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웹소설 사용자 이해를 위한 데이터 기반 페르소나 분석: 정량적 행동 패턴 데이터 중심으로

Data-driven Persona Analysis for Understanding Web Novel Users: Focusing on Quantitative Behavioral Pattern Data

  • 하상집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 박도형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Ha, Sangjip (Graduate School of Business IT, Kookmin University) ;
  • Park, Do-Hyu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IT, Kookmin University)
  • 투고 : 2022.07.28
  • 심사 : 2022.09.04
  • 발행 : 2022.09.30

초록

본 연구는 웹소설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웹소설 사용자의 행동 유형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웹소설 이용자들이 어떤 주된 이용 동기를 갖고 작품을 읽는지를 다른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동기를 참조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추가로 이용자의 구체적인 행동 유형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웹소설 이용 동기는 '타인과의 대인관계 및 정보 습득', '여가 활동', '현실도피/긴장 해소'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이용 동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군집분석을 한 결과로 여가 활동 이용 동기가 특히 높은 유형의 집단인 '취미 생활'형, 현실 도피 및 긴장 해소 특성이 매우 높은 집단인 '스트레스 해소'형, 타인과의 대인 관계 및 정보 습득이 높은 집단인 '커뮤니케이션'형,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다른 동기 특성 모두 높게 나오는 '다목적'형으로 분류되었다. 이후에 군집 유형 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차이가 있는 행동 유형을 페르소나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으로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 동기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 공헌으로는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행동 패턴을 결합한 페르소나를 구성하여 실제 대표적인 사용자에 가깝도록 시각화하여 실제 작가, 플랫폼 담당자, 사용자들에게 실무적으로 유용한 지표를 마련하는 것으로 웹소설 서비스의 고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web novel users, this study was intended to quantitatively verify the user's behavioral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For this purpose, the direction of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web novel users were investigated by referring to the motives of other digital content users. In addition, specific behavioral types of users were also collect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for using web novels was found to b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with others', 'leisure activities', and 'escape from reality/relieve tension'. After that, the groups were classified as to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motives of use. As a result, the 'hobbies' type, a group with a particularly high motivation for using leisure activities, the 'stress relief' type, a group with very high escapism and tension relief characteristics, and a group with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with others The 'communication' type was classified as a 'multipurpose' type with high overall motivation characteristics. Then, in order to find ou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ypes, persona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different behavior type data. Through thi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motives of web novel users. As a practical contribution, the persona was formed by combining the users' motives and behavioral patterns and visualized to be close to the actual representative use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web novel service by providing useful indicators for actual writers, platform managers, and use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A2A01040055)

참고문헌

  1. 강보라, 장민지 (2020). 웹소설 IP 의 확장 및 콘텐츠 프랜차이즈 전략-국내 웹소설 IP 의 확장 경향 및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20), 129-152. https://doi.org/10.34227/TJOCC.2020..20.129
  2. 권용현 (2020). 연재형 콘텐츠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웹소설 시장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21(1), 1-32.
  3. 김경애 (2015). 로맨스 웹소설의 구조와 이념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62), 63-94.
  4. 김경애 (2021). 한국 웹소설 독자의 특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2(7), 551-558.
  5. 김경일 (2014). 전자책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자책이용동기,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40(3), 5-28.
  6. 김상현, 박현선 (2020). 콘텐츠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1(4), 175-193. https://doi.org/10.15813/KMR.2020.21.4.009
  7. 김준현 (2019). 웹소설 장에서 사용되는 장르 연관 개념 연구. 현대소설연구, (74), 107-137.
  8. 김훈순, 김민정 (2004). 팬픽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본 소녀들의 성 환타지와 정치적 함의. 한국언론학보, 48(3), 330-353.
  9. 남유민 (2019). 한일 웹소설에 관한 일고찰-웹소설 플랫폼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118), 107-126.
  10. 박수철, 반옥숙, 박주연 (2015).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16(2), 47-70.
  11. 박신영 (2010).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의 성향이 이용동기, 장르 선호도 및 드라마 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시청집단의 현실도피와 판타지 성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1), 166-201.
  12. 박신영 (2013).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용 동기와 이용 정도에 따른 플로우 경험. 방송통신연구, (81), 97-126. https://doi.org/10.22876/KJBTR.2013.81.004
  13. 신용재, 이동현 (2016).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이 지식경제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지식경영연구, 17(1), 73-88. https://doi.org/10.15813/KMR.2016.17.1.004
  14. 안상원 (2019). 한국 웹소설 '로맨스판타지'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 인문콘텐츠, (55), 219-234.
  15. 유세경, 김명소, 이윤진 (2004).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18(1), 245-288.
  16. 이건웅, 위군 (2017). 한중 웹소설의 발전과정과 특징. 글로벌 문화콘텐츠, (31), 159-173.
  17. 이승주, 정현욱 (2019). 중국인의 웹소설 이용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 주관성연구, (47), 145-162.
  18. 이승환 (2017). 웹출판의 발전과 과제. 한국출판학연구, 43(2), 97-130.
  19. 정연수, 이승엽, 정대율 (2015). SNS의 이용동기가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5(4), 265-283.
  20. 조성현, 이민형, 최한별, 이희석 (2021). 미디어 작품 캐릭터 가치 측정 연구: 네트워크 중심성 척도와 검색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식경영연구, 22(4), 1-26. https://doi.org/10.15813/KMR.2021.22.4.001
  21. 조수연, 오하영 (2020). 웹소설 키워드를 통한 이용 독자 내적 욕구 및 특성 파악.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4(2), 158-165. https://doi.org/10.6109/JKIICE.2020.24.2.158
  22. 최믿음, 전범수 (2014). 웹툰 이용동기 및 구성 요소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연구, 26(2), 93-120. https://doi.org/10.22854/SBC.2014.26.2.93
  23. 한혜원 (2012). 온라인 팬픽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27), 117-128.
  24. 한혜원, 정은혜 (2015). 한국 웹 기반 여성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연구. 한국문예창작, 14(2), 81-105.
  25. 허만욱 (2011a). 문화콘텐츠산업에서 판타지 문학의 서사 전략과 발전 방안 연구. 우리문학연구, (32), 427-456.
  26. 허만욱 (2011b). 한국 판타지 장르문학의 흐름과 발전 전략연구. 우리문학연구, (34), 485-514.
  27. Blomkvist, S. (2002). Persona-an overview. Theoretical Perspectives in HCI at IPLab.
  28. Cooper, A. (1999). The inmates are running the asylum. Software-Ergonomie'99, 53, 17.
  29. Goodman-Deane, J., Waller, S., Demin, D., GonGGleG-de-Geredia, A., Bradley, M., & Clarkson, J. P. (2018). Evaluating inclusivity using quantitative personas. DRS International Conference, 25-28.
  30. KatG, E., Blumler, J. G., & Gurevitch, M. (1973).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37(4), 509-523. https://doi.org/10.1086/268109
  31. Konstantakis, M., Alexandridis, G., & Caridakis, G. (2020). A personaliGed heritage-oriented recommender system based on extended cultural tourist typologies. Big Data and Cognitive Computing, 4(2), 12. https://doi.org/10.3390/bdcc4020012
  32. Lin, C. A. (1999). Uses and gratifications. In Clarifying communication theories: A hands-on approach (pp. 199-208). Wiley.
  33. Matthews, T., Judge, T., & Whittaker, S. (2012). Gow do designers and user experience professionals actually perceive and use personas? CHI '12: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219-1228.
  34. McGinn, J., & Kotamraju, N. (2008). Data-driven persona development. CHI '08: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521-1524.
  35. Pruitt, J., & Grudin, J. (2003). Personas: Practice and theory. DUX '03: Proceedings of the 2003 Conference on Designing for User Experiences, 1-15.
  36. Seidelin, C., Jonsson, A., Gogild, M., Romer, J., & Diekmann, P. (2014). Implementing personas for international markets: A question of UX maturity. In Proceedings at SIDER'14, Stockholm, Swe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