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성의 이혼선택 요인에 관한 종단 연구: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Divorce Choices among Women: Focused on Survival Analysis

  • 투고 : 2022.06.22
  • 심사 : 2022.08.17
  • 발행 : 2022.08.31

초록

본 연구는 결혼생활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여성이 이혼을 선택하게 만드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의 결혼과 이혼양상을 가족전환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두 집단 모두 의미 있는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실천에 기반한 생활복지 차원의 성장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생존분석 방법을 이용한 종단 연구를 시행하였다. 여성의 결혼생활에서 각 요인들이 이혼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콕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세 가지 분석모형을 통해 파악한 결과 모든 모형이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ocial work practice in understanding marriage and divorce as transitions and in helping women make meaningful decisions on whether to stay or leave the marriage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mpact women's divorce decision making over time.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that used survival analysis by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panel data. Finally,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divorce decision making, and accordingly, all regression models were appropriate for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임.전희정(2013).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구주 여부와 빈곤여부를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33, 161-188.
  2. 강신성(2014). 노년기 부부갈등과 생태체계 요인이 황혼이혼 및 범죄유발 동기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강신성.임왕규(2013). 노년기 부부갈등이 황혼이혼과 범죄 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9), 178-192.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178
  4. 공성숙(2008). 부부클리닉 방문부부의 심리적 요인이 결혼 만족도 및 이혼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8(4), 550-560.
  5. 곽배희(1993). 이혼원인 및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곽배희(2001).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권복순.김태자(2008). 2,30대 여성들의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제 1차 여성가족패널 학술대회 발표집.
  8. 김경순(2010).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가 모의 심리적 안녕 및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 시설 입소자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명자(1985). 가족관계에 대한 부부의 가치의식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24, 139-166.
  10. 김명자.권오실(1996). 부부간의 갈등정도와 갈등관리방법 연구: 자녀가 초등학생 이하인 부부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지, 11(1), 3-22.
  11. 김문조(2016). 디지털 시대, 일상의 재구성.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15.
  12. 김미숙.원영희.이현송.장혜경(2005).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가족 지원정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김민녀.채규만(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자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4), 655-671.
  14. 김선아.남경아.정향인(2006).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5(2), 179-186.
  15. 김성희(2003). 청년 남녀의 이혼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75-85.
  16. 김세현.이성희(1989). 도시 주부의 결혼 불안정성에 관한 일연구. 생활문화연구, 3, 211-229.
  17. 김소이(2018). 기혼자의 가족주의 가치관, 부부관계 특성 및 출산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김소진(2009).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사 연구. 한국노년학, 29(3), 1087-1105.
  19. 김수완(2010). 결혼해체 이후 삶의 변화: 경제적 상태와 생활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여성학, 26(1), 35-67.
  20. 김순안.김승용(2011).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중년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109-129.
  21. 김순영(2018). 혼인.이혼 패턴의 시간적 변화 추이와 요인 규명. 통계개발원 연구보고서.
  22. 김승권(2014). 한국인의 가족가치관과 사회정책 방향. 보건복지 Issue & Focus, 246, 1-8.
  23. 김승권.전광희.김민자.이연주.김유경.서문희.조애저(2005).인구전환기의 한국사회 가치관과 가족변화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김영란(2017). 중장년 세대와 자녀 세대의 가족건강성 및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3), 471-492.
  25. 김영희.정선영(2007).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갈등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65-82.
  26. 김영희.정선영(2007).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65-82.
  27. 김예리(2002). 비이혼가정 자녀의 이혼지각 및 또래애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김유경.이진숙.이재림.김가희(2014).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김은경(1998). 결혼 불안정성의 세대간의 전이과정에 있어서의 성차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41-52.
  30. 김은정(2019). 여성의 이혼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김은정.강갑원(2017). 이혼여성의 이혼 결심까지의 심리적 과정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83-196.
  32. 김정옥(2011). 이혼 전 의사결정단계 부부를 위한 치료 대상자 연구. 대한가정학회, 49(10), 91-101.
  33. 김정운.이장주(2003). 여가와 삶의 질: 중년부부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 1-10.
  34. 김지혜(2008). 중년기 이혼여성의 이혼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김진원(2019). 이혼 전.후 가구소득 변화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발달궤적에 대한 종단 연구: 이혼자와 결혼유지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김현동.김명희(2011). 기혼여성 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여성연구, 2, 33-67.
  37. 김혜련(1993). 여성의 이혼경험을 통해 본 가부장적 결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김혜영(2001). 한국대학생의 가족주의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12(1), 79-105.
  39. 김혜영(2006). 한국가족문화의 재고-친밀성의 부족과 허약한 가족관계. 보건복지포럼, 115, 23-34.
  40. 김혜영.김상돈. 박선애(2012).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1. 김혜영.이은주.윤홍식(2005).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과 빈곤의 여성화. 아시아여성연구, 44(1), 5-51.
  42. 김혜영.변화순.윤홍식(2008). 여성의 이혼과 빈곤 -직업과 소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2), 37-63.
  43. 노진숙(2013). 기혼자들의 결혼유지와 이혼결정 과정 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문정화.김은량.박양균.김미라(2014). 초기노년기 이혼여성의 이혼 후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혼초기 2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9(4), 693-713.
  45. 문현숙.김득성(2000).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3), 1-22.
  46. 박경애(2000). 한국의 이혼율 추이와 의미, 1970~1995. 한국인구학, 23(1), 5-29.
  47. 박소진(2016).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가족가치관과의 관련성 연구-제 4차 여성가족패널조사(2012)자료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박수현(2003). 대학생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박은옥(1997). 기혼취업여성의 배우자 역할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1), 80-92.
  50. 박현정 (2012). 이혼.별거 전후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1. 박현정(2013). 이혼·별거자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지역과 세계, 37(2), 79-102.
  52. 박현정.정익중(2012). 이혼·별거 전후의 소득변화와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논총, 28, 203-232. https://doi.org/10.16935/EJSS.2012.28..007
  53. 변화순(2006). 이혼 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젠더리뷰, 3, 122-123.
  54. 복지로(2020). 한 눈에 보는 복지정보: 한부모. 2020년 5월 15일 검색. http://m.bokjiro.go.kr/welInfo/retrieveWelInfoBoxist.do?searchIntClId=08
  55. 성낙일.조동혁(2015). 우리나라 시·군·구 이혼율 차이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실증분석. 응용경제, 17(1), 99-134.
  56. 성정현.양심영(2006). 이혼숙려의 제도화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가족과 문화, 18(2), 139-163.
  57. 송경일.최종수(2013). SPSS 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서울: 한나래.
  58. 송욱(2012). 여성의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9.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0. 심수명(2006). 한국 사회의 이혼 증가 원인 분석과 그 대안에 관한 연구. 복음과 상담, 7(7), 171-206.
  61. 안윤숙.김흥주.이현진.하영진(201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정요인, 직장요인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7(1), 157-185.
  62. 오지혜(2015). 한국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가정 내 요인과 가정 외 요인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7(1), 233-270.
  63. 옥선화.남영주.강은영(2006). 이혼자들의 이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23-235.
  64. 유계숙.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23-235.
  65. 유희정.이숙종(2016). 한국사회 갈등의 원인 및 관리에 대한 연구: 갈등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7(1), 39-80. https://doi.org/10.22862/KJSR.2016.17.1.002
  66. 이무영(2003). 이혼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7. 이무영.이소희 (2003). 이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2), 39-61.
  68. 이선미.전귀연(2001).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03-220.
  69. 이옥수(2017). 연령에 따른 부부갈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갈등대처방식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이인숙(2002). 기혼여성의 우울과 배우자지지.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4), 482-493.
  71. 이정순(1991). 부부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2. 이지원(2003).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2), 207-216.
  73. 이현송 (1997). 이혼의 인구·사회경제적 결정요인. 가족과 문화, 2, 69-90.
  74. 이현송 (2008). 이혼의 경제적 충격의 추정. 가족과 문화, 20(1), 161-185.
  75. 정기원(2004). 사회경제 상황이 이혼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계열 자료의 분석. 한국인구학, 27(1), 57-80.
  76. 정민자.노현미.하쾌남(2015). 연령대에 따른 재판이혼 소송 중에 있는 부부의 이혼원인에 관한 분석. 가족법연구, 29(1), 389-409.
  77. 정윤경.최지현(2010).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과 자녀세대의 부부적응 및 결혼에 대한 가치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331-353.
  78. 정진영(1993).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가정자녀들의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지, 1, 81-108.
  79. 조성희(1999). 실직이후 부부의 이혼가능성. 가족과 문화, 11(2), 25-45.
  80. 조유리.김경신(2000).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광주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21.
  81. 채구묵(2018). SPSS와 AMOS를 이용한 고급통계학. 경기도: 양서원.
  82. 최민.임다정.권지혜.김민영(2019). 전업 주부와 취업 주부의 우울과 남편에 대한 긍정적 인식 사이에 부부 동반활동 빈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94-294.
  83. 최석만.우실하.최봉영.홍승표.장윤수.이태훈.이영찬.유승무.이재룡.국민호.이현지.오세근(2006). 유교적 사회질서와 문화, 민주주의.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84. 최혜경.노치영(1994). 기혼 남녀의 부부간 문제해경 행동 유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61-272.
  85. 통계청(2020). 2019년 혼인.이혼통계.
  86. 한경혜.김영희(1995). 이혼여성의 전배우자와의 관계 및 협력적 부모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가족학논집, 6, 103-128.
  87. 한국가정법률상담소(2020). 2019년도 상담통계.
  88. 홍백의.박은주.박현정.박진(2009).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3), 307-328. https://doi.org/10.20970/KASW.2009.61.3.013
  89. Amato, P. R. & Rogers, S. J.(1997). A longitudinal study of marital problems and subsequent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3), 612-624. https://doi.org/10.2307/353949
  90. Amato, P. R.(2000).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1269-128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1269.x
  91. Bodenmann, G. & Cina, A.(2008). Stress and coping among stable-satisfied, stable- distressed and separated/divorced Swiss couples: A 5-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24, 71-89.
  92. Bruze, G., Svarer, M. & Weiss, Y.(2015). The dynamics of marriage and divorce. Journal of Labor Economic, 33(1), 123-170. https://doi.org/10.1086/677393
  93. De Graaf, P. M. & Kalmijn, M.(2006). Change and stability in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vorce: A comparison of marriage cohorts in the Netherland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2(5), 561-572. https://doi.org/10.1093/esr/jcl010
  94. Driver, J. L., Tabares, A., Shapiro, A., Nahm, E. Y. & Gottman, J. M.(2003). Interactional patterns in marital success and failure: Gottman laboratory studies. In F. Walsh (Ed.), Normal family processes: Growing diversity and complexity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95. Fine, M. A., Ganong, L. H. & Demo, D. H.(2010). Divorce: A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 In S. J. Price, C. A. Price, & P. C. McKenry(Eds.), Families & change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transitions(4th Edition). Thousand Oaks, CA: Sage.
  96. Gottman, J. M.(1993). The roles of conflict engagement, escalation, and avoidance in marital interaction: A longitudinal view of five types of coup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1), 6-15. https://doi.org/10.1037/0022-006X.61.1.6
  97. Gottman, J. M.(1994). What predict div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cesses and marital outcome. Hillsdale, NJ: Lawrence Erllbaum.
  98. Gottman, J. M. & Levenson, R.W.(2000). The timing of divorce: Predicting when a couple will divorce over a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3), 737-745.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737.x
  99. Gottman, J. M. & Driver, J. L.(2005). Dysfunctional marital conflict and everyday marital interaction.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3, 63-78. https://doi.org/10.1300/J087v43n03_04
  100. Heaton, T. B. & Blake, A. M.(1999). Gender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marital disruption. Journal of Family Issues, 20(1), 25-45. https://doi.org/10.1177/019251399020001002
  101. Kalmijn, M., De Graaf, P. M. & A. R. Poortman.(2004). Interactions between Cultural and Economic Determinants of Divorce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75-8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4.00006.x
  102. Lebow, J. I.(2015). Separation and divorce issues in couple therapy. In Gurman, A. S., Lebow, J., & Snyder, D. K.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pp. 445-463.).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03. Lee, Y. J. & Bumpass, L.(2008).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ivorce/separation in South Korea: A focus on wife's current and desired employment characteristics. Development and Society, 37(2), 117-139.
  104. Patel, R. M.(2000). Understanding the functional family: Alternative family forms. In Glick, I. D., Berman, E. M., Clarkin, J. F., & Rait, D. S. (Eds.), Marital and family therapy(4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105. Poortman, A. R. & Kalmijn, M.(2002). Women's labour market position and divorce in the Netherlands: Evaluating economic interpretations of the work effect.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18, 175-202. https://doi.org/10.1023/A:1015520411449
  106. Roach, A. J., Fraizeier, L. P. & Bowden, S. R.(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3(3), 537-546. https://doi.org/10.2307/351755
  107. Teachman, J. D.(2002). Stability across cohorts in divorce risk factors. Demography, 39, 331-352. https://doi.org/10.1353/dem.2002.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