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fluence of UN Public Procurement Participation on SMEs Sustainability in Korea

UN 공공 조달 참여가 우리나라 중소기업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Received : 2022.04.18
  • Accepted : 2022.08.21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enter into overseas markets to overcome the limited size of domestic markets. However, there are many barriers to enter the overseas markets such as difficulty to find buyers and make contract with them, payment risks, unfriendly foreign policies, and etc. Companies have used to various strategies to get opportunities of overseas markets. One of them is UN public procurement. Despite many advantages, limited number of companies are participating in the procurement. Individual governments are providing policies to support local companies to participate in the UN public procurement. However it is not easy to encourage firms, especially SMEs to participate in the procurem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firm and product determinants of participating in UN public procure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hows social responsibility and global orient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regarding th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UN public procurement participation and sustainability in a given firm could be empirically supported. Last, we suggest combining country- and industry-level data to investigate UN public procurement participation as an interesting topic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represents various determinants to encourage UN public procurement participation. They may contribute to enhance firm performance such as sustainability.

많은 기업이 포화한 내수시장을 벗어나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어 발굴 및 컨텍, 대금결제의 위험성, 최근 쟁점이 되는 자국 보호주의 정책의 강화 등 여러 이유로 해외 진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기업의 UN 공공 조달 참여를 장려하기 위하여 여러 노력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UN 공공 조달의 다양한 기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한된 규모의 기업만이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UN 공공 조달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요인과 제품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UN 공공 조달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글로벌 지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UN 공공 조달 참여와 지속가능성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에 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들은 기업의 UN 공공 조달 참여 의향 수준을 높이며 최종적으로 지속가능성 등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1S1A5B8096365)

References

  1. 강석민 (2016). 협력 네트워크에 관한 내부 및 외부 선행요인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협력 네트워크의 영향. 기업과혁신연구, 9(1), 13-23.
  2. 강석민, 김대원 (2014).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자본, 지식활용, 제품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지식경영연구, 15(4), 207-221. https://doi.org/10.15813/kmr.2014.15.4.011
  3. 권정언 (2013). 기업가지향성 및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혁신성과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1(4), 1536-1576.
  4. 김기선 (2013). 공공 조달에 있어 사회적 책임의 고려에 관한 외국의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5. 김나미, 김동수, 이종선 (2021). 중소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사회적 책임 활동 다양성과 성과. 전략경영연구, 24(1), 83-103. https://doi.org/10.17786/JSM.2021.24.1.004
  6. 김대식 (2014).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공공 조달의 역할과 구현 방안. 지방계약연구, 5(1), 3-16.
  7. 김재경 (2013). 기업의 친환경경영(Institutional Commitments)과 환경 성과: 기업 규모가 중요한가? 환경정책, 21(1), 163-184.
  8. 김재룡 (2013). KS인증과 ISO인증이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9. 김정호 (2021). 중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제연구, 39(2), 155-174.
  10. 김종춘 (2018). 글로벌 조달시장 진출 가이드. KOTRA, 18-046, 15.
  11. 김창봉, 구윤철 (2016). 한국 수출입 제조 기업의 국제표준인증 활용과 파트너십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18(2), 131-150.
  12. 김태호 (2019). 제품생산에서 Modularity를 통한 표준화 방안. 한국전문경영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
  13. 남경두, 이진철, 이홍균 (2016). 수출기업의 기업가정신, 시장지향성, 환경변화요인이 해외마케팅 역량에 미치는 영향. 무역연구, 12(1), 135-140.
  14. 노용휘, 정원호, 최동현 (2015). 표준화 교육 실태 및 표준화 교육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술혁신연구, 23(1), 37-60. https://doi.org/10.14383/SIME.2015.23.1.37
  15. 노은식, 이정원 (2016). 중소기업에서 글로벌 지향성, 마케팅 역량,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발표논문집, 526.
  16. 라영수 (2018).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성과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연구, 18(2), 93-106.
  17. 송상호 (2006). 중소기업에서 지식경영 결정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지식경영연구, 6(2), 47-66.
  18. 신동엽 (2002). 조직간 협력 네트워크와 신뢰기반형 지배구조: 다른 나라 기업들 사이의 조직간 협력 네트워크에서 파트너 기업간 신뢰의 결정요인과 성과. 전략경영연구, 5(2), 49-84.
  19. 신현식 (2013). 광산업 제품 품질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 양영익 (2019). 국내제조업체의 집중화, 고객지향성, 제품혁신, 성과간의 관계와 글로벌지향성의 조절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22(1), 19-42.
  21. 오현택 (2010). 지속가능경영의 지속가능성 측정. 경영경제연구, 33(1), 44-77.
  22. 오홍진 (2012). 호텔기업의 친환경 경영에 관한 고찰. 여행학연구, 33, 1-26.
  23. 윤경준 (2009).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구매정책평가.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9(2), 117-142. https://doi.org/10.23036/KAPAE.2009.19.2.005
  24. 윤기관, 성봉석 (2008).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제통상연구, 13(1), 179-202.
  25. 이동현, 김동희 (2006). 네트워크 특성이 전략적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략경영연구, 9(1), 101-120.
  26. 이미정 (2015). 국제기구 조달시장 진출지원정책에 대한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8(4), 89-115. https://doi.org/10.22896/KARIS.2015.18.4.004
  27. 이미정, 조희문, 권정인, 김혜민 (2015). 중남미 지역 공공조달시장 진출전략 연구. 전략지역심층연구, 15(4), 22-23.
  28. 이상수 (2012). 공공 조달을 통한 사회 환경적 가치의 구현-EU의 공공 조달 관련법제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33, 124-135.
  29. 이성균 (2013). 소비자 특성이 친환경 의식과 친환경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속성 강도와 구매상황의 조절변수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대학원.
  30. 이수정, 윤정구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EO의 비전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3(4), 31-54. https://doi.org/10.15813/KMR.2012.13.4.003
  31. 이양기, 강봉주 (2021). WTO/TBT 제품인증획득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제연구, 39(1), 138-156.
  32. 이양복 (2017). 중소기업의 ICT 역량, 글로벌지향성 및 수출 마케팅의 관계에 대한 연구. 무역학회지, 42(2), 251-276.
  33. 임몽로, 조혁수, 백설, 번영 (2018). 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활용한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 분석. 통상정보연구, 20(1), 297-318.
  34. 임성은 (2021). 교회의 신뢰회복 방법으로서 인증제 도입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74, 951-977.
  35. 전준수, 조용현 (2007). 물류기업 중심의 기업 간 협력네트워크가 정보공유 및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무역학회지, 32(3), 221-245.
  36. 조윤주, 전숙진 (1997). 환경제품과 환경마크제도의 연계성확보 방안. 환경보전, 19(4), 70-74.
  37. 조지현, 박재기 (2014). 태생적 글로벌 기업의 글로벌 지향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7(12), 2099-2117.
  38. 천덕희, 강인원, 박찬욱 (2010). 여행사의 지식공유 환경요인이 지식공유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1(3), 47-58. https://doi.org/10.15813/KMR.2010.11.3.004
  39. 천희영 (2017). PPL광고와 원산지효과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구매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40. 한상설, 임덕순 (2013). 기업가 정신, 해외네트워크, 수출지원 정책이 신속한 글로벌화에 미치는 영향. 무역학회지, 38(5), 385-407.
  41. 황보연 (2005). 친환경경영은 선택 아닌 필수: 녹색기업으로 만들어드려요. 이코노미, 21, 1-5.
  42. 황선자, 방준식 (2010). 공공 조달정책과 노동조건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 10, 1-153.
  43. Barclay, D., Thompson, R., & Higgins, C. (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2(2), 285-309.
  44. Flammer, C. (2018). Competing for government procurement contract: The rol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9(5), 1299-1324. https://doi.org/10.1002/smj.2767
  45. Heo, M. G. (2011). Social capital, knowledge creation, and innovation.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9(1), 41-78.
  46. Heras-Saizarbitoria, I. (2011). Internalization of ISO 9000: An exploratory study.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 111(8), 1214-1237. https://doi.org/10.1108/02635571111170776
  47. Huszagh, S. M. (1986). Global market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Columbia Journal of World Business, 31-43. https://doi.org/10.1016/0022-5428(67)90004-X
  48. Knight, G. A. (1997). Cross-cultur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cale to measure firm entrepreneurial orient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2(3), 213-225. https://doi.org/10.1016/S0883-9026(96)00065-1
  49. Kumar, N., & Ganguly, K. (2021). Non-financial e-procurement performance measures: Their interdependence and impact on production cos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70(1), 41-64. https://doi.org/10.1108/IJPPM-07-2019-0353
  50. Salop, S. C., & Scheffman, D. T. (1987). Cost-raising strategie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36(1), 19-34. https://doi.org/10.2307/2098594
  51. Sorenson, R. L., Folker, C. A., & Brigham, K. H. (2008). The collaborative network orientation: Achieving business success through collaborative relationship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2(4), 615-634.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8.00245.x
  52. Yin, E., Johnson, J., & Bao, Y. (2008). Global mindedness and the performance of Chinese multinationals. China Goes Global Conference Proceeding, Harvard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