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성돈 (2013). 형법각론. SKKUP.
- 김일수 (2007). 한국법에 나타난 효도법의 원형-특히 형법을 중심으로. 한국효학회 1(4), 43-54.
- 김준성 (2011). 형법상 존속살해죄에 있어서 효(孝)사상의 적용문제. 법학연구, 21(4), 117-140.
- 김지현 (2007).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용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분석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RISS
- 김진혁 (2013). 패륜범죄의 원인 및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9(2), 49-69.
- 대검찰청 (2021). 2021 범죄분석.
- 박남미 (2018). 존속살해죄와 영아살해죄의 위헌성 검토와 비속살해에 대한 고찰 - 합리적인 양형 방향의 모색 -. 비교형사법연구, 20(2), 61-108. https://doi.org/10.23894/KJCCL.2018.20.2.003
- 박달현 (2013). 존속살해죄 위헌 논거의 허와 실: 새로운 해석. 저스티스, 139, 105-137.
- 박성훈, 김한균, 김영규, 박철현 (2014).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평가 연구(VIII).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70.
- 박소현 (2014). 법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교적 사법전통. 대동문화연구, 87, 359-392.
- 박용철 (2012). 형사법상 존속과 비속의 차별적 취급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20(1), 535-558.
- 박재흥 (2009).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사회, 81, 10-34.
- LG경제연구원 (2011. 6. 13). 한국 소비자들의 7가지 라이프스타일. Retrieved from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17085
- 박지선, 김정희 (2011).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19(2), 77-96.
- 박찬걸 (2010). 존속대상범죄의 가중처벌규정 폐지에 관한 연구: 존속살해죄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1(2), 175-202.
- 박철현, 장규원, 정현미, 진수명 (1999).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 기독뉴스 (2020. 9. 11). '나일리지'와 어른다운 세상. Retrieved from http://www.kidoknews.net/column/detail.php?id=6332
- 서경원, 김혜숙 (2008). 집단규범이탈정도와 집단정체성에 따른 검은 양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238-239.
- 안병훈, 최상섭, 안성호, 하태현, 김선범, 권경희, 김정현 (2008).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존속살인의 임상적 특성. 신경정신의학, 47(4), 334-340.
- 양형위원회 (2021). 2021 양형기준
- 여성가족부 (2021). 2020년 가족실태조사 분석연구.
- 윤명숙, 김새봄 (2017). 비속 살해 양형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51-352
- 이승호 (2001). [분야별 논점강좌]형법-존속살해죄와 영아살해죄에서 직계존속 개념의 비교. 고시연구, 28(4), 82-90.
- 이재방 (2017). 살인범죄 양형기준 고찰 - '범죄유형화'와 '특별양형인자'를 중심으로 -. 홍익법학, 18(4), 227-251. https://doi.org/10.16960/JHLR.18.4.201712.227
- 이철호 (2012). 존속살해 범죄와 존속살해죄 가중처벌의 위헌성 검토. 한국경찰학회보, 14(2), 213-240.
- 이훈구 (2002). 존속살해사건의 심리학적 조명.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2(1), 308-314.
- 서울경제 (2019. 4. 29). 돈 때문에...폭력에 못 견뎌...존속살해 작년 60% 급증. Retrieved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I1ISDGZQ
- 임웅 (2012). 형법각론. 법문사.
- 정성국, 이재란, 김진영, 탁기주, 오익준, 명의철 (2014). 한국의 존속살해와 자식살해 분석. 대한법의학회지, 38(2), 66-72.
- 정철호 (2007). 존속살해가중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독사회과학논총, 17(2), 307-324.
- 머니투데이 (2020. 5. 7). '존속 살해' 미국의 7배...韓 가족이 흔들린다. Retrieved fr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50708372683623
- 조국 (2003). [발언] '존속살해죄'는 패륜아들의 범죄인가?. 당대비평, 129-139.
- 조상제 (2001). 현행 존속살해가중의 문제점. 형사법연구, 16, 179-184
- 주현경 (2015). 형벌가중구성요건 착오에 대한 형법 제15조 제1항 적용방법. 법학연구, 26(3), 145-180.
- 쿠키뉴스 (2021. 5. 31). "나도 어쩔 수 없는 유교걸" 자조하는 MZ세대. Retrieved from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5280189
- 최인섭, 김지선 (1995). 존속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63
- 최종고 (1997). 한국에서의 유교와 법. 한국법제연구원, 12, 130-157.
- 통계계발원 (2008). 한국의 사회동향 2008.
- 통계개발원 (2020). 한국의 사회동향 2020.
- 하지환 (2016). 존속살해죄 특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족제도와 형법 제정 경위를 중심으로 -. 법학논집, 21(1), 223-255.
- 형법 제259조 제2항 (2002년 3월 28일).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detcInfoP
- 형법 제250조 제2항 위헌소원 (2013년 7월 25일).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detcInfoP
- 형법개정연구회 (2009). 형사법개정연구(IV) 형법각칙 개정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675
- 홍영오, 김빛나, 손지선 (2019). 살인범죄의 실태와 유형별 특성: 가족살인범죄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43.
- 홍지아, 천혜영 (2011). 존속살인 사건 보도기사의 비판적 담론분석. 현상과 인식 35(4), 269-299.
-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 Carlsmith, K. M. (2006). The roles of retribution and utility in determining punishment. Jou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 437-451. https://doi.org/10.1016/j.jesp.2005.06.007
- Cutler, J., Nitschke, J. P., Lamm, C. & Lockwood P. L. (2021). Older adults across the globe exhibit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but also greater in-group preferences. Nat Aging 1, 880-888. https://doi.org/10.1038/s43587-021-00118-3
- Juliette Morillot. (2016. 12. 12). Coree du Sud la jeunesse veut destituer le confucianisme, Asialyst. Retrieved from https://asialyst.com/fr/2016/12/12/coree-du-sudjeunesse-veut-destituer-confucianisme/
- Lockwood, P. L., Abdurahman, A., Gabay, A. S., Drew, D., Tamm, M., Husain, M., & Apps, M. A. J. (2021). Aging Increases Prosocial Motivation for Effort. Psychological Science, 32(5), 668-681. https://doi.org/10.1177/0956797620975781
- Matsumoto Y, Yamagishi T, Li Y, Kiyonari T. (2016). Prosocial Behavior Increases with Age across Five Economic Games. PLoS ONE 11(7), e015867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8671
- Wong. M., Gardiner. E., Lang. W., & Coulon. L. (2008).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motivation: do they exist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8), 878-890. https://doi.org/10.1108/02683940810904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