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Investigato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ve Elements on Their Intention to Use Profiling: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Profiling

수사관의 수사요소 중요도 인식이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 Shin, Sangwha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Police Science Department) ;
  • Yoon, Sangyeon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Police Science Institute)
  • Received : 2022.03.28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Profiling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area of domestic criminal psycholog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profiler is firmly established as a profession. However, compared to the social awareness,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within the police is not high.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investigators who request and use profiling from a profiler when a violent incident occur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by investigators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was verified through the path model. As a result of a survey of 340 police investigators, the investigato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 elements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evidence collection and legal judgment, etc.) and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criminal analysis, criminal information system analysis, etc.).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t by mediating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that investigators have about investigation, which is their main work area, plays a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o request profiling as well as attitude towards profil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rategies necessary to activate the use of profiling were discussed.

프로파일링은 국내 범죄심리학의 대표적인 활용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찰청 프로파일러는 확고한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인지도와 비교하면 정작 경찰 내부에서의 인식이나 활용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력사건 발생 시 프로파일러에게 프로파일링을 요청하고 활용하는 수사관의 인식을 파악하여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사관들이 범죄 수사과정에서 고려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가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검증했다. 경찰 수사관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사관의 수사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규범적 수사(증거 수집과 법적 판단 등)와 사실적 수사(범죄자 분석, 범죄정보 시스템 분석 등) 중요도의 2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사실적 수사 중요도가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활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적 수사 중요도의 경우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사관이 자신의 주 업무 영역인 수사에 대해 가지는 인식이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뿐 아니라 프로파일링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파일링 이용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일용 (2019). 프로파일링 이론과 실제. 서울: 박영사.
  2. 나은영 (1994).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2), 3-33.
  3. 김용화 (2002). 한국의 살인범 profiling 모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이형원 (2019.10.2.). 프로파일러 설득에 심경 변화.."그림 그려가며 자백". YTN.
  5. 박노섭, 이동희, 이윤, 장윤식 (2020). 범죄수사학. 서울: 경찰공제회.
  6. 박종구 (2011).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NM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 한국언론학보, 55(5), 448-479.
  7. 박지선, 최낙범 (2012).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413-42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413
  8. 박현호, 오경석 (2010). 범죄 프로파일링제도 운영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경찰 범죄분석요원 및 기존 수사관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9(2), 59-88.
  9. 서종한, 김경일 (2011). 성범죄자 군집유형분석과 프로파일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155-172.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1.009
  10. 신상화 (2009). 연쇄 강간범에 대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4(2), 125-160. https://doi.org/10.16961/POLIPS.2009.4.2.125
  11. 신상화, 김지호 (2012). 성범죄 피해자 연령대에 따른 범죄 현장 행동 특성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4), 107-126. https://doi.org/10.21193/kjspp.2012.26.4.007
  12. 신상화, 이동희 (2020). 범죄자 프로파일링 유용성 인식 평가: 경찰관 대상 실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치안정책연구, 34(2), 129-161. https://doi.org/10.35147/KNPSI.2020.34.2.129
  13.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14. 우종필 (2015). 구조방정식모델에서 다차원성 개념의 항목묶음 편향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44(4), 1131-1147.
  15. 유재현, 박철 (2010).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31-50.
  16. 이관희, 김지온, 문성준 (2018). 범죄수사입문. 경찰대학출판부.
  17. 이학식, 임지훈 (201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18. 윤상연 (2020). 범죄분석요원 업무분석 및 효율화 방안. 치안정책연구소.
  19. 이동희, 손재영, 김재운 (2015). 경찰과 법. 경찰대학 출판부.
  20. 이진숙, 이주현, 최규환, 공은경, 김성혜, 이상경, 한수영, 신경아, 조남경, 박준희, 한상아, 이진아 (2020). 프로파일링 효용성의 수사실무적 평가: 프로파일링 수사기법 사용자를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20(3), 201-226. https://doi.org/10.22816/POLSCI.2020.20.3.008
  21. 정세종 (2014).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효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686-69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686
  22. 최규환 (2018).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증거 활용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 32(3), 405-436. https://doi.org/10.35147/KNPSI.2018.32.3.405
  23. 최대호, 이주현, 이상경 (2018). 한국의 프로파일링. 파주: 궁리출판.
  24.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25. Andrews, D. A., Bonta, J., & Wormith, J. S. (2006). The recent past and near future of risk and/or need assessment. Crime & delinquency, 52(1), 7-27. https://doi.org/10.1177/0011128705281756
  26. Azj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7. Bartol, C. R., & Bartol, A. M. (2018). Introduction to forensic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 (5th edition). Sage Publications.
  28. Bateman, A. L., & Salfati, C. G. (2007). An examination of behavioral consistency using individual behaviors or groups of behaviors in serial homicide. Behavioral Sciences & the Law, 25(4), 527-544. https://doi.org/10.1002/bsl.742
  29. Bennell, C., & Jones, N. J. (2005). Between a ROC and a hard place: A method for linking serial burglaries by modus operandi.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 ender Profiling, 2(1), 23-41. https://doi.org/10.1002/jip.21
  30. Fazio, R. H., & Zanna, M. P. (1981). Direct experience and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4, pp. 161-202). Academic Press.
  31. Fishbein, M., & Ajzen, I. (1977).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Philosophy and Rhetoric, 10(2), 177-188.
  32. Fiske, S. T, & Tailor, S. E. (2010). 사회인지. 서울: 박학사.
  33.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34. Hanson, R. K., & Morton-Bourgon, K. E. (2005). The characteristics of persistent sexual offenders: a meta-analysis of recidivism stud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6), 1154-1163. https://doi.org/10.1037/0022-006X.73.6.1154
  35. Millar, M. G., & Tesser, A. (1986). Effects of affective and cognitive focus on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2), 270-276. https://doi.org/10.1037/0022-3514.51.2.270
  36. Ochi, K. (2017). 범죄수사심리학. 서울: 학지사.
  37. Pennington, N. & Hastie, R. (1992). Explaining the evidence: Tests of the Story Model for juror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2), 189-206. https://doi.org/10.1037/0022-3514.62.2.189
  38. Pennington, N. & Hastie, R. (1993). Reasoning in explanation-based decision making. Cognition, 49(1), 123-163. https://doi.org/10.1016/0010-0277(93)90038-W
  39. Petherick, W. (2014). Applied Crime Analysis: A Social Science Approach to Understanding Crime, Criminals, and Victims. Elsevier: MA.
  40. Prislin, R., & Ouellette, J. (1996). When it is embedded, it is potent: Effects of general attitude embeddedness on formation of specific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8), 845-861. https://doi.org/10.1177/0146167296228007