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메타버스 분야 국가 R&D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National R&D Trends in the Metaverse Field using Topic Modeling

  • 이정우 (NH농협금융지주 NH금융연구소) ;
  • 이소연 (NH농협금융지주 NH금융연구소)
  • 투고 : 2022.08.08
  • 심사 : 2022.09.29
  • 발행 : 2022.09.30

초록

전세계적으로 메타버스 산업이 부상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관련된 국가 전략 및 육성 체계가 마련되었다. 정책의 복잡성이 증대됨에 따라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메타버스 분야의 국가 R&D 동향을 진단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된 9,651개 R&D 과제에 대한 NTIS의 국가 R&D 정보를 수집하여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토픽 모델링에 기반하여 주요 주제를 식별하고 시계열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메타버스 분야 R&D 과제의 주요 토픽은 11개로 도출되었으며, 핫 토픽은 서비스·콘텐츠·플랫폼 개발 분야와 응용분야의 의료·수술 분야이었고, 콜드 토픽은 도시·환경·공간정보 분야였다. 정책 방향으로 전략적 R&D 관리와 메타버스 관련 법·제도 연구를 제안하였다.

With the rise of the metaverse industry worldwide, relevant national strategies and nurturing systems have been prepared in Korea. As the complexity of policie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data-based policymkaing is growing, and studies diagnosing national R&D trends in the metaverse field are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paper collected NTIS national R&D information for 9,651 R&D projects promoted from 2002 to 2020. And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and identified major topics based on the topic modeling, and considered time-series changes in the topics. Eleven major topics of R&D tasks in the metaverse field were derived, hot topics were service/content/platform development and medical/surgical fields of application fields, and cold topics were urban/environment/spatial information fields. Strategic R&D Management, metaverse-related laws, and institutional studies were proposed as policy dire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기획재정부, 2022년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안 주요내용(2022).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56462&menuNo=4010100 (accessed Aug., 5, 2022).
  2. 정부부처 합동발표, "확장된 가상세계(메타버스)를 위한 신산업 선도전략 발표(2022) .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Pid=112&mId=113&bbsSeqNo=94&nttSeqNo=3181303 (accessed Aug. 5, 2022).
  3. 윤기영, "메타버스와 미래전략,"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Monthly SW중심 사회, 제83호, 38-50쪽, 2021년 5월
  4. ASF, Metaverse Roadmap: Pathways to the 3DWeb(2007). https://www.metaverseroadmap.org/MetaverseRoadmapOverview.pdf (accessed Aug. 5, 2022).
  5. 정부부처 합동발표, 디지털 뉴딜 성공의 초석이 될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2020).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pageIndex=&bbsSeqNo=94&nttSeqNo=3179684&searchOpt=ALL&searchTxt= (accessed Aug. 5, 2022).
  6. 유철원, 정유한, "국내외 특허분석을 통한 메타버스 보안 관련 기술개발 동향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 제12권, 제1호, 165-186쪽, 2022년 4월
  7. 김태종, 안부영, 이원철, 강혜진, "뉴스 빅데이터 활용 메타버스 트렌드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2호, 203-216쪽, 2022년 2월
  8. 황영아, 한혜영,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메타버스 연구동향과 교육적 제안," 미래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51-69쪽, 2022년 4월
  9. 안재영, 심소연, 윤혜정,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버스 증강현실 연구 동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제23권, 제2호, 123-142쪽, 2022년 6월 https://doi.org/10.15813/KMR.2022.23.2.007
  10. 박상언, 강주영, 정석찬, "파이썬 텍스트 마이닝 완벽가이드," 위키북스, 2022년 2월
  11. D.M. Blei, A.Y. Ng and M.I. Jorda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 3, pp. 993-1022, 2003.
  12. T.L. Griffiths and M. Steyvers,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 101, pp. 5228-5235, Apr. 2004.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13. 모성훈, 임철현, 김현재, 이정우,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물주소 도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0권, 제2호, 9-16쪽, 2019년 6월
  14. 김창식, 최수정, 곽기영, "토픽모델링과 시계열회귀분석을 활용한 정보시스템분야 연구동향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1143-1150쪽, 2017년 10월
  15. 김창식, 박종순, "빅데이터 연구동향 분석: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1-7쪽, 2019년 3월 https://doi.org/10.17662/KSDIM.2019.15.1.001
  16. C. Huang, A.Notten and N. Rasters, "Nanoscience and Technology Publications and Patents: A Review of Social Science Studies and Search Strategies,"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Vol. 36, No. 2 pp. 145-172 Jan. 2010.
  17. S.K. Arora, A.L. Porter, J.Youtie and P. Shapira, "Capturing New Developments in an Emerging Technology: An Updated Search Strategy for Identifying Nanotechnology Research Outputs," Scientometrics, Vol. 95, No. 1, pp. 351-370, Apr. 2013. https://doi.org/10.1007/s11192-012-0903-6
  18. 최경아,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와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국토연구원 워킹페이퍼, 1-55쪽, 2022년 5월
  19. 통계청, 일상생활 속에 들어온 가상현실(VR)과 증강 현실(AR)(2016), https://www.kipo.go.kr/ko/kpoBultnDetail.do, (accessed Aug. 5, 2022).
  20. 설연수, 주정민, 유종원, "디지털 문화유산의 메타버스 활용방안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0권, 제4호, 110-119쪽, 2021년 12월
  21. 윤효석, 박창주, 박정연, "휴먼-메타버스 인터랙션의 기회와 발전방향,"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1권, 제6호, 9-17쪽, 2022년 7월
  22. 류성한, 윤혜정, 박재현, 장영훈, "메타버스 개념 및 현황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 방향 제안," 지식경영연구, 제23권, 제2호, 1-13쪽, 2022년 6월 https://doi.org/10.15813/KMR.2022.23.2.001
  23. 배성훈, 김재신,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이정우, 김민관, 한창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나노기술 연구동향 국가간 비교분석 - 탄소나노소재분야 중심," 한국생산제조학회, 제26권, 제2호, 172-184쪽, 2017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