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the Judgment of Generation Based on Types of Murder

존속·비속 살인에 대한 세대별 살인사건 판단의 차이

  • Received : 2022.07.25
  • Published : 2022.07.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judgment of murder cases by participants'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murder. 196 adults in their 20s and older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scenarios of parricide, filicide, and murder, then responded to the judgment(ex. judgment of the perpetrator, degree of deviation from social norms, and judgment of victim responsibility). Finally, 128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in effect of the murder type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generation and the murder type were not shown in all dependent variable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judgment of the perpetrator (e.g., perpetrator blame, perpetrator responsibility, intentional crime, etc.), indicating that millennials made unfavorable judgments to the perpetrator. Especially, in the case of parricide, it was found that millennials made unfavorable judgments to perpetrators than older generations. Also,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older generation tended to make unfavorable judgments toward the perpetrator of murder rather than the perpetrator of parricide.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reconsider the 'victim of survivors' factor, which is considered as a weighing of an offense for special sentencing factors.

본 연구는 살인유형에 따라 참가자의 세대별 살인사건 판단 차이가 존재하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존속살해, 비속살해, 보통살인 중 무선할당 된 한 가지 살인사건 시나리오를 읽은 뒤, 사건 판단(가해자에 대한 판단, 문화적 전통 일탈 정도, 피해자 책임 판단)에 대해 응답하였고, 최종적으로 밀레니얼세대 67명, 기성세대 61명으로 총 128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살인유형의 주효과와 살인유형과 세대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해자에 대한 판단(예: 가해자 비난, 가해자 책임, 범죄의 고의성 등)에서 세대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밀레니얼세대가 기성세대보다 가해자에게 비우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존속살해의 경우, 밀레니얼세대가 기성세대보다 가해자에게 비우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성세대 참가자는 존속살해 가해자보다 보통살인 가해자에게 비우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특별양형인자의 가중요소로 고려되고 있는 '존속인 피해자' 요인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돈 (2013). 형법각론. SKKUP.
  2. 김일수 (2007). 한국법에 나타난 효도법의 원형-특히 형법을 중심으로. 한국효학회 1(4), 43-54.
  3. 김준성 (2011). 형법상 존속살해죄에 있어서 효(孝)사상의 적용문제. 법학연구, 21(4), 117-140.
  4. 김지현 (2007).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용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분석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RISS
  5. 김진혁 (2013). 패륜범죄의 원인 및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9(2), 49-69.
  6. 대검찰청 (2021). 2021 범죄분석.
  7. 박남미 (2018). 존속살해죄와 영아살해죄의 위헌성 검토와 비속살해에 대한 고찰 - 합리적인 양형 방향의 모색 -. 비교형사법연구, 20(2), 61-108. https://doi.org/10.23894/KJCCL.2018.20.2.003
  8. 박달현 (2013). 존속살해죄 위헌 논거의 허와 실: 새로운 해석. 저스티스, 139, 105-137.
  9. 박성훈, 김한균, 김영규, 박철현 (2014).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평가 연구(VIII).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70.
  10. 박소현 (2014). 법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교적 사법전통. 대동문화연구, 87, 359-392.
  11. 박용철 (2012). 형사법상 존속과 비속의 차별적 취급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20(1), 535-558.
  12. 박재흥 (2009).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사회, 81, 10-34.
  13. LG경제연구원 (2011. 6. 13). 한국 소비자들의 7가지 라이프스타일. Retrieved from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17085
  14. 박지선, 김정희 (2011).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19(2), 77-96.
  15. 박찬걸 (2010). 존속대상범죄의 가중처벌규정 폐지에 관한 연구: 존속살해죄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1(2), 175-202.
  16. 박철현, 장규원, 정현미, 진수명 (1999).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7. 기독뉴스 (2020. 9. 11). '나일리지'와 어른다운 세상. Retrieved from http://www.kidoknews.net/column/detail.php?id=6332
  18. 서경원, 김혜숙 (2008). 집단규범이탈정도와 집단정체성에 따른 검은 양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238-239.
  19. 안병훈, 최상섭, 안성호, 하태현, 김선범, 권경희, 김정현 (2008).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존속살인의 임상적 특성. 신경정신의학, 47(4), 334-340.
  20. 양형위원회 (2021). 2021 양형기준
  21. 여성가족부 (2021). 2020년 가족실태조사 분석연구.
  22. 윤명숙, 김새봄 (2017). 비속 살해 양형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51-352
  23. 이승호 (2001). [분야별 논점강좌]형법-존속살해죄와 영아살해죄에서 직계존속 개념의 비교. 고시연구, 28(4), 82-90.
  24. 이재방 (2017). 살인범죄 양형기준 고찰 - '범죄유형화'와 '특별양형인자'를 중심으로 -. 홍익법학, 18(4), 227-251. https://doi.org/10.16960/JHLR.18.4.201712.227
  25. 이철호 (2012). 존속살해 범죄와 존속살해죄 가중처벌의 위헌성 검토. 한국경찰학회보, 14(2), 213-240.
  26. 이훈구 (2002). 존속살해사건의 심리학적 조명.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2(1), 308-314.
  27. 서울경제 (2019. 4. 29). 돈 때문에...폭력에 못 견뎌...존속살해 작년 60% 급증. Retrieved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I1ISDGZQ
  28. 임웅 (2012). 형법각론. 법문사.
  29. 정성국, 이재란, 김진영, 탁기주, 오익준, 명의철 (2014). 한국의 존속살해와 자식살해 분석. 대한법의학회지, 38(2), 66-72.
  30. 정철호 (2007). 존속살해가중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독사회과학논총, 17(2), 307-324.
  31. 머니투데이 (2020. 5. 7). '존속 살해' 미국의 7배...韓 가족이 흔들린다. Retrieved fr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50708372683623
  32. 조국 (2003). [발언] '존속살해죄'는 패륜아들의 범죄인가?. 당대비평, 129-139.
  33. 조상제 (2001). 현행 존속살해가중의 문제점. 형사법연구, 16, 179-184
  34. 주현경 (2015). 형벌가중구성요건 착오에 대한 형법 제15조 제1항 적용방법. 법학연구, 26(3), 145-180.
  35. 쿠키뉴스 (2021. 5. 31). "나도 어쩔 수 없는 유교걸" 자조하는 MZ세대. Retrieved from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5280189
  36. 최인섭, 김지선 (1995). 존속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63
  37. 최종고 (1997). 한국에서의 유교와 법. 한국법제연구원, 12, 130-157.
  38. 통계계발원 (2008). 한국의 사회동향 2008.
  39. 통계개발원 (2020). 한국의 사회동향 2020.
  40. 하지환 (2016). 존속살해죄 특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족제도와 형법 제정 경위를 중심으로 -. 법학논집, 21(1), 223-255.
  41. 형법 제259조 제2항 (2002년 3월 28일).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detcInfoP
  42. 형법 제250조 제2항 위헌소원 (2013년 7월 25일).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detcInfoP
  43. 형법개정연구회 (2009). 형사법개정연구(IV) 형법각칙 개정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675
  44. 홍영오, 김빛나, 손지선 (2019). 살인범죄의 실태와 유형별 특성: 가족살인범죄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43.
  45. 홍지아, 천혜영 (2011). 존속살인 사건 보도기사의 비판적 담론분석. 현상과 인식 35(4), 269-299.
  46.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47. Carlsmith, K. M. (2006). The roles of retribution and utility in determining punishment. Jou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 437-451. https://doi.org/10.1016/j.jesp.2005.06.007
  48. Cutler, J., Nitschke, J. P., Lamm, C. & Lockwood P. L. (2021). Older adults across the globe exhibit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but also greater in-group preferences. Nat Aging 1, 880-888. https://doi.org/10.1038/s43587-021-00118-3
  49. Juliette Morillot. (2016. 12. 12). Coree du Sud la jeunesse veut destituer le confucianisme, Asialyst. Retrieved from https://asialyst.com/fr/2016/12/12/coree-du-sudjeunesse-veut-destituer-confucianisme/
  50. Lockwood, P. L., Abdurahman, A., Gabay, A. S., Drew, D., Tamm, M., Husain, M., & Apps, M. A. J. (2021). Aging Increases Prosocial Motivation for Effort. Psychological Science, 32(5), 668-681. https://doi.org/10.1177/0956797620975781
  51. Matsumoto Y, Yamagishi T, Li Y, Kiyonari T. (2016). Prosocial Behavior Increases with Age across Five Economic Games. PLoS ONE 11(7), e015867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8671
  52. Wong. M., Gardiner. E., Lang. W., & Coulon. L. (2008).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motivation: do they exist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8), 878-890. https://doi.org/10.1108/02683940810904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