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Items for the Diagnosis of Difficulties in Learning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학교 수학 학습 어려움 진단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 연구

  • Received : 2022.08.10
  • Accepted : 2022.09.21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to diagnose difficulties in learning mathematics and misconstructions that elementary students have. With tho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documents, we established learning trajectories for the following content areas in grades 3 to 6: number and operation, regularity, data and chance, geometry, and measurement. Then, the research team created the assessment items targeting a specific stage in the learning trajectories and including item options to identify possible misconceptions. Based on the unified validity theory, we reported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assessment development and the evidence for the content, substance, and structural validity of the assessment. We collected the data of 675 elementary students. Rasch measurement modeling was applied, and Cronbach's alpha was estimated. We considered how to report students' assessment results to teachers appropriately and immediately, which suggest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s. We also suggested how to use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n online and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팬데믹으로 인하여 기존의 사회 및 교육적 체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교육 격차로 인한 학습자 맞춤형 교육 체계와 같은 여러 가지 교육적 대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별로 세밀한 진단을 통해 학습 과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피드백 및 보정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학 학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및 오개념을 진단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학 학습 진단 평가 문항은 전국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675명에게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평가 문항 개발 과정, 평가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과정, 현장 적용 과정 및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 교수·학습 지원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코로나19 감염증의 장기화 및 뉴노멀 시대의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수학 학습 어려움 및 오개념 진단 평가 문항의 활용 방안 및 관련한 교육 정책에 제언을 주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보고서(BD21010011)의 일부를 발췌 및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음.

References

  1.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 교육부(2020). 코로나 19, 신학기 유초중고 개학 연기 및 대응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자료출처 (2020.2.23.): https://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40&boardSeq=7982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201&opType=N
  3.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89671&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4. 김명화(2012).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보고에 인지진단 모델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18(3), 5-24.
  5. 김부미(2005).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수미(2003). 수학과 오류의 진단과 처방에 관한 교사용 자료 개발 연구. 학교수학, 5(2), 209-221.
  7. 김수철, 김성여, 김해윤, 손정화, 이금선, 조현공, 허난(2020). 수학 학습 위계에 따른 수학 평가 보정모델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8. 김화경, 권석일, 이현우, 임완철, 송민호, 권혜진(2012). 자기주도 수학 학습 지원 체제 구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9. 김희정, 고은성, 이동환, 조진우, 조형미, 최지선, 한채린, 황지현(2020). 수학 학습 어려움 진단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10. 류한영(1999).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들의 방정식에 대한 오류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윤범, 박혜숙, 도종훈, 한대희, 이미혜, 최은영, 박은미, 이미령(2014).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 과정 내용 계통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12. 양기열, 장유선(2010). 고등학생들의 함수단원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유형 분석과 교정.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23-43.
  13. 이헌수, 김영철, 박영용, 김민정(2015).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259-279.
  14. 조영호, 표용수(2009). 학습단계별 오류교정을 통한 수학과 학력신장 방안. 교육연구, 17, 101-127.
  15. 최승현, 권점례, 이봉주(2013).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을 위한 수학 진단평가 도구 및 보정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16. 최지선(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허난, 김수철(2020). 수학 학습 위계에 따른 수학 평가·보정 자료 개발 연구: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6(4), 437-454. https://doi.org/10.7858/EAMJ.2020.030
  18. Adams, R. J. (2005). Reliability as a measurement design effect.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31(2-3), 162-172. https://doi.org/10.1016/j.stueduc.2005.05.008
  19. Ausubel, D.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 Stratton.
  20. Bachelard, G. (1991). A terra e os devaneios da vontade.
  21. Brousseau, G. (1983). Les obstacles epistemologiques et les problemes en mathematiques. Researches en Didactique des Mathematicques, 4(2), 165-198.
  22. Carroll, W. M., & Porter, D. (1997). Invented strategies can develop meaningful mathematical procedure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3(7), 370-374. https://doi.org/10.5951/TCM.3.7.0370
  23. Carpenter, T. P., Franke, M. L., Jacobs, V. R., Fennema, E., & Empson, S. B. (1998). A longitudinal study of invention and understanding in children's multidigit addition and subtraction. J 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9(1), 3-20. https://doi.org/10.2307/749715
  24. Choi, K., Hwang, J., Jensen, J., & Hong, D. (2022). Teachers' use of assessment data for instructional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J 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53(4), 1010-1017. https://doi.org/10.1080/0020739X.2021.1880653
  25. Harrison, G. M., Seraphin, K. D., Philippoff, J., Vallin, L. M., & Brandon, P. R. (2015). Comparing models of nature of science dimensionality based o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8), 1321-1342. https://doi.org/10.1080/09500693.2015.1035357
  26. Hikmasari, P., Kartono, & Mariani, S. (2017). Analyze of Diagnostic Assessment and Remedial Teaching Result of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chievement by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Unnes J 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6(2), 215-222.
  27. Lord, F. M., & Novick, M. R. (2008). Statistical theories of mental test scores. Information Age Publishing.
  28. Messick, S. (1995). Validity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alidation of inferences from persons' responses and performances as scientific inquiry into score meaning. American psychologist, 50(9), 741. https://doi.org/10.1037/0003-066X.50.9.741
  29.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and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Washington, DC: Author.
  3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The Mathematical Sciences in 2025.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1. Radatz, H. (1980). Students' errors in the mathematical learning process: a survey.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 16-20.
  32. Rittle-Johnson, B., & Alibali, M. W. (1999).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of mathematics: Does one lead to the othe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1), 175-189. https://doi.org/10.1037/0022-0663.91.1.175
  33. Schneider, M., & Stern, E. (2010). The developmental relations between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A multimethod approach. Developmental psychology, 46(1), 178-19 https://doi.org/10.1037/a0016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