. "Resilience and the Role of Depressed and Anxious M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Isolation and Perceived Sleep Qual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28, pp.277-258, 2021. https://doi.org/10.1007/s12529-020-09945-x
  31. D. Banerjee and M. Rai, "Social isolation in Covid-19: The impact of loneli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Vol.66, No.6, pp. 525-527, 2020. https://doi.org/10.1177/0020764020922269
  32. 문지영, 조복희,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와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4-31, 2011.
  33. 채영희, 이원희, 민영미, 신아미, 김향미, "암 전문병원 간호사의 간호역할 수행도와 중요도," 임상간호연구, 제19권, 제3호, pp.407-418, 2013. https://doi.org/10.22650/JKCNR.2013.19.3.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